KEMBAR78
Basic Accounting Principles | PDF | Investing | Money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58 views290 pages

Basic Accounting Principles

이 문서는 회계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소개하며, 회계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단원은 이론 정리와 예제를 통해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주관식 및 객관식 연습문제를 포함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다. 또한, 저자는 자신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회계 학습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고 있다.

Uploaded by

WonYoung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58 views290 pages

Basic Accounting Principles

이 문서는 회계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소개하며, 회계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단원은 이론 정리와 예제를 통해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주관식 및 객관식 연습문제를 포함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다. 또한, 저자는 자신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회계 학습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고 있다.

Uploaded by

WonYoung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290

머 리 말

í러 õ 동안 대Þ에Ý Þ계원리를 É÷Ý며 Þ계¬ õ½다는 ÷ý¾를 많÷ ÷는다.


ý럴 때ù다 처음 ÙÝ는 사람ø÷ Þ계의 ¼념÷나 내용을 쉽게 ÷õÝ며 ¿Åø일 Ú
Ï는 Í을 þÅ Þ생ø에게 ÷움주¼ì ìîÝÆ다. 또 Þ계를 처음 ÙÝì Þ습Ý는 Þ습×
ø에게 Þ계ÿ는 숲을 üì 나무까É÷ 명×Ý게 ÷õ토ý 안내ݼ 노½ÝÆ다.

본Ý의 û징은 Þ계를 처음 ÙÝ는 Þ습×ø÷ 꼭 필Ö한 내용을 쉽게 ÷õ할 Ú Ï÷ý


ÝÆ다. 단원의 내용을 ÷론É으ü 정리Ýì 예제를 통Ýí 단원의 öî내용을 ÷õ토ý
Ýì Ï으며, 주관ß과 ½관ß 연습문제를 통Ýí 다Þ 한번 Þ습내용을 체ý토ý ÝÆ다.
û히 ½관ß 연습문제는 한î세무사Þ¬ 주관Ý는 ×­Þ험에 출제빈÷¬ ³은 문제ø을
Å선Ýí 전산Þ계 등의 Þ계 관련 ×­증 취ý에 필Ö한 ÷론Þ습에 ÷움되÷ý 단원별ü
정리Ýí 제ÞÝì Ï다.

본Ý는 Ú년 전부터 ù음으ü만 생­Ýì 미루õ 두É던 Ú필에 대한 ×í를 표출Þ켜


ï은 결과물÷다. 무Èü다÷ Ú년간의 산Æ실무에Ý의 경험과 대Þ에Ý ¾ÍÞ계와 전산Þ
계를 É÷Ý며 꼭 필ÖÝì 중ÖÝ다ì 판단되는 öî을 þÅ 알¼주¼ 공을 ø인만큼 Íî×
ø의 Þ계Þ습에 ÷움÷ 되길 Íý한다.

출간에 ÷움을 주신 한올의 관계×께 ¼사 인사를 전한다.

너른ì을 ½ù산 Å래 푸른ù을에Ý È×

3
Part 01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
1) 회계의 의의 ··························································14
2) 회계의 »적 ··························································15

························································
1) 정ü÷용×에 따른 분류 ·······································15
2) 영리성 유·무에 따른 분류 ···································16
3) 컴퓨터 ÷용 여부에 따른 분류 ····························17

························································
1) 부기와 회계의 차÷ ··············································18
2) 단ß부기와 ýß부기 ············································18

···········································
1) 회계단위 ································································19
2) 회계기간(회계연도) ···············································19

·································································

Chapter 02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


··
··
··
··
··
··
··
··
··
··
··
··
··
··
··
··
··
··
··
··
··
··26

··················································
1) ×산(Assets) ··························································26
2) 부Ì(Liabilities) ···················································28
3) ×본(Owner's equity) ·········································28
4) 재무상태표 ····························································29

··················································
1) 수ø(Revenue) ·····················································31
2) 비용(Expense) ·····················································32
3) 손ø계산Ý ····························································34

4
차 례

·····················································
1) 재산법(순×산비교법) ············································36
2) 손ø법(총거래기록법) ············································37

················

·································································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회계기간 중의 기록과정 ·


··
··
··
··
··50

·······················································

·····················································
1) 회계상 거래 ··························································51
2) 거래의 8요Í(결합관계) ········································51
3) 거래의 종류 ··························································53

···································································
1) 계정의 의의 ··························································55
2) 계정의 분류 ··························································56
3) 계정의 기È방법 ···················································57
4) 거래의 ÷중성과 대차평균의 원리 ·······················57

························································
1) 분개 ·······································································58
2) 전기 ·······································································60

···········································
1) 회계장부 ································································62
2) 장부øÊ ································································62
3) 전표제도 ································································63

·································································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


··
··
··
··
··74

···········································
1) 결산의 의의 ··························································74
2) 결산절차 ································································74

··················································
1) Þ산표의 Ø성 ·······················································75
2) 정산표 ···································································77

5
·······················································
1) 결산정리의 의의 ···················································79
2) ×산·부Ì에 관한 결산정리 ·································79
3) 손ø에 관한 결산정리 ··········································80

························································
1) 손ø계산Ý 계정의 마감 ·······································80
2) 재무상태표계정 마감 ············································81
3) 재무상태표 계정의 마감 ·······································83

··················································

·································································

Part 02 Chapter 05 현®·예® 및 단기매매증권 ·


··
··
··
··
··
··
··
··
··
··
··
··
··
··
··
··92

················································
1) 현®및현®성×산 ··················································92
2) 현® ·······································································93
3) 현®과부ù ····························································93
4) 현®출납장 ····························································95

·······················································
1) Í액현®계정의 의의 ············································95
2) Í액현®제도 ·························································95
3) Í액현®의 회계처리 ············································96

··································
1) ü통예® ································································97
2) 당좌예® ································································97
3) 당좌차월 ································································98
4) 단기®융상품 ·························································99

·······················································
1) 유¬증권의 뜻 ·······················································99
2) 단기매매증권의 취ý 및 처분 ······························99
3) 단기매매증권의 공정¬치 평¬ ··························100
4) 단기매매증권의 ÷×와 배당® 수ø ·················100

·······························································

6
차 례

Chapter 06 재고자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

···························································
1) 재고×산의 의의 ·················································110
2) 재고×산의 취ý원¬ ··········································111
3) 재고×산의 ø정항» ··········································111
4) 상품매매등ß ······················································111

··························
1) 단일상품계정 ······················································113
2) 분할상품계정 ······················································115
3) 매출총손ø계산 ···················································118

···································
1) 매È장 ·································································120
2) 매출장 ·································································121
3) 상품재고장 ··························································123

···············································
1) 수량결정방법 ······················································128
2) 단¬결정방법 ······················································129

····························
1) 재고×산감º손실 ···············································131
2) 재고×산평¬손실 ···············································131

·······························································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


··
··
··
··
··
··
··
··
··
··
··
··
··
··
··
··
··
··
··
··
··
·142

·········································
1) 외상매출®과 외상매È® ···································142
2) 통제계정과 인명계정 ··········································142
3) 신용카üÌ권·Ì무 ··············································143

·········································
1) 어음의 의의 및 분류 ··········································145
2) ¿을어음과 ɯ어음 ··········································146
3) 어음의 추심과 ɯ ············································147
4) 어음의 배Ý와 할인 ············································147

7
···································
1) 대손의 회계처리 ·················································149
2) 결산Þ 대손충당®의 처리 ·································150
3) 매출Ì권의 대손À생 ··········································151
4) 대손처리한 Ì권의 회수 ····································152

·········································
1) 기타Ì권·Ì무의 종류 ········································152
2) 미수®과 미ɯ® ·············································153
3) 선¯®과 선수® ·················································153
4) 대여®과 차È® ·················································153
5) 주·Ç·종 단기Ì권과 예수® ······························154
6) ¬É¯®과 ¬수® ·············································154

·······························································

Chapter 08 유형자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6

····································
1) 유형×산의 의의 ·················································166
2) 유형×산의 취ý ···············································166

··································
1) ×본적 É출과 수ø적 É출의 의의 ··················168
2) ×본적 É출과 수ø적 É출의 회계처리 ···········168
3) 오류Þ 효과 ························································169

·········································
1) 감¬상­의 의의 ·················································170
2) 감¬상­의 3요Í ···············································170
3) 감¬상­의 계산방법 ··········································171
4) 감¬상­의 회계처리 ··········································172

···············································

·······························································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


··
··
··
··
··
··
··
··
··
··
··
··
··
··
··
··
··
··
··
··
··
·182

···························································
1) 무형×산의 의의 ·················································182
2) 무형×산의 종류 ·················································182

8
차 례

3) 무형×산의 취ý원¬ ··········································183


4) 무형×산의 상­ ·················································183

···························································
1) 투××산의 의의 ·················································185
2) 투××산의 종류 ·················································185

·················································

·······························································

Chapter 10 부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4

·································································
1) 부Ì의 의의 ························································194
2) 유동부Ì ······························································194
3) 비유동부Ì ··························································195

·································································
1) 사Ì의 의의 ························································195
2) 사Ì의 À행 ························································196
3) 사Ì의 ÷×ɯ ·················································197
4) 사Ì의 상환 ························································199

··············································
1) 퇴Ê일Þ®제도 ···················································200
2) 퇴Ê연®제도 ······················································201

·······························································

Chapter 11 자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

··································
1) ×본® ·································································210
2) 인출® ·································································210
3) 개인기업의 세® ·················································211

···············································
1) 주ß의 À행 ························································214
2) ×본의 분류 ························································215

·······························································

9
Chapter 12 수익과 비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6

·································································
1) 수ø의 의의 ························································226
2) 수ø의 인ß ······················································226
3) 수ø의 분류 ························································227

·································································
1) 비용의 의의 ························································229
2) 비용의 인ß ························································229
3) 영업외비용 ··························································231
4) 법인세비용 ··························································231

·······························································

Part 03 Chapter 13 결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2

·········································

···························································
1) 결산정리의 의의 ·················································243
2) ×산에 관한 결산정리 ········································243
3) 손ø에 관한 결산정리 ········································246

······································

·······························································

Chapter 14 재무제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2

····································
1) 재무제표의 의의 ·················································262
2) 재무제표의 종류 ·················································262
3) 재무제표정ü의 특성과 한계 ·····························264

·······················
1) 계Î기업 ······························································264
2) 재무제표의 Ø성 ÍÇ과 공정한 표Þ 및 주Þ 264
3) 재무제표 항»의 구분과 통합표Þ ····················264
4) 비교재무제표의 Ø성 ··········································265

10
차 례

5) 재무제표 항»의 표Þ와 분류의 계Î성 ···········265


6) 재무제표의 ü고양ß ··········································265

························································
1) 재무상태표의 의의 ·············································265
2) 재무상태표의 Ø성기준 ······································266
3) 재무상태표의 양ß ·············································266
4) 재무상태표의 유용성과 한계 ·····························267

························································
1) 손ø계산Ý의 의의 ·············································268
2) 손ø계산Ý의 Ø성기준 ······································268
3) 손ø계산Ý의 양ß ·············································269
4) 손ø계산Ý의 유용성과 한계 ·····························269

·······························································

▧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7

▧ 연습문제 답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8

11
12
| Part 01 | 회계의 기초

| Chapter 01 |

회계의 기본개념

1 회계의 의의와 »적

1) 회계의 의의

Þ계란 정ü÷용×ø÷ þ리É인 판단÷나 의사결정을 할 Ú Ï÷ý ¾Æ실체(경제É 실


체)의 경제É 활동을 Ö폐ü 측정 ¾ýÝì ÷에 관한 정ü를 ÚÚ ÖþÝí 정ü÷용×에
게 전달Ý는 과정÷다.

표 1-1 회계정ü÷용×와 필요한 정ü

회계정보÷용자 필요한 정보
투 × × 현재와 미래의 투×위험÷나 투×Úø을 평¬할 Ú Ï는 정ü
Ì 권 × 원®과 ÷×의 ɯ·½을 평¬할 Ú Ï는 정ü
경 Ç × 경Ç계ß 통제 등 경Ç의사결정에 필Ö한 정ü
종 Æ 원 ¾Æ의 안정성, 성장성, ¯í와 퇴Ê®의 ɯ·½을 평¬할 Ú Ï는 정ü
정 부 ¾Æ활동의 규제 ø세정Í결정 등에 필Ö한 정ü
거 래 처 거래의 ÉÎ정, 매ÈÌ무 등의 ɯ·½을 평¬할 Ú Ï는 정ü
ì ½ 당õ ¾Æ과 거래관계¬ Ï는 경우 A/S 등 ¾Æ의 존ά·성에 대한 정ü
일반대중 ¾Æ의 성장 Ý세, 최근 동향 등을 평¬할 Ú Ï는 정ü

14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2) 회계의 »적

Þ계의 »É은 ¾Æ실체의 Þ계정ü를 정ü÷용×ø의 의사결정에 ç용한 정ü를 제공Ý


는 것÷다.
● 정ü÷용×ø의 투× 및 신용의사결정에 ç용한 정ü의 제공
● 미래의 현®×름을 예측Ý는데 ç용한 정ü의 제공
● 재무상Ü, 경Ç성과, 현®×름 및 ×본변동에 대한 정ü의 제공
● 경Ç×의 ÚÑÍÇ ÷Þ 평¬에 ç용한 정ü의 제공

2 회계의 분류

Þ계는 정ü÷용׬ 누í냐에 따ÿÝ 재무Þ계, 관리Þ계, 세무Þ계ü í분할 Ú Ï으며,


Ç리성 ç·무에 따ÿÝ Ç리Þ계와 비Ç리Þ계ü, 컴퓨터의 ÷용í부에 따ÿÝ ÚØÆÞ계
와 전산Þ계ü í분할 Ú Ï다.

1) 정ü÷용×에 따른 분류

Þ계Þ스템에 의õ 산출되는 Þ계정ü를 ÷용Ý는 정ü÷용׬ 누í인¬에 따ÿÝ 재무


Þ계, 관리Þ계, 세무Þ계ü 분류할 Ú Ï다.

그림 1-1 회계정ü÷용×

15
| Part 01 | 회계의 기초

표 1-2 회계의 분류

구 분 재무회계 관리회계

정ü÷용× 외부정ü÷용×(투××, Ì권× 등) 내부정ü÷용×(경Ç×)

ü ì Ú 단 재무üìÝ(재무제표) ûÚ»ÉüìÝ(û정한 양ß Ç음)

정ü의 ç형 î사É 원¬정ü(과거É향É) 미래예측 정ü(미래É향É)

Þ 계 원 ß 일반É으ü 인정된 Þ계원ß(GAAP) û별한 원ß Ç음

질 É û 성 신뢰성 »ÉÉþ성

ü ì 주 ¾ 정¾É üì(1년, 반¾, 분¾) ÚÞ üì(월별, 1년, 장¾간)

¾Æ의 다양한 외부정ü÷용×ø÷ ÷용할 Ú Ï÷ý 일반É으ü 인정된 Þ계원ß에 따ÿ


Ý 일반»É의 재무üìÝ인 재무제표를 Ø성, 공ÞÝ는 것을 주된 »É으ü Ý는 Þ계¬
재무Þ계÷다.

¾Æ의 내부정ü÷용×인 경Ç׬ ìç의 ¾·인 계ß과 É휘, 통제¾· 등 경Ç의사결정


을 Ý는데 필Ö한 정ü를 제공Ý는 것을 »É으ü Ý는 Þ계¬ 관리Þ계÷다.

Íý을 ¾Íü 세½의 규정에 따ÿ 과세Íý과 세액산정을 »É으ü ÷루õÉ는 Þ계¬


세무Þ계÷다.

2) 영리성 유·무에 따른 분류

Þ계¬ É용되는 øÊ의 Ç리성 ç·무에 따ÿ Ç리Þ계와 비Ç리Þ계ü í분할 Ú Ï다.

16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영리회계란 영리 즉, 이윤추구를 목É으로 Ý는 조Ê의 회계를 말Ý며, 대표É인 예¬


기업회계이다.

비영리회계란 영리를 목É으로 ÝÉ 않는 조Ê, 즉 Þ교, 병원, 교회, 사찰, ­종 사회문Ö단


체와 종교단체, 정부기관과 같은 비영리기관에 É용Ý는 회계를 말한다.

3) 컴퓨터 ÷용 여부에 따른 분류

회계처리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Ý는¬ 여부에 따라Ý 수Ø업회계와 전산회계로 구분할


수 있다.

수Ø업회계란 기업에 발생Ý는 거래를 인식Ý는 것부터 재무제표를 Ø성Ý는 것까É 컴퓨


터를 이용ÝÉ 않고 회계담당×의 수Ø업에 의해Ý 처리Ý는 회계를 말한다. 기업이 전산조
Ê체계를 갖추É 않아도 회계처리할 수 있다는 장Ø이 있으나, 회계처리 Î도¬ 너무 ¸어É
며 오류의 발생¬·성이 높다는 단Ø이 있다

전산회계는 전산조Ê에 의Ý여 회계×료를 처리Ý고 회계장부와 재무제표를 Ø성Ý여 정


보이용×에게 전달Ý는 회계를 말한다.

 회계처리에 Í요되는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 회계업무를 신η정×Ý게 처리Ý여 업무의 표준Ö와 질É 향상이 ¬·Ý다.
 전산을 통Ý여 효율É인 내부통제¬ ¬·Ý므로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 회계정보에 쉽고 빠르게 Ù근Ý므로 회계장부의 보존과 검색이 용이Ý다.
● È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Ý여 재무제표의 열람과 다양한 재무분Þ이 용이Ý다.

17
| Part 01 | 회계의 기초

● ¾Æû성에 þ는 전산Þ스템을 ¾Ý는데 ;에 비용÷ ÍÖ된다.


● Þ계ö당×의 컴퓨터 처리·½÷ Ïõý 한다.
● 컴퓨터는 Ú정÷ 간단Ýí 장부를 øØ한 Þ계부정의 ¬·성÷ 증¬한다.

3 부기와 회계

1) 부기와 회계의 차÷

부¾는 <장부¾ý=의 줄Ç말ü ¾Æ의 경Ç과정에Ý À생한 경제É 사건을 ¾ý, 계산,
정리Ý는 방½을 말한다. Þ계는 정ü÷용×ø에게 의사결정에 ç용한 정ü를 ÚÚ, ¬공,
전달Ý는 일련의 과정으ü 설명할 Ú Ï다. 부¾는 ¾술É인 부분÷ ½ø되며 Þ계는 부¾ÿ
는 ¾술을 ÷용Ý되 정ü÷용을 ½øÝ는 때문에 더 넓은 ¼념÷ÿ Ý겠다.

2) 단ß부기와 ýß부기

ýß부¾는 원리원ß에 의õ º든 거래를 ÷중으ü ¾ýý으üÝ ×¾검증¾·÷ Ïì


재산의 증¼은 물론 손ø의 À생을 원인별ü ¾ýÝì 계산Ýí 재무üìÝ를 Ø성할 Ú
Ï는 완전한 부¾를 말한다. 반면, 단ß부¾는 일정한 원리원ß Ç÷ 단순한 일¾ 형ß의
¾ý÷므ü 재산증¼의 결과는 알Å÷ 원인은 충분히 알 Ú Ç는 방½÷다.

* 일반적으ü 인정된 회계원칙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ß(GAAP)은 재무제표를 Ø성할 때 준수해야 할 기본원ß과 회계


처리 규정을 말한다. 이것은 회계전문기관이나 전문¬들의 합의에 의해Ý 정립 된다. 우리나라
에Ý는 금융감독위원회¬ 한î회계기준원의 회계기준위원회에게 위탁하여 일반적으로 인정
된 회계원ß에 해당하는 기업회계기준을 제정하고 있다.
기업회계기준은 한î채택î제회계기준, 일반기업회계기준, 특수분야회계기준 등으로 í성된

18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다. 한î채택î제회계기준, 일반기업회계기준, 특수분야회계기준 등은 ­­ 8기업 회계기준Ý9와


8기업회계기준해ÞÝ9로 í성되며, 기준의 본문은 아니지만 실무적용의 편의를 위하여 관련 실무
지침 등을 제공한다.

4 회계단위와 회계기간

1) 회계단위

Þ계단위란 ¾Æ÷ ÍçÝì ×산, 부Ì, ×본의 증¼변Ö를 ¾ý, 계산ݾ 위한 장ÍÉ인
¼위를 í분할 필Ö¬ Ï는데, ÷ 장ÍÉ í분을 Þ계단위ÿì 한다. Ý나의 ¾Æ은 Ý나의
Þ계단위¬ 되는 것÷ 원ß÷É만 ¾Æ에 따ÿÝ는 필Ö에 따ÿ 두 ¼ ÷상의 Þ계단위ü
나눌 Ú Ï다. 예를 øõ 본Ø과 ÉØ, 본사와 공장으ü í분할 Ú Ï다.

2) 회계기간(회계연도)

Þ계에Ý는 계ξÆ을 ¬정ݾ 때문에 ¾Æ의 재무상Ü와 경Ç성과를 계산Ýí üìݾ


위Ýí 인위É으ü ¾간을 설정할 필Ö¬ Ï다. ÷¿게 인위É으ü í분한 Þ간É인 ¼위를 Þ계¾
간 ÿ은 Þ계연÷ÿì 한다. Þ계¾간은 1년을 Í과Ýí 설정할 Ú Ç으며, Þ계¾간의 첫날을
¾Íÿ Ýì ùÉú 날을 ¾말÷ÿ Ý며, Þ계¾간 동안을 ¾중÷ÿ 한다.
¼인¾Æ의 경우 Íý세½의 규정에 의거 Þ계¾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ü 정õ져
Ï으며, ½인¾Æ의 경우는 ¾본규정인 정관의 규정에 따르÷ý Ýì Ï다.

19
| Part 01 | 회계의 기초

 ¾Í : Þ계연÷¬ 처음 ÞØÝ는 날  ¾말 : Þ계연÷¬ 끝나는 날


 전¾ : 앞 Þ계연÷  당¾ : 현재 Þ계연÷
 ì¾ : 다음 Þ계연÷  전¾÷월 : 전¾에Ý 당¾ü 넘õæ다
 ì¾÷월 당¾에Ý ì¾ü 넘õ¬다

1-1

다음의 기본적인 설명을 읽고 옳은 것은 ○표, 틀린 것은 ×표를 하Þ오.

(1) Þ계의 »É은 Þ계정ü÷용׬ þ리É인 판단÷나 의사결정을 할 Ú Ï÷ý ¾Æ


실Ü에 관한 ç용한 정ü를 제공Ý는 것÷다. ( )

(2) 재무Þ계는 경Ç× 등 내부정ü÷용×에게 ç용한 정ü를 제공ݾ 위한 Þ계를 말


Ý며, 관리Þ계는 투××, Ì권× 등 외부정ü÷용×에게 ç용한 정ü를 제공ݾ
위한 Þ계를 말한다. ( )

(3) ýß부¾의 û성은 Þ계상의 ×료를 일정한 원리원ß에 의Ýí ÷중É으ü ¾ý·
계산Ý므ü ×¾검증¾·÷ ÏÉ만 단ß부¾는 ×¾검증¾·÷ Ç다.
( )

(4) 비Ç리Þ계란 Þ교, 종교단체, ­종 사Þ단체 등 Ç리를 »É으ü ÝÉ 않는 øÊ과


½은 비Ç리¾관의 Þ계를 말한다. ( )

(5) 전산Þ계¬ ÷È되면 전문É인 ö당×는 필ÖÇ다. ( )

(6) 일반É으ü 인정된 Þ계원ß÷란 Þ계실무를 Þ할 때 반üÞ 준ÚÝíý 할 일반É


인 Þ위 É침으ü Þ계실무를 ÷끌õ¬는 É÷원리¬ 된다. ( )

(7) º든 ¾Æ의 Þ계¾간은 반üÞ 1년으ü Ýíý Ýì,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
를 Þ계¾간으ü 정õý 한다. ( )

20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1) ( ○ ) 회계정ü는 정ü÷용×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ÉÉþ하고 신뢰Ý Ï는 정ü÷어ý 한다.


(2) ( × ) 재무회계는 투××, 채권× 등 다양한 외부정ü÷용×에게 유용한 정ü를 제공하기 위한 회계÷며, 관리회계
는 경Ç× 등 내부정ü÷용×에게 유용한 정ü를 제공하기 위한 회계를 말한다.
(3) ( ○ ) ýß부기의 특성은 회계상의 ×료를 일정한 거래의 ÷중성에 차변과 대변으ü 나누어 동일한 ®액으ü 장부
에 기ý·계산하므ü ×기검증기능÷ ÏÉ만 단ß부기는 ×기검증기능÷ Æ다.
(4) ( ○ ) 비Ç리회계란 비Ç리øÊ에Ý 사용하는 회계를 말한다.
(5) ( × ) 전산회계¬ 도È된다고 하더ÿ도 전산회계프üý램을 다룰 수 Ï는 전문¬¬ 필요하다.
(6) ( ○ ) 재무회계정ü는 Ø성×와 정ü÷용׬ Ýü 다르므ü 회계실무를 행할 때 반üÞ 회계기준÷ÿ는 þÎ에 따
ÿÝ ÷루어져ý 한다.
(7) ( × ) 회계기간은 1년 ÷내ü 1년을 초과할 수 Æ으나, 반üÞ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를 회계기간으ü 정해
ý 할 필요는 Æ다.

21
| Part 01 | 회계의 기초

연습문제

01. 회계정ü÷용×들÷ þ리É인 판단÷나 의사결정을 할 수 Ï도ý 기Å실체의 경제É 활동


을 Ö폐ü 측정 기ý하고 ÷에 관한 정ü를 수집 요þ하í 정ü÷용×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 )ÿ 한다.

02. 회계의 »É은 기Å실체의 회계정ü를 정ü÷용×들의 ( )에 유용한 정ü


를 제공하는 것÷다.

03. 회계는 회계정ü÷용×를 기준으ü 외부ü고 »É인 ( )와 내부ü고 »É인


( )ü 분류한다.

04. 전산øÊ에 의하í 회계×료를 처리하고 회계장부와 재무제표를 Ø성하í 정ü÷용×에게


전달하는 회계를 ( )ÿ 한다.

05. 기Å÷ Í유하고 ×산, 부채, ×본의 증¼변Ö를 기ý, 계산하기 위한 장ÍÉ인 ¼위를
( )ÿ 하고, 인위É으ü 설정한 Þ간É인 ¼위를 ( )÷ÿ 한다.

01. 다음 중 회계의 궁þÉ인 »É으ü ¬장 Éþ한 것은?


d ¾Æ 내부에Ý À생Ý는 º든 정ü를 ¾ý, 계산, 분류한다.
e 정×한 세®계산을 위Ýí 정부에게 ç용한 정ü를 제공한다.
f ¾Æ의 다양한 ÷õ관계×ø의 경제É 의사결정에 ç용한 정ü를 제공한다.
g ¾Æ의 ×®ø달을 원활Ý게 할 Ú Ï÷ý 경Ç×에게 경Ç상황을 üì한다.

22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02. 다음중 내부회계정ü÷용×는?


d 주주 e 경Ç×
f Ì권× g 규제¾관

03. 기Å 외부의 불특정다수의 ÷해관계×에게 유용한 정ü를 제공하기 위한 회계는?


d 재무Þ계 e 관리Þ계
f 세무Þ계 g 원¬Þ계

04. 다음은 무Ç에 대한 설명인¬?

×산, 부Ì, ×본을 인ßÝí 거래의 ÷중성에 따ÿ 거래를 ì변과 대변으ü 계상Ýì,
ì변의 þ계와 대변의 þ계¬ 반üÞ 일Þ되는 '대ì평균의 원리'에 의õ ×¾검증¾·
을 ÚÞ한다. À생주의에Ý 주ü ÌÝÝì Ï는 ¾장방ß÷다.

d 단ß부¾ e Ç리부¾
f ýß부¾ g 상Æ부¾

05. 전산을 ÷용하í 재무제표를 Ø성하는 경우 ÿ을 수 Ï는 효ø으ü 틀린 것은?


d û정 Þ계정ü에 빠르ì 쉽게 Ù근할 Ú Ï다.
e 언제든É 원Ý는 ÞØ에 재무제표를 쉽ì 빠르게 Ø성Ýí 열람할 Ú Ï다.
f 데÷터베÷스를 사용Ýí 편리Ýì 다양한 재무분Þ을 할 Ú Ï다.
g Ƚ×료¬ 정×ÝÉ 않Å÷ 제대ü 된 재무정ü를 생성할 Ú Ï다.

06. 회계연도에 대한 설명÷다. 틀린 것은?


d 당¾의 Ê전 Þ계¾간은 전¾÷다.
e Þ계¾간의 ùÉú 날은 ¾말÷다.
f 상½ 규정에 따ÿ 1Þ계¾간은 1년을 Í과할 Ú Ç다.
g º든 ¾Æ의 Þ계¾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É를 Þ계¾간으ü 한다.

23
| Part 01 | 회계의 기초

07. 다음 내용에Ý 회계기간의 설명으ü 옳은 것을 고른 것은?

ㄱ. ¾Æ의 경Ç활동을 장Í별ü 측정Ý는 단위÷다.


ㄴ. º든 ¾Æ의 Þ계연÷는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ü 한다.
ㄷ. 당õ Þ계¾간-당¾, Ê전 Þ계¾간-전¾, 다음 Þ계¾간-ì¾ÿ 한다.
ㄹ. ¾Æ에Ý 인위É으ü 1Þ계¾간을 1년을 Í과ÝÉ 않은 ¼위내ü 정Ýí 경Ç성과
와 재무상Ü를 파ÆÝ는 것÷다.

d ㄱ, ㄴ e ㄱ, ㄷ f ㄴ, ㄹ g ㄷ, ㄹ

08. 다음 (¬), (나)에 해당하는 회계용어ü 알맞게 ÞÉ어진 것은?

(¬) ¾Æ÷ ÍçÝì Ï는 현®, 물품, Ì권, Ì무 등의 증¼변Ö를 ¾ý·계산ݾ


위한 장ÍÉ ¼위
(나) 인위É으ü 6¼월 또는 1년으ü ¾간É ¼위를 정Ýí 명×한 재무상Ü와 재무성
과를 파ÆÝ¾ 위Ýí 설정한 ¾간

(¬) (나) (¬) (나)


d Þ계단위 / Þ계연÷ e Þ계¾간 / Þ계단위
f Þ계연÷ / Þ계단위 g Þ계¾간 / Þ계연÷

24
Chapter 01. 회계의 기본개념

기초
회계원리

25
| Part 01 | 회계의 기초

| Chapter 02 |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1 기업의 재무상태

일정ÞØ에 ¾Æ의 재무상Ü를 파ÆÝ¾ 위Ýí ×산, 부Ì, ×본을 표ÞÝ는 재무상Ü표
를 Ø성한다.

1) ×산(Assets)

×산은 ¾Æ÷ 경Ç활동을 위õ ÍçÝì Ï는 경제É ¬Þ¬ Ï는 ­종 재Ö와 Ì권을


말한다. 재Ö는 현®, 상품, 제품, 건물, 토É, 비품 등÷ Ïì, Ì권은 외상매출®, 미Ú®,
대í® 등÷ Ï다. ×산은 ¾Æ의 ÉþÉ 재산÷ÿì÷ Ý며 재무상Ü표 ì변에 표Þ한다.
×산은 결산ÞØ에Ý 현®Ö되거나 사용되는 ¾간을 1년 ¾준으ü ç동×산과 비ç동×산으
ü í분Ý며, ç동×산은 당Ì×산과 재ì×산으ü 비ç동×산은 투××산, ç형×산, 무형
×산, ¾Ð비ç동×산으ü í분한다.

자산의 분류 계 정 과 » 내 용

현®및 현 ® 통Ö(É폐, 주Ö), 통Ö대용증권(Ð인ÀÞÚ표, ×¾앞Ú표)


당 Ì
현 ® 성 ü 통 예 ® Þ사명의의 은Þ통장으ü È·출®÷ ×çü운 예®
× 산
× 산 당 Ì 예 ® Þ사¬ 당ÌÚ표를 ÀÞÝí 언제든É 인출÷ ¬·한 예®

26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자산의 분류 계 정 과 » 내 용
현®성×산 취ýÞ 만¾¬ 3¼월 ÷내인 ®융상품
단 ¾ ® 융 상 품 만¾¬ 1년 ÷내인 ®융상품
주ß·Ì권 등과 ½은 ç¬증권중 단¾간 매매ìø을 ÿ을
단 ¾ 매 매 증 권
»É으ü 취ý한 것
ì용증Ý나 õ음을 ¿ì ®전을 단¾간 Ð인에게 빌¼준 것
단 ¾ 대 í ®
(ÞÚ¾간 1년 ÷내)
ç
매 출 외상매출® 상품매출Þ에 외상으ü 거래한 경우 À생한 Ì권
Ì 권 ¿ 을 õ 음 상품매출Þ에 õ음을 ¿았을 경우 À생한 Ì권

미 Ú ® 일반É 상거래 ÷외에Ý À생한 미ÚÌ권액
×
선 ¯ ® 상품, 원재료의 매È을 위Ýí 계þ®을 미리 ɯ한 ®액
산 미 Ú Ú ø 당¾의 Úø÷나 ¿É 못한 ®액
선 ¯ 비 용 당¾에 ɯ한 비용중 ì¾ ÷후에 ÎÝ는 비용
상 품 판매를 »É으ü 외부에Ý íÈ한 재Ö

재 ì 제 품 판매할 »É으ü ¾Æ÷ 생산한 재Ö


× 산 재 공 품 생산공정 중에 Ï는 미완성 상Ü의 재Ö
원 재 료 생산공정에 사용될 재Ö
투 × 부 동 산 투×»É으ü ÍçÝì Ï는 건물, 토É 등
투 ×
장 ¾ ® 융 상 품 만¾일÷ 1년 ÷후에 ÷래Ý는 ®융상품
× 산
장 ¾ 대 í ® 1년 Í과의 ÞÚø건으ü 대í한 ®액
토 É ÇÆ활동에 사용Ý는 대É, Çý 등의 토É
건 물 ÇÆ활동에 사용되는 건Þ물
ç 형
¾ 계 장 Þ ÇÆ활동에 사용Ý는 ¾계 및 설비
비 × 산
ç ì 량 운 반 í ÇÆ활동에 사용Ý는 ì량과 운반í
동 비 품 ÇÆ활동에 사용Ý는 컴퓨터, ý사¾ 등의 Ú¾
×
산 Ç Æ 권 ¾Æ 인Ú·þ병Þ ç상으ü 취ý한 무형의 권리

무 형 산 Æ 재 산 권 û허권·실용신안권·의장권·상표권 등의 ½률É 권리
× 산 ¼ À 비 신제품 또는 신¾술 ¼À을 위한 비용
광 Æ 권 광산에Ý 광물을 Ì굴할 Ú Ï는 권리

¾ Ð ü 증 ® 전세권, Çìü증®, ÇÆü증® 등


비ç동 ì¾÷후에 ¹부할 ½인세를 미리 ¹부ý으üÝ ì¾÷후에
× 산 ÷ 연 ½ 인 세 × 산 ½인세를 É게 ¹부õ÷ 될 ®액

27
| Part 01 | 회계의 기초

2) 부Ì(Liabilities)

부Ì는 ¾Æ÷ 경Ç활동에 따ÿ 일정ÞØ Ð인에게 ¾Åý 할 Ì무(Ā)를 말Ý며, Í¿É


재산 또는 Ì권×É분÷ÿì 한다. 재무상Ü표의 대변에 표ÞÝ는 부Ì는 ¾ÅýÝ는 ¾간을
1년 ¾준으ü ç동부Ì와 비ç동부Ìü í분한다.

분류 계 정 과 » 내 용
단 ¾ ì È ® 상환¾간÷ 1년 ÷내인 ìÈ®
매 È 외상매È® 상품매ÈÞ 외상거래에Ý À생한 Ì무
Ì 무 É ¯ õ 음 상품매ÈÞ õ음을 ÀÞÝÆ거나 인ÚÝÆ을 경우
ç동
미 É ¯ ® 상품매매거래 ÷외에Ý À생한 미ɯ Ì무
선 Ú ® 상품 등을 매출ݾü Ýì 계þ®을 미리 ¿은 ®액
부Ì
예 Ú ® 상품 매매거래 ÷외에Ý çÞ üçÝì Ï는 ®전
미 É ¯ 비 용 비용의 ɯ사ç¬ À생ÝÆ으나 ɯÝÉ 않은 ®액
선 Ú Ú ø ÷미 ¿은 ÚÈ 중 당¾분÷ Å닌 ì¾분 Úø
장 ¾ ì È ® 상환¾일÷ 1년 ÷후인 ìÈ®
사 Ì 상환¾일÷ 1년 ÷후에 ÷래Ý는 Þ사Ì ÀÞ ®액
비ç동
퇴ʯí충당부Ì º든 사용인÷ 퇴Ê할 때 ɯ할 퇴Ê® 에상액
부Ì
당¾에 ½인세¹부를 çüÞ켜 ì¾÷후에 ½인세를 ¹
÷ 연 ½ 인 세 부 Ì
부õý Ý는 ®액

3) ×본(Owner's equity)

×본은 ¾Æ의 Íç주(¾Æ주 ÿ은 주주) É분을 말Ý는 것으ü ×산 총액에Ý 부Ì 총액을


ì¼Ýí í한다. í¾Ý Íç주 É분÷란 ¾Æ에Ý ¾Æ주 또는 주주의 몫을 의미한다.
×본은 재무상Ü표의 대변에 표Þ되며 달리 주주É분, 잔íÉ분, ×¾×본, 순×산÷ÿì÷
한다.

분류 계 정 과 » 내 용
×본® × 본 ® ¼인¾Æ의 출×액 또는 ½인¾Æ의 총ÀÞ주ß의 액면¬액

주 ß À Þ Í 과 ® 주ß 할증ÀÞÞ 액먄¬액을 Í과한 ®액

×본Ðí® × ¾ 주 ß 처 분 ÷ ø ×¾Þ사 주ß을 일Þ 취ý한 후 처분Þ À생Ý는 ÷ø

¼ × ì ø ×본을 ¼ÍÞ킬 때 À생Ý는 ìø

28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분류 계 정 과 » 내 용
주 ß 할 인 À Þ ì ® 주ß할인ÀÞÞ 액면¬액에 미달한 ®액
× ¾ 주 ß 처 분 손 실 ×¾Þ사 주ß을 일Þ 취ý한 후 처분Þ À생Ý는 손실
×본ø정
¼ × ì 손 ×본을 ¼ÍÞ킬 때 À생Ý는 ì손
× ¾ 주 ß 일Þ 취ý한 ×¾ Þ사¬ ÀÞ한 주ß의 취ý¬액
¾Ð포괄 매÷¬·증권평¬손ø 결산Þ에 매÷¬·증권을 평¬Ýì 나Ð내는 평¬손ø
손ø누계액 õ 외 사 Æ 환 산 손 ø õ외사Æ 재무제표를 원Öü 환산할 때 나Ð나는 ì손ø
÷ ø 준 비 ® 상½에 의한 ®전¼당액의 10% ÷상 ɾ액
¾ Ð ½ 정 É ¾ ® 상½ ÷외의 ½률에 의한 ɾ®(재무íø¼선ɾ®)
÷øÐí®
Ç 의 É ¾ ® Ðí® 처분Þ Þ사¬ Ç의의 »É으ü ɾ한 ®액
ì¾÷월÷øÐí® Ðí®을 처분Ýì ¸은 잔액으ü ì¾ü ÷월된 ®액

×본은 원Þ 출×액과 ݬ 출×한 ×본®과 경Ç활동을 통õ 벌õø인 ÷ø® 등÷ þ산


된 것으ü ×본등ß은 다음과 ½다.

자본등ß : 자산 - 부채 = 자본(순자산)

4) 재무상태표

재무상Ü표는 ¾Æ÷ 일정ÞØ의 재무상Ü를 나Ð내는 것으ü ì변에는 ×산을 대변에는


부Ì와 ×본을 표Þ한다. ×산은 Ð인×본인 부Ì와 ×¾×본인 ×본의 þ으ü ÷루õ져
Ï다는 것을 나Ð낸 등ß을 재무상Ü표등ß÷ÿ 한다.

재 무 상 태 표
차변 대변
부채
자산
자본

재무상Ü표 등ß : ×산 = 부Ì + ×본

29
| Part 01 | 회계의 기초

2-1 기업의 재무상태

01.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를 É으Þ오.

(1) ¾Æ÷ 경Ç활동을 위õ ÍçÝì Ï는 경제É ¬Þ¬ Ï는 ­종 재Ö와 Ì권을


( )÷ÿ Ýì, 장래에 Ð인에게 ¾Åý 할 Ì무를 ( )ÿì 한다.
(2) ¾Æ의 ( )총액에Ý ( )총액을 ì¼한 잔액을 ×본÷ÿì Ý며, ÷를 등ß으ü
표현한 것을 ( )등ß÷ÿì 한다.
(3) 일정ÞØ에 ÏõÝ ¾Æ의 재무상Ü를 나Ð내는 üìÝ를 ( )ÿì 한다.
(4) 재무상Ü표 등ß은 ( ) = ( ) + ( )÷다.

02. 다음 과» 중 ×산은 A, 부채는 L ×본은 Cü ( )안에 표Þ하Þ오.

(1) 단 ¾ 매 매 증 권 ( ) (2) 단 ¾ 대 í ® ( ) (3) 매 출 Ì 권 ( )


(4) 선 Ú ® ( ) (5) × 본 ® ( ) (6) 미 É ¯ ® ( )
(7) 현®및현®성×산 ( ) (8) 미 Ú ® ( ) (9) Í º 품 ( )
(10) 단 ¾ ì È ® ( ) (11) 상 품 ( ) (12) 비 품 ( )
(13) 사 Ì ( ) (14) ì 량 운 반 í ( ) (15) 투 × 부 동 산 ( )
(16) 인 출 ® ( ) (17) 예 Ú ® ( ) (18) 산 Æ 재 산 권 ( )

03. ½마상사의 20××년 1월 1일의 재무상Ü는 다음과 같다. 아래 ×료에 의해 ½마상사의


재무상Ü표를 Ø성하Þ오.

현 ® ₩30,000 당 Ì 예 ® ₩20,000 외 상 매 출 ® ₩30,000


미 Ú ® 40,000 상 품 50,000 비 품 30,000
단¾ìÈ® 20,000 외 상 매 È ® 10,000 미 É ¯ ® 20,000

재 무 상 태 표
½ù상사 20××년 1월 1일 현재 (단위:원)
자 산 ® 액 부채·자본 ® 액

30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1. (1) ×산, 부채 (2) ×산, 부채, ×본 (3) 재무상Ü표 (4) ×산, 부채, ×본
2. A : (1), (2), (3), (7), (8), (9), (11), (12), (14), (15), (18)
L : (4), (6), (10), (13), (17)
C : (5), (16)
3.
재 무 상 태 표
½ù상사 20××년 1월 1일 현재 (단위:원)
자 산 ® 액 부채·자본 ® 액
현® 30,000 단¾ìÈ® 20,000
당Ì예® 20,000 외상매È® 10,000
외상매출® 20,000 미ɯ® 20,000
미Ú® 10,000 ×본® 100,000
상품 20,000
비품 50,000
×산 총계 150,000 부Ì·×본 총계 150,000

×산 총액 ₩150,000 – 부Ì 총액 ₩50,000 = ×본 ₩100,000

2 기업의 경영성과

일정¾간 동안의 ¾Æ의 경Ç성과를 파ÆÝ¾ 위Ýí 손ø계산Ý를 Ø성한다.

1) 수ø(Revenue)

Úø÷란 ¾Æ활동을 통õ 일정¾간 벌õø인 ®액을 말Ý며 ¾Æ주의 몫인 ×본을 증¬Þ


키는 î할을 한다. Úø은 ¾Æ의 주Ö ÇÆ활동 과정에Ý ý출된 ÇÆÚø과 투×활동÷나
재무무활동 과정에Ý ý출된 ÇÆ외Úø으ü í분한다.

분류 계 정 과 » 내 용
상 품 매 출 ÷ ø 상품을 원¬ ÷상으ü 매출ÝÆ을 때, À생Ý는 ÷ø ®액
ÇÆ
상품을 분할상품계정(3분½ ÷상)에 의õ 처리할 경우, 상
Úø 매 출
품의 판매®액
÷ × Ú ø ®융상품(예®), 대í®, Ì권에Ý À생Ýí ¿는 ÷×

31
| Part 01 | 회계의 기초

분류 계 정 과 » 내 용
주ß 등의 투×ü 인한 ÷ø분¼를 현®으ü ¿는 경우, ý
¼ 당 ® Ú ø
®액
Ç 대 료 부동산 등을 빌¼주ì ý 대¬ü ¿는 ®액
Ú Ú 료 Ú ø 용î(Ý비스)의 제공으ü ¿는 ÚÚ료 ®액
결산일에 단¾매매증권의 공정¬¬ 장부¬ü다 클 경우, ý
단¾매매증권평¬÷ø
ì÷에 õ당Ý는 ®액
ÇÆ외 단¾매매증권을 장부¬ ÷상으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단¾매매증권처분÷ø
Ú ø ÷ø®액
ç형×산을 장부¬ ÷상으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ø
ç형×산처분÷ø
®액
ÇÆ활동 ÷외에Ý À생Ý는 ÷ø으ü ý ®액÷ É은 경
è ÷ ø
우, ý ®액
× 산 Ú 증 ÷ ø ×본ü전 등을 위Ýí 주주 등÷ 무상으ü ½È한 ®액
Ì 무 면 제 ÷ ø ×본ü전 등을 위Ýí 주주 등에 의õ Ì무를 면제¿은 ®액

2) 비용(Expense)

비용÷란 ¾Æ활동 과정에Ý Úø을 ý출ݾ 위Ýí 일정¾간 동안 É출한 것으ü ¾Æ주
의 몫인 ×본의 ¼Í를 ¬져æ는 것을 말한다. 비용은 ¾Æ의 주Ö ÇÆ활동 과정에Ý ý출된
ÇÆ비용과 투×활동÷나 재무활동 과정에Ý ý출된 ÇÆ외비용으ü í분Ý는데, ÇÆ비용
은 경ǯ부인 상품÷나 제품을 ì½에게 판매한 매출원¬와 판매·관리활동과정에Ý À생
한 판매비와 관리비ü 나눈다.

분류 계 정 과 » 내 용
상 품 매 출 손 실 상품을 원¬ ÷Ýü 매출ÝÆ을 때, À생Ý는 ÷ø ®액
매출
판매된 상품의 매È원¬
원¬ 매 출 원 ¬
(¾Í상품재ì액+당¾상품매È액-¾말상품재ì액)
¯ í 종Æ원에게 ɯ되는 월¯ 등 인건비
퇴 Ê ¯ í 종Æ원 퇴ÊÞ É¯ 되는 ¯í
판매비 ý 리 후 생 비 종Æ원의 ý리후생을 위Ýí É출Ý는 비용

Ç ì 료 Ð인의 건물÷나 토É를 사용Ý면Ý É¯한 사용료
관리비
Ù 대 비 ÇÆ의 »É으ü 거래처와의 관계를 çÉݾ 위한 É출

¼ ¬ 상 ­ 비 결산Þ 계상되는 ç형×산 등의 ¬Þ¼Í분

32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분류 계 정 과 » 내 용
무 형 × 산 상 ­ 비 결산Þ 계상되는 무형×산 등의 ¬Þ¼Í분

재산세, ×동ì세, 면허세, 상공Þ의ÍÞ비 등


세 ® 과 공 과
※ 예외)취득세는 해당×산의 취득원¬에 ¬산(차량운반í 등)

½û정다Ú인을 대상으ü 제품 등의 판매Î진을 위õ É출되


광 ì 선 전 비
는 비용

버스ㆍÝÞÖ®을 ɯÝ거나 버스카ü 충전 및 승ì권 íÈ


í 비 교 통 비
비용, 출장비 등

우표 및 엽Ý를 íÈÝ거나 전ÖÖ®, 휴대폰Ö®, 인터넷Ö


통 신 비
® 등

Ú ÷ 광 열 비 전¾Ö®, Ú÷Ö®, ¬스Ö®, 난방용 ç류대® 등

ü 험 료 ü험에 ¬ÈÝì ¹부Ý는 ü험료(Ö재ü험료, ì량ü험료 등)

상품ㆍ제품 매출Þ É¯한 운Ç(상품 등의 매입과정에Ý 발생하


운 반 비
면 재고×산의 매입원¬에 ¬산)
판매비
Ú 선 비 Æ무용 건물, 비품 등 ç형×산의 Ú리를 위한 비용

관리비 종Æ원 교è훈련에 관련된 비용, 외부¾관에Ý 실ÞÝ는 교
교 è 훈 련 비 è, 세미나 참Þ비용, Þ사내의 ×체교è비, ý 외 ¾Ð교
è비

Þ사ì량의 çÉㆍüÚ에 관련된 비용(주ç비, 주ì비, 통Þ


ì 량 ç É 비
료 등)

÷장, ì무인, ­종 문Ý 및 Ý류의 ý사, 사원Ú첩, 달½,


÷ Ý 인 쇄 비 연Ý장, ­종 Æ무용 ÷ÝíÈ비, 신문, èÉ, 정¾간Þ물의
íø비 등

연 í 비 연í단계에Ý À생된 비용

경 상 ¼ À 비 ¼À단계에Ý À생된 비용 중 ×산성을 충ùÝÉ 못한 비용

대 손 상 ­ 비 결산Þ 계상되는 대손예상액과 매출Ì권 ÞÚ½·액

용î을 제공¿ì ɯÝ는 ÚÚ료(¾장ÚÚ료, 은ÞÚÚ료,


É ¯ Ú Ú 료
ü증 ÚÚ료, 제증명 À¯ÚÚ료 등)

Í º 품 비 Æ무활동과 관련Ýí ­종 ͺ성으ü É출되는 비용

®액É 중Ö성÷ Ç는 비용으ü æ물, 분뇨Ú거비, TV Ú신


è 비
료 등
ÇÆ외
÷ × 비 용 ìÈ®, 사Ì에 대한 ÷× É¯Þ À생Ý는 비용
비 용
매출Ì권 ÷외의 Ì권(대í®, 미Ú® 등)에Ý À생Ý는 대
¾Ð의 대손상­비
손상­비

33
| Part 01 | 회계의 기초

분류 계 정 과 » 내 용
결산Þ 단¾매매증권의 공정¬액÷ 장부¬액ü다 É을 때의
단¾매매증권평¬손실
손실

단¾매매증권을 장부¬액 ÷Ý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손실

재ì×산의 실제Ú량÷ 파손, 훼손, ÷난 등의 ÷çü 장부


재 ì × 산 ¼ º 손 실 상의 Ú량ü다 부ù한 경우ü 원¬성÷ Ç는 경우에 À생Ý
ÇÆ외 는 손실
비용
¾ 부 ® 사Þ단체나 종교단체 등에 ¹부한 성®(Æ무와 관련Ç÷ É출)

ç 형 × 산 처 분 손 실 ç형×산을 장부¬액 ÷Ý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손실

매 출 Ì 권 처 분 손 실 ¿을õ음의 할인Þ À생Ý는 할인료

è 손 실 ÇÆ÷외의 활동에Ý 생¾는 ®액÷ É은 손실

재 õ 손 실 Ö재, Úõ 등 재õü 인한 손실

½인세 ½인의 Íý에 대한 세®으ü ½인세할주민세 등을 포ýÝí


½ 인 세 등
비 용 처리

3) 손ø계산Ý

손ø계산Ý는 ¾Æ의 일정¾간의 경Ç성과를 나Ð내는 üìÝü ì변에는 비용을 대변에


는 Úø을 표ÞÝì Úø에Ý 비용을 ì¼한 당¾순손ø을 표Þ한다.

손 ø 계 산 서
차변 대변
총비용
총수ø
당기순÷ø

손ø계산Ý 등ß : 총비용 + 순÷ø = 총Úø


총비용 = 총Úø + 순손실

34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2-2 기업의 경영성과

01.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를 É으Þ오.


(1) ¾Æ활동을 통õ 일정¾간 벌õø인 ®액으ü ¾Æ주의 몫인 ×본을 증¬Þ키
는 î할을 Ý는 것을 ( )÷ÿì Ý며, ¾Æ÷ 일정¾간 동안 É출한 것으ü
¾Æ주의 몫인 ×본의 ¼Í를 ¬져æ는 것을 ( )÷ÿì 한다.
(2) 총Úø과 총비용을 비교Ýí 총Úø÷ 많으면 ì액을 ( )÷ÿ Ýì, 총비
용÷ 많으면 ý ì액을 ( )÷ÿ 한다.
(3) 일정¾간 ¾Æ의 경Ç성과를 나Ð내는 일람표를 ( )ÿì 한다.
(4) 손ø계산Ý 등ß은 총비용 + ( ) = ( ) 또는 총비용 = ( )
+ ( )ü 표Þ할 Ú Ï다.

02. 다음 과» 중 수ø 과»은 R, 비용 과»은 Eü ( )안에 표Þ하Þ오.


(1) ý 리 후 생 비 ( ) (2) 상품매출÷ø ( ) (3) í 비 교 통 비 ( )
(4) ÷ × Ú ø ( ) (5) ¯ í ( ) (6) è ÷ ø ( )
(7) Ù 대 비 ( ) (8) Ç 대 료 ( ) (9) ¾ 부 ® ( )
(10) Ú Ú 료 Ú ø ( ) (11) 매 출 원 ¬ ( ) (12) ì 량 ç É 비 ( )
(13) 세®과 공과 ( ) (14) 광 ì 선 전 비 ( ) (15) ç형×산처분÷ø ( )
(16) 통 신 비 ( ) (17) ¼ 당 ® Ú ø ( ) (18) ÷ × 비 용 ( )

03. ½마상사의 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의 수ø과 비용에 관한 ×료에 의하í
손ø계산Ý를 Ø성하Þ오.

상품매출÷ø ₩80,000 Ç 대 료 ₩30,000 ÷×Úø ₩10,000


상품매출원¬ 30,000 ¯ í 20,000 í비교통비 10,000
광ì선전비 10,000 Ç ì 료 10,000 è 손 실 10,000
손 ø 계 산 서
½ù상사 20××년 1월 1일부터 20××년 12월 31일까É (단위:원)
자 산 ® 액 부채·자본 ® 액

35
| Part 01 | 회계의 기초

1. (1) 수ø, 비용
(2) 순÷ø, 순손실
(3) 손ø계산Ý
(4) 순÷ø. 총수ø, 총수ø, 순손실
2. R : (2), (4), (6), (8), (10), (15), (17)
E : (1), (3), (5), (7), (9), (11), (12), (13), (14), (16), (18)
3. 손 ø 계 산 서
20××년 1월 1일부터 20××년 12월
½ù상사 (단위:원)
31일까É
비 용 ® 액 수 ø ® 액
상품매출원¬ 30,000 상품매출÷ø 80,000
¯ í 20,000 Ç 대 료 30,000
í 비 교 통 비 10,000 ÷ × Ú ø 10,000
광 ì 선 전 비 10,000
Ç ì 료 10,000
è 손 실 10,000
당 ¾ 순 ÷ ø 30,000
þ 계 120,000 þ 계 120,000

3 순손익의 계산

¾Æ의 일정¾간의 경Ç성과인 순손ø을 계산Ý는 방½에는 재산½과 손ø½÷ Ï다. 재산


½과 손ø½에 의Ýí 계산된 당¾순손ø은 Ýü 일ÞÝíý 한다.

1) 재산법(순×산비교법)

재산½은 ¾Í×본과 ¾말×본을 비교Ýí 당¾순손ø을 계산Ý는 방½÷다. ¾Í×본ü


다 ¾말×본÷ 더 많으면 당¾순÷ø÷ì 반대ü ¾Í×본ü다 ¾말×본÷ 더 É으면 당¾순
손실÷다. 만þ에 Þ계¾간 중에 ×본의 증¼을 ¬져æ는 증×, ¼×, 인출 등의 ×본거래는
¾Í×본과 ¾말×본 º두에 ½은 Ç향을 주는 것으ü 당¾순손ø에는 Ç향을 주É 않는다.

36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기초자본 < 기말자본 ⇒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ø


기초자본 > 기말자본 ⇒ 기초자본 - 기말자본 = 당기순손실

※ ݬ출×나 ¼×, 인출÷ Ï는 경우


¾말×본 - ¾Í×본 - ݬ출× + ¼×, 인출 = 당¾순손ø

2) 손ø법(총거래기록법)

손ø½은 Þ계¾간의 총Úø과 총비용을 비교Ýí 당¾순손ø을 계산Ý는 방½÷다.


총Úø÷ 총비용ü다 크면 ý ì액÷ 당¾순÷ø÷ì, 총비용÷ 총Úøü다 크면 ý ì액
÷ 당¾순손실÷다.

총수ø > 총비용 ⇒ 총수ø - 총비용 = 당기순÷ø


총수ø < 총비용 ⇒ 총비용 - 총수ø = 당기순손실

2-3 순손ø 계산

01.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를 É으Þ오.

(1) 순손ø을 계산Ý는 방½에는 ( )과 ( )÷ Ï다.


(2) ¾말×본 – ¾Í×본 = ( )을 재산½ 등ß÷ÿ Ýì, ( ) – 총비용
= 당¾순손ø을 손ø½ 등ß÷ÿ 한다.
(3) ×본의 ݬ출× Ç÷ ¾Æ의 ÇÆ활동 결과ü ×본의 증¬를 ¬져æ는 것을
( )÷ÿ 한다.

02. 다음의 ( ) Î에 알맞은 숫×를 기È하Þ오.(단, 순손실은 8△9ü 표Þ할 것)


번호 상호명 기초자본 기말자본 총수ø 총비용 당기순손ø
(1) ½ù상사 ₩30,000 ₩( d ) ₩( e ) ₩40,000 ₩20,000
(2) ÜÖ상사 ( f ) 60,000 ( g ) 20,000 20,000
(3) 무½상사 40,000 ( h ) 50,000 ( i ) 30,000
(4) 용ù상사 ( j ) 80,000 ( k ) 40,000 △10,000
(5) 정광상사 ( l ) 50,000 70,000 90,000 ( m )
(6) ùí상사 50,000 70,000 80,000 ( n ) ( o )

37
| Part 01 | 회계의 기초

1. (1) 재산½, 손ø½


(2) 당기순손ø, 총수ø
(3) 수ø

2. d ₩50,000(기말×본=기초×본+순÷ø : 30,000+20,000=₩50,000)
e ₩60,000(총수ø=총비용+순÷ø : 40,000+20,000=₩60,000)
f ₩40,000(기초×본=기말×본-순÷ø : 60,000-20,000=₩40,000)
g ₩40,000(총수ø=총비용+순÷ø : 20,000+20,000=₩40,000)
h ₩70,000(기말×본=기초×본+순÷ø : 40,000+30,000=₩70,000)
i ₩20,000(총비용=총수ø-순÷ø : 50,000-30,000=₩20,000)
j ₩90,000(기초×본=기말×본+순손실 : 80,000+10,000=₩90,000)
k ₩30,000(총수ø=총비용-순손실 : 40,000-10,000=₩30,000)
l ₩70,000(기초×본=기말×본+순손실 : 50,000+20,000=₩70,000)
m ₩△20,000(순손실=총비용-총수ø : 90,000-70,000=△₩20,000)
n ₩60,000(총비용=총수ø-순÷ø : 80,000-20,000=₩60,000)
o ₩20,000(순÷ø=기말×본-기초×본 : 70,000-50,000=₩20,000)

38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4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상호관련성

일정ÞØ의 재무상Ü를 나Ð내는 재무상Ü표와 일정¾간의 경Ç성과를 나Ð나는 손ø계산Ý


상의 당¾순÷ø은 ½은 ®액÷ 재무상Ü표에는 대변에 표Þ되ì, 손ø계산Ý에는 ì변에 표Þ된
다. 반대ü 당¾순손실은 ½은 ®액÷ 재무상Ü표에는 ì변에 손ø계산Ý에는 대변에 표Þ된다.

그림 2-1 재무상태표와 손ø계산Ý의 상호관련성

2-4 재무제표 상호간의 관련성

01. ½마상사의 20×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의 ×료는 다음과 같다. 기초 재무상Ü
표와 기말 재무상Ü표 및 손ø계산Ý를 Ø성하Þ오.

(1) 20×1년 1월 1일(¾Í)의 재무상Ü

현®및현®성×산 ₩30,000 외 상 매 출 ® ₩20,000 미 Ú ® ₩30,000


단¾매매증권 ₩10,000 상 품 ₩30,000 건 물 ₩50,000
단 ¾ ì È ® ₩20,000 외 상 매 È ® ₩20,000 미 É ¯ ® ₩30,000

39
| Part 01 | 회계의 기초

(2) 20×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 À생한 Úø과 비용

상품매출÷ø ₩100,000 Ç 대 료 ₩50,000 ÷×Úø ₩10,000


상품매출원¬ ₩50,000 ¯ í ₩20,000 í비교통비 ₩10,000
Ú÷광열비 ₩10,000 광ì선전비 ₩10,000 ü 험 료 ₩10,000

(3) 20×1년 12월 31일(¾말)의 재무상Ü

현®및현®성×산 ₩50,000 외상매출® ₩20,000 미 Ú ® ₩20,000


단¾매매증권 ₩20,000 상 품 ₩50,000 건 물 ₩50,000
단¾ìÈ® ₩30,000 외상매È® ₩10,000 미 É ¯ ® ₩20,000

재 무 상 태 표
½ù상사 20×1년 1월 1일 현재 (단위:원)
자 산 ® 액 부채·자본 ® 액

손 ø 계 산 서
½ù상사 20×1년 1월 1일부터 20××년 12월 31일까É (단위:원)
자 산 ® 액 부채·자본 ® 액

재 무 상 태 표
½ù상사 20×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원)
자 산 ® 액 부채·자본 ® 액

(1) ¾Í×산은 Āù인¬? ( )


(2) ¾Í부Ì는 Āù인¬? ( )

40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3) ¾Í×본®은 Āù인¬? ( )


(4) ¾말×산은 Āù인¬? ( )
(5) ¾말부Ì는 Āù인¬? ( )
(6) ¾말×본®은 Āù인¬? ( )
(7) Úø총액은 Āù인¬? ( )
(8) 비용총액은 Āù인¬? ( )
(9) 당¾순손ø은 Āù인¬? ( )

재무상태표
½ù상사 20×1년 1월 1일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현®및현®성×산 30,000 단 ¾ ì È ® 20,000
외 상 매 출 ® 20,000 외 상 매 È ® 20,000
미 Ú ® 30,000 미 É ¯ ® 30,000
단 ¾ 매 매 증 권 10,000 × 본 ® 100,000
상 품 30,000
건 물 50,000
170,000 170,000

손ø계산서
½ù상사 20×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 (단위:원)
비용 ®액 수ø ®액
상 품 매 출 원 ¬ 50,000 상 품 매 출 ÷ ø 100,000
¯ í 20,000 Ç 대 료 50,000
í 비 교 통 비 10,000 ÷ × Ú ø 10,000
Ú ÷ 광 열 비 10,000
광 ì 선 전 비 10,000
ü 험 료 10,000
당 ¾ 순 ÷ ø 50,000
160,000 160,000

재무상태표
½ù상사 20×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현®및현®성×산 50,000 단 ¾ ì È ® 30,000
외 상 매 출 ® 20,000 외 상 매 È ® 10,000
미 Ú ® 20,000 미 É ¯ ® 20,000
단 ¾ 매 매 증 권 20,000 × 본 ® 150,000
상 품 50,000
건 물 50,000
210,000 210,000

(1) ¾Í×산은 Āù인¬? ( ₩170,000) (2) ¾Í부Ì는 Āù인¬? ( ₩ 70,000)


(3) ¾Í×본®은 Āù인¬? ( ₩100,000) (4) ¾말×산은 Āù인¬? ( ₩210,000)
(5) ¾말부Ì는 Āù인¬? ( ₩ 60,000) (6) ¾말×본®은 Āù인¬? ( ₩150.000)
(7) Úø총액은 Āù인¬? ( ₩160,000) (8) 비용총액은 Āù인¬? ( ₩110,000)
(9) 당¾순손ø은 Āù인¬? ( ₩ 50,000)

41
| Part 01 | 회계의 기초

연습문제

01. 다음 내용에 따른 ½마상사의 2기 기말×본®을 계산하면?

구분 기초자본® 기말자본® 총수ø 총비용 순÷ø


1¾ 10,000원 ( (1) ) 30,000원 ( (2) ) 5,000원
2¾ ( (3) ) ( (4) ) 45,000원 34,000원 ( (5) )

02. 다음 ×료를 ÷용하í ×본®을 계산하면 Ā마인¬?

현 ® 4,500,000원 외상매출® 3,300,000원 미Ú® 1,200,000원


예 Ú ® 1,500,000원 외상매È® 2,500,000원 ×본® ( )

03. 다음 ×료에 의한 당좌×산의 þ계액은 Ā마인¬? ··············································· ( )

당 Ì 예 ® 33,000원 상 품 70,000원 ü통예® 50,000원


미 Ú Ú ø 20,000원 단¾매매증권 34,000원 선 ¯ ® 30,000원

04. 다음은 제øÅ을 Ç위하는 (주)½마의 ×료÷다. 다음 ×료를 ÷용하í 계산한 유동×산의
þ계는? ··············································································································· ( )

현®및현®성×산 200,000원 ¾ 계 장 Þ1,000,000원 매출Ì권 400,000원


제 품 1,000,000원 Ç Æ 권 100,000원 매ÈÌ무 1,000,000원

42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05. 개인기Å인 ½마상사의 재무상Ü와 ý 변Ö를 나타낸 ×료÷다. ÷를 통하í 기말×본을


계산한 ®액으ü 옳은 것은? ···············································································( )

● ¾Í 재무상Ü : ×산 150,000원, 부Ì 90,000원


● ¾중 변동사항 : ݬ 출×액 10,000원
● ¾말 결산결과 : 당¾순÷ø 20,000원

06. 다음 ×료에 의할 경우 기말부채는 Ā마인¬? ····················································( )

¾Í×본 20,000원 총Úø 100,000원 총비용 80,000원


¾Í부Ì 40,000원 ¾말×산 150,000원

07. 다음은 ½마상사의 ÷øÐí® 처분내î÷다. 기초 미처분÷øÐí®을 계산하면 Ā마인


¬? ························································································································( )

당 ¾ 순 ÷ ø 12,000,000원 중 간 ¼ 당 1,000,000원
÷ø준비® ɾ 4,000,000원 ¾말미처분÷øÐí® 14,000,000원

08. 다음의 ×료를 ÷용하í 재무상Ü표에 표Þ될 ×본을 계산하면 Ā마인¬? ········( )

현® 및 현®성×산 50,000원 예 Ú ® 20,000원 선 ¯ 비 용 20,000원


Ç ì ü 증 ® 40,000원 미 É ¯ ® 70,000원 ¾ 계 장 Þ 100,000원
선 Ú ® 10,000원

09. 다음은 개인기Å인 ½마상사의 ×료÷다. (¬)와 (나)에 들어갈 ®액으ü 옳은 것은?
·······························································································································( )

회계연도 제5기 제6기 제7기


¾Í×본® ( (1) ) 1,500,000원 2,000,000원
ݬ출×액 150,000원 200,000원 150,000원
¾Æ주인출액 180,000원 150,000원 130,000원
당¾순÷ø 200,000원 ( (2) ) 300,000원

43
| Part 01 | 회계의 기초

10. 다음 항»들 중에Ý 유동×산의 þ계®액은 Ā마인¬? ······················ ( )

당Ì예® 200,000원 ¼À비 370,000원


선ÚÚø 400,000원 매출Ì권 420,000원
선¯비용 300,000원 Çìü증® 450,000원

11. 다음 ×료의 ( )를 채우Þ오.

회계 기초 기말 수ø 비용
순÷ø
연도 자산 부채 자본 자산 부채 자본 총액 총액

제1¾ 23,000원 11,000원 (1) 26,000원 (2) (3) 9,000원 (4) 2,500원
제2¾ (5) (6) (7) 30,000원 (8) (9) (10) 8,000원 3,500원

12. 다음 ×료에 의해 기말×본, 총수ø ý리고 순÷ø을 ­­ 계산하면 Ā마인¬?

¾Í×본 100,000원 ¾말×산 300,000원


¾말부Ì 140,000원 총비용 30,000원

(1) ¾말×본 :
(2) 총 Ú ø :
(3) 순 ÷ ø :

01. 다음 중 재무상Ü표를 통하í 알 수 Ï는 정ü¬ 아닌 것은?


d ¾Æ의 총×산 규º를 알 Ú Ï다.
e ¾Æ의 ×본 대비 ¾Æ의 부Ì 규º를 알 Ú Ï다.
f 재무íø의 건전성을 파Æ할 Ú Ï다.
g Úø과 비용의 총액을 파Æ할 Ú Ï다.

44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02. 기Å고유의 »É과 관계Æ÷ 타 회사를 ɼ할 »É÷나 장기É인 투×÷윤을 ÿ을 »É으
ü 장기É으ü 투×된 ×산의 항»으ü 옳은 것은?

d 당Ì×산 e 무형×산
f ç형×산 g 투××산

03. 다음 중 재무상Ü표의 기타포괄손ø누계액(×본항»)에 해당하는 항»은?


d 단¾매매증권처분÷ø e ç형×산처분÷ø
f 매÷¬·증권처분÷ø g 매÷¬·증권평¬÷ø

04. 다음 중 재무제표의 ×산의 특징÷ 아닌 것은?


d 과거의 거래나 사건에Ý ý출 e û정¾Æ에 의한 통제
f 미래 경제É 효ø의 çÈ g 물리É 형ܬ Ï음

05. 다음의 ×료ü 비유동×산을 계산하면 Ā마인¬?

외상매출® 600,000원 상 품 800,000원


토 É 2,000,000원 Çìü증® 1,500,000원

d 3,500,000원 e 3,400,000원
f 2,900,000원 g 2,800,000원

06. 다음 용어의 설명 중 옳É 않은 것은?

¬. 재무상Ü표 : 일정 ÞØ의 ×산, 부Ì, ×본의 상Ü를 알게 õ 주는 üìÝ


나. 손ø계산Ý : ¾Æ의 일정¾간의 경Ç성과를 알¼주는 üìÝ
다. 부Ì : 부Ì인ß 당Þ 만¾ÞØ의 ɯ®액과 Ì권׬ 반üÞ ×정되õý 한다.
ÿ. ×산 :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üÝ 현재 ¾Æ실체에 의õ ɼ되ì 미래에
경제É 효ø을 ý출할 것으ü ¾대되는 ×원을 의미

d ¬ e 나 f 다 g ÿ

45
| Part 01 | 회계의 기초

07. 다음 중 재무상Ü표에Ý ×인할 수 Æ는 내용은?


d ×산 e Úø f 부Ì g ×본®

08. 다음 중 기본 회계등ß으ü 틀린 것은?


d ×본 = 부Ì – ×산 e ×산 = 부Ì + ×본
f 부Ì = ×산 – ×본 g ×본 = ×산 – 부Ì

09. 다음 중 재무상Ü표에Ý ×인할 수 Æ는 내용은?


d ×산 e 부Ì
f 일정¾간의 Úø g ×본

10. 다음 중 비유동×산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건설중인×산 e ì량운반í f Çìü증® g 선¯®

11. 다음 중 기타포괄손ø에 Ç향을 미Þ는 것은?


d ×¾주ß처분÷ø e 매÷¬·×산평¬÷ø
f ¼×ìø g 단¾매매증권평¬÷ø

12. 다음 중 재무상Ü표의 ×산분류상 올바른 항»으ü ÞÉ어진 것은?


d 당Ì×산 : Çìü증® 투××산 : 투×부동산
e 투××산 : 매÷¬·증권 ç형×산 : 건물
f 무형×산 : ÇÆ권 투××산 : 장¾미Ú®
g 당Ì×산 : 선¯비용 재ì×산 : 비품

13. 다음 계정의 종류를 나열한 것으ü 틀린 것은?


d ×산 : 현®, 매출Ì권, 선Ú®
e 부Ì : 매ÈÌ무, ìÈ®, 미ɯ®
f ×본 : ×본®, ×본Ðí®, ÷øÐí®
g Úø : 매출, ÷×Úø, Ç대료Úø

46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14. 다음 중 손ø계산Ý상 판매비와관리비 계정÷ 아닌 것은?


d ý리후생비 e Ù대비 f ¼¬상­비 g ¾부®

15. 다음 중 손ø계산Ý에 표Þ되는 항»÷ 아닌 것은?


d 매÷¬·증권처분손실 e 단¾매매증권평¬÷ø
f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g 매÷¬·증권평¬÷ø

16. 다음 재무제표 중 기Å의 일정기간동안 경Ç성과를 üí주는 것은?


d 포괄손ø계산Ý e 재무상Ü표
f ×본변동표 g 현®×름표

17. 한î상사는 20××년 초에 현® 500,000원을 출×하í ÇÅ을 ÞØ하í 20××년 말 기


말×본®은 600,000원÷È다. 한î상사¬ 20××년 한해 동안에 À생한 수ø총액÷
750,000원 ÷ÿ면 20××년에 À생한 비용총액은?

d 500,000원 e 650,000원
f 1,100,000원 g 1,250,000원

18. 다음 중 회계상 등ß으ü 성립될 수 Ï는 것은?(단, 개인기Å으ü ¬정한다.)


d ¾Í×산 + ¾Í부Ì = ¾말×본
e ¾말×본 - ¾Í×본 = 당¾순손ø
f 판매¬·한 상품 + ¾말상품 = 매출원¬
g ¾말×산 + 총비용 = ¾말부Ì + ¾말×본 + 총Úø

19. 개인기Å인 ½마상사의 다음 ×료에 의해 기말×산을 계산한 ®액으ü 옳은 것은?

¾Í×본® 500,000원 ¾말부Ì 200,000원


총Úø 1,000,000원 총비용 500,000원

d 700,000원 e 1,200,000원
f 1,500,000원 g 1,700,000원

47
| Part 01 | 회계의 기초

20. 다음 개인기Å인 ½마상사의 20××년 재무상Ü 및 기중 ×본 변동을 통해 당기순÷ø을


계산하면 Ā마인¬?

기초 기중 기말
×산 500,000원 인출액 100,000원 ×산 1,000,000원
부Ì 200,000원 ݬ출×액 200,000원 부Ì 300,000원

d 100,000원 e 200,000원
f 300,000원 g 400,000원

21. 다음의 ×료에 의하í 기초×본을 í하면 Ā마인¬?

기초자본 기말자산 기말부채 당기순÷ø 기중자본®증¬


? 800,000원 300,000원 150,000원 50,000원

d 600,000원 e 500,000원 f 400,000원 g 300,000원

22. 재무제표의 종류 중 일부를 설명한 것÷다. (¬)와 (나)에 들어갈 재무제표ü 옳은 것은?

( ¬ ) : ¾Æ의 일정¾간 동안의 Úø, 비용의 경Ç성과를 나Ð내는 결산üìÝ÷다.


( 나 ) : ¾Æ의 일정 ÞØ의 ×산, 부Ì, ×본의 재무상Ü를 나Ð내는 결산 üìÝ÷다.

( ¬ ) ( 나 ) ( ¬ ) ( 나 )
d 재무상Ü표 손ø계산Ý e ×본변동표 손ø계산Ý
f 손ø계산Ý 재무상Ü표 g 재무상Ü표 현®×름표

48
Chapter 02. 재무상Ü와 경영성과

기초
회계원리

49
| Part 01 | 회계의 기초

| Chapter 03 |

회계순환과정(1):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1 회계순환과정

Þ계는 û별한 반증÷ Ç는 한 ¾Æ은 ÇÎÉ으ü 존Î한다ì ¬정Ýì Ͼ 때문에 인위É


으ü Þ계¾간을 정Ýí Þ계처리를 Ý게 된다. ý¿¾ 때문에 매 Þ계¾간에 대Ýí Þ계상의
거래를 ¾ýÝì Öþ한 다음, 재무제표ÿ는 Þ계정ü를 Ø성Ý는 과정을 반ýÉ으ü ÚÞÝ게
된다. ÷와 ½÷ 매 Þ계¾간에 대Ýí Þ계거래의 ¾ý 및 Öþ, 재무제표의 Ø성까É의 º든
과정÷ 반ý되는 과정을 Þ계순환과정 (accounting cycle) ÷ÿ 한다. Þ계순환과정은 <ý½
3-1>과 ½÷ Þ계¾간 중의 ¾ý과정과 Þ계¾간 말의 결산과정으ü í분된다. í¾Ý ¾ý과
정÷란 Þ계¾간 동안에 À생한 거래를 분¼Ýì 전¾Ý며, 결산정리전 Þ산표를 통Ýí 계정

그림 3-1 회계순환과정

50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전체의 ì변의 þ계와 대변의 þ계¬ 일ÞÝ는É를 ×인Ý는 일련의 절ì÷다. 결산과정은
Þ계¾간중의 ¾ý한 내용을 ÖþÝí 재무제표ÿ는 Þ계정ü를 Ø성Ý는 과정을 말한다.

2 회계상의 거래

1) 회계상 거래

Þ계상 거래 (transaction) 란 ¾Æ의 경Ç활동 중에Ý ¾Æ의 ×산, 부Ì, ×본의 ®액에
증¼변Ö를 ¬져æ는 사건을 말한다. Þ계상의 거래에는 상품의 매출, ×산의 취ý, 은Þ에Ý
의 ìÈ, 비용의 ɯ 등 일반É 거래는 물론÷÷ Ö재, ÷난, 분실 등÷ 포ý한다.
반면에 상품의 주문÷나 계þ, öü제공, Ì용 등은 ¾Æ의 ×산, 부Ì, ×본의 증¼변Ö에
Ç향을 미ÞÉ 않으므ü Þ계상 거래ü 분류ÝÉ 않는다. 따ÿÝ Þ계순환과정의 출ÀØ은
거래¬ À생ÝÆ을 때, Þ계상의 거래에 õ당Ý는É í부를 판단Ý는 거래의 ß별과정÷며,
Þ계상의 거래ÿì 판단되면 Ö폐단위ü 측정Ýí Þ계장부에 ¾ýÝ게 된다.

2) 거래의 8요Í(결합관계)

¾Æ에Ý À생Ý는 º든 거래는 ×산의 증¬와 ¼Í, 부Ì의 증¬와 ¼Í, ×본의 증¬와
¼Í, Úø의 À생과 비용의 À생÷ÿ는 8¬É ÖÍü 분류할 Ú Ï는데 ÷를 거래의 8ÖÍ(거
래의 결þ관계)ÿ 한다.

51
| Part 01 | 회계의 기초

3-1 거래와 거래의 결합관계

01. 다음 중 회계상의 거래인 것에는 ○표, 회계상의 거래¬ 아닌 것에는 ×표를 ( )안에 넣으
Þ오.

(1) ( ) 종Æ원의 ¯í 2,000,000원을 현®으ü ɯÝ다.


(2) ( ) 사무실을 월세 400,000원에 사용ݾü þÎ을 Ý다.
(3) ( ) 본사 건물÷ Ö재ü 인Ýí 30,000,000원÷ Í실되다.
(4) ( ) ×® ø달을 위õ 투××와 100,000,000원의 투×계þ을 체결Ý다.
(5) ( ) 종Æ원의 ¯í를 300,000원 인상ݾü Ý다.
(6) ( ) 거래처에 ½상품 100,000원을 판매ݾü Ý다.
(7) ( ) Þ사의 토É를 öüü Ýí 은Þ으ü부터 현® 500,000원을 ìÈÝ다.
(8) ( ) Þ사 Íç의 ýì에Ý Ö재¬ À생Ýí ü관중인 상품 100,000원÷ Í실되다.
(9) ( ) 건물 50,000원을 은Þ에 öüü 제공ݾü Ý다.
(10) ( ) 정Ú¾를 렌탈Ýì 매월 30,000원을 ¹부ݾü Ý다.
(11) ( ) 현® 50,000원과 건물 30,000원을 출×Ýí ÇÆ을 ¼ÞÝ다.
(12) ( ) 매장의 Çì료ü 매월 20,000원을 ɯݾü Ýì 계þÝ를 Ø성Ý다.

02. 다음 거래의 결þ관계를 표Þ하Þ오.

(1) 상품 ₩100,000을 매ÈÝì 대®은 현®으ü ɯÝ다.


(2) 상품 ₩200,000을 외상으ü 매ÈÝ다.
(3) 현® ₩300,000을 출×Ýí ÇÆ을 ¼ÞÝ다.
(4) 대í® ÷× ₩50,000을 현®으ü ¿다.
(5) ìÈ® ₩400,000을 현®으ü 상환Ý다.
(6) þÎõ음 ₩500,000을 ÀÞÝí 외상매È®을 ɯÝ다.
(7) 주ß×본®을 ₩600,000을 ÀÞÝí 교환으ü 사Ì를 상환Ý다.
(8) ìÈ® ₩100,000의 ɯ을 면제¿다.
(9) 출×׬ 출×®중 ₩50,000을 현®으ü ÞÚõ ¬다.
(10) 출××의 ìÈ® ₩100,000을 ÇÆ상의 ìÈ®으ü 옮¾다.
(11) A의 출×® ₩200,000을 B의 출×®으ü 옮¾다.
(12) 출׬¬ 출×® ₩300,000을 ¾Æ에 ¾증Ý다.
(13) 종Æ원 ¯í ₩400,000을 현®으ü ɯÝ다.
(14) ìÈ®에 대한 ÷× ₩50,000을 ɯ¾일에 ɯÝÉ 못Ý다.

52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15) 종Æ원 ¯í ₩100,000을 출×®으ü 옮¾다.


(16) 사Ì÷× ₩50,000을 대í®÷×와 상계Ý다.

1. 회계상의 거래인 것 : (1) (3) (7) (8) (11)


회계상 거래¬ 아닌 것 : (2) (4) (5) (6) (9) (10) (12)
2.

ì변 대변 ì변 대변
(1) ×산의 증¬ – ×산의 ¼Í (2) ×산의 증¬ – 부Ì의 증¬
(3) ×산의 증¬ – ×본의 증¬ (4) ×산의 증¬ – Úø의 À생
(5) 부Ì의 ¼Í – ×산의 ¼Í (6) 부Ì의 ¼Í – 부Ì의 증¬
(7) 부Ì의 ¼Í – ×본의 증¬ (8) 부Ì의 ¼Í – Úø의 À생
(9) ×본의 ¼Í – ×산의 ¼Í (10) ×본의 ¼Í – 부Ì의 증¬
(11) ×본의 ¼Í – ×본의 증¬ (12) ×본의 ¼Í – Úø의 À생
(13) 비용의 À생 – ×산의 ¼Í (14) 비용의 À생 – 부Ì의 증¬
(15) 비용의 À생 – ×본의 증¬ (16) 비용의 À생 – Úø의 À생

3) 거래의 종류

거래의 결과 ×산, 부Ì, ×본의 증¼변Ö만 À생Ý는 거래÷며, 비용÷나 Úø의 À생÷
Ç는 거래÷다.

Úø÷나 비용÷ Ú반되õ À생Ý는 거래ü 상대변에는 재무상Ü표상 í성ÖÍ만÷ 증¬


Ý거나 ¼Í한다.

Ý나의 거래에 교환거래와 손ø거래¬ 혼þ된 거래÷다. Ê, 거래의 총액에 ×산, 부Ì,
×본의 증¼액과 Úø, 비용÷ 혼þ된 거래÷다.

53
| Part 01 | 회계의 기초

현®거래는 현®의 ÚÈ과 É출÷ Ú반되는 거래ü È®거래와 출®거래ü í분한다. 대체


거래는 현®의 ÚÈ과 É출÷ 전혀 Ú반되É 않는 전부대체거래와 일부현®÷ Ú반되는 일부
대체거래ü í분한다,

3-2 거래의 종류와 결합관계

01. 다음의 거래를 교환, 손ø, 혼þ거래ü í분하고 거래요Í의 결þ관계를 표Þ하Þ오.

(1) ¾Æ주¬ 현® ₩6,000,000을 출×Ýí ÇÆ을 ¼ÞÝ다.


(2) 건물을 ₩3,000,000에 íÈÝì 대®은 당ÌÚ표를 ÀÞÝí ɯÝ다.
(3) 현® ₩1,000,000을 ü통예®에 예ÈÝ다.
(4) 상품 ₩1,000,000을 íÈÝì ₩500,000은 현®으ü ɯÝ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5) 광ì비 ₩500,000을 현®으ü ɯÝ다.
(6) 원¬ ₩500,000의 상품을 ₩800,000에 매출Ýì 대®은 현®으ü ¿다.
(7) 출장í비 ₩20,000을 현®으ü ɯÝ다.
(8) ü험료 ₩30,000을 현®으ü ɯÝ다.
(9) 종Æ원의 ¯í ₩200,000 현®으ü ɯÝ다.
(10) 예®÷× ₩10,000을 현®으ü ¿다.

02. 다음의 거래를 현®거래와 대체거래ü í분하고 거래요Í의 결þ관계를 표Þ하Þ오.

(1) 예®÷× ₩100,000을 현®으ü ¿다.


(2) 상품 ₩200,000을 외상으ü íÈÝ다.
(3) 상품 ₩300,000을 매ÈÝì, 대® 중 ₩100,000은 현®으ü ɯÝì 잔액은 외상
으ü Ý다.
(4) 상품 ₩400,000을 매출Ýì, 대® 중 ₩200.000은 현®으ü ¿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54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1.
번호 거래의 구분 차 변 대 변
(1) 교환거래 ×산증¬ ×본증¬
(2) 교환거래 ×산증¬ ×산¼Í
(3) 교환거래 ×산증¬ ×산¼Í
(4) 교환거래 ×산증¬ ×산¼Í, 부Ì증¬
(5) 손ø거래 비용À생 ×산¼Í
(6) 혼þ거래 ×산증¬ ×산¼Í, ÚøÀ생
(7) 손ø거래 비용À생 ×산¼Í
(8) 손ø거래 비용À생 ×산¼Í
(9) 손ø거래 비용À생 ×산¼Í
(10) 손ø거래 ×산증¬ ÚøÀ생

2.
번호 거래의 구분 차 변 대 변
(1) 현®거래 ×산증¬ ÚøÀ생
(2) (전부)대체거래 ×산증¬ 부Ì증¬
(3) (일부)대체거래 ×산증¬ ×산¼Í, 부Ì증¬
(4) (일부)대체거래 ×산증¬ ×산¼Í(ÚøÀ생)

3 계정

1) 계정의 의의

Þ계상의 거래¬ À생Ý면 ×산, 부Ì, ×본의 증¼변Ö와 Úø, 비용÷ À생 ÿ은 Í멸Ý게
되는 데 ÷러한 증¼변Ö를 명½히ݾ 위Ýí í체É인 항»을 세워 ¾ý, 계산Ý는데 ý
계산단위를 계정÷ÿì 한다. 또한 계정에 붙÷는 ÷름을 계정과»÷ÿì Ý며 , 계정에
¾ýÝ는 É면을 계정계Ìÿì 한다. ý리ì º든 계정과»의 왼쪽을 ì변(debtor: Dr), 계정
의 æ른쪽을 대변(creditor: Cr)÷ÿì 한다. 계정의 형ß은 표준ß과 잔액ß÷ ÏÉ만 설명÷
편의상 앞으ü T계정을 사용한다.

55
| Part 01 | 회계의 기초

2) 계정의 분류

계정은 크게 재무상Ü표 계정과 손ø계산Ý계정으ü í분한다. 재무상Ü표계정은 ×산


계정, 부Ì계정, ×본계정으ü 분류Ýì, 손ø계산Ý계정은 비용계정과 Úø계정으ü 분류
한다.

현 ®(계정과»)
차변 대변

계정계좌 계정계좌

표 3-1 계정의 분류

×산계정 현® 및 현®성×산, 외상매출®, ¿을õ음, 상품, 건물, 비품 등


재무상태표
부Ì계정 단¾ìÈ®, 외상매È®, ɯõ음, 미ɯ®, 장¾ìÈ® 등
계정
×본계정 ×본®, 인출® 등

손ø계산서 Úø계정 상품매출÷ø, Ç대료, ÷×Úø, ÚÚ료Úø 등


계정 비용계정 ¯í, ý리후생비, ü험료, 통신비, 광ì선전비, ÷×비용 등

3-3 계정의 분류

01. 다음 계정과»을 ×산(A)·부채(L)·×본(C)·수ø(R)·비용(E)으ü í분하Þ오.

(1) 단 ¾ ì È ® ( ) (2) 단¾매매증권 ( ) (3) ¯ í ( )


(4) 매 출 Ì 권 ( ) (5) 광 ì 선 전 비 ( ) (6) 선 ¯ ® ( )
(7) 미 É ¯ ® ( ) (8) 상 품 ( ) (9) ÷ × Ú ø ( )
(10) ì 량 운 반 í ( ) (11) 대 í ® ( ) (12) × 본 ® ( )
(13) Ú ÷ 광 열 비 ( ) (14) ¼ À 비 ( ) (15) Ç 대 료 ( )
(16) 예 Ú ® ( ) (17) 상품매출÷ø ( ) (18) 비 품 ( )
(19) ÷ × 비 용 ( ) (20) Ù 대 비 ( ) (21) 세 ® 과 공 과 ( )
(22) ¾ 부 ® ( ) (23) 매 È Ì 무 ( ) (24) 사 Ì ( )

56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 ×산 : (2) (4) (6) (8) (10) (11) (14) (18)


⦁ 부채 : (1) (7) (16) (23) (24)
⦁ ×본 : (12)
⦁ 수ø : (9) (15) (17)
⦁ 비용 : (3) (5) (13) (19) (20) (21) (22)

3) 계정의 기È방법

계정에 ¾ÈÝ는 방½은 거래의 8ÖÍ와 일Þ한다.


×산의 증¬는 ×산계정 ì변에 ×산의 ¼Í는 ×산계정 대변에,
부Ì의 증¬는 부Ì계정 대변에 부Ì의 ¼Í는 부Ì계정 ì변에,
×본의 증¬는 ×본계정 대변에 ×본의 ¼Í는 ×본계정 ì변에,
Úø의 À생은 Úø계정 대변에 Úø의 Í멸은 Úø계정 ì변에,
비용의 À생은 비용계정 ì변에 비용의 Í멸은 비용계정 대변에 ¾È한다.

계정¾È의 원ß에 따ÿ 거래를 계정에 ¾ÈÝ면 º든 계정은 잔액÷ 나Ð난다. ×산계정


은 ì변에 증¬를 ¾ÈÝì 대변에 ¼Í를 ¾ÈÝ므ü ì변®액과 대변®액을 Ýü 상계Ý면
증¬를 ¾È한 ì변에 ®액÷ ¸게 되는데 ÷것을 ì변잔액÷ÿì 한다. ÷와 ½은 원리를
º든 계정에 É용Ý면 ×산계정과 비용계정은 ì변잔액계정÷ì, 부Ì계정과 ×본계정 및
Úø계정은 대변잔액계정÷다.

4) 거래의 ÷중성과 대차평균의 원리

ýß부¾원리에 의Ýí ¾ýÝ는 º든 거래는 ì변ÖÍ와 대변ÖÍ의 결þ으ü ÷루õÉ


ì 항상 ì변의 ®액과 대변의 ®액÷ 일ÞÝ게 되는데 ÷것을 거래의 ÷중성÷ÿì 한다,
Ê, 거래의 ÷중성에 따ÿ Ý나의 거래는 õ떤 계정 ì변에 ¾È되ì, 다른 계정 대변에
동일한 ®액÷ ¾È된다. ý 결과 º든 계정의 ì변®액의 þ계와 대변®액의 þ계¬ 항상
일ÞÝì º든 계정의 ì변잔액의 þ계와 대변잔액의 þ계÷ 항상 일ÞÝ게 되는데 ÷것을
대차평균의 원리ÿì 한다.

57
| Part 01 | 회계의 기초

대ì평균의 원리에 의Ýí º든 계정의 ì변þ계와 대변þ계를 비교Ýì ý þ게¬ 일ÞÝ


는É를 검토Ýí Þ계¾ý과 계산의 정×성을 검증할 Ú Ï게 되는데, ÷것을 ýß부기의
×기검증기능÷ÿì 한다.

3-4 계정의 기입방법

01. 다음 계정과» 중 증¬나 À생액÷ 차변에 기È되는 것에는 8차9, 증¬나 À생액÷ 대변에
기È되는 것에는 8대9ÿ고 ( )안에 기È하Þ오.

(1) 단¾ìÈ® ( ) (2) 단¾매매증권 ( ) (3) ¯ í ( )


(4) 매 출 Ì 권 ( ) (5) 광 ì 선 전 비 ( ) (6) 선 ¯ ® ( )
(7) 미 É ¯ ® ( ) (8) 상 품 ( ) (9) ÷ × Ú ø ( )
(10) ì량운반í ( ) (11) 대 í ® ( ) (12) × 본 ® ( )
(13) Ú÷광열비 ( ) (14) ¼ À 비 ( ) (15) Ç 대 료 ( )
(16) 예 Ú ® ( ) (17) 상품매출÷ø ( ) (18) 비 품 ( )
(19) ÷ × 비 용 ( ) (20) Ù 대 비 ( ) (21) 세 ® 과 공 과 ( )
(22) ¾ 부 ® ( ) (23) 매 È Ì 무 ( ) (24) 사 Ì ( )

⦁ 차 : (2) (3) (4) (5) (6) (8) (10) (11) (13) (14) (18) (19) (20) (21) (22)
⦁ 대 : (1) (7) (9) (12) (15) (16) (17) (23) (24)

4 분개와 전기

1) 분개

거래¬ À생Ý면 õ당 거래의 성­을 분ÞÝì, ¾ý을 위Ýí 관련 계정과», ®액, ì변과
대변을 결정Ý는 절ì를 분¼(journalizing) ÿì 한다.

58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예를 øõ 상품 ₩10,000을 매ÈÝì ý 대®으ü 현®을 É¯ÝÆ다면 상품÷ÿ는 ×산÷


증¬Ýì 현®÷ÿ는 ×산÷ ¼ÍÝÆ음을 알 Ú Ï다. 따ÿÝ 상품계정 ì변에 ₩10,000을
¾ÈÝì 현®계정 대변에 ₩10,000을 ¾ÈÝíý 한다. ÷것을 다음과 ½÷ 표ÞÝ는 것을
분¼ÿì 한다.

 거래: 상품 ₩10,000을 매ÈÝì ý 대®을 현®으ü ɯÝ다.


 분¼: (ì변) 상 품 ₩10,000 (대변) 현 ® ₩10,000

º든 거래에 대한 Þ계처리의 첫 번째¬ 분¼ü ÞØÝ므ü 분¼를 잘 Ý는 것은 Þ계에Ý


매우 중ÖÝ다. 분¼를 잘 ݾ 위õÝ는 거래8ÖÍ와 결þ관계를 충분히 연습Ýíý만 한다.

분¼는 분¼장(journal) ÿ은 전표(chit)에 ¾ýÝ게 된다. Ê, Þ계¾간 중에 À생한 º든


거래ø은 분¼Ýí À생순Ý에 따ÿÝ 분¼장에 ¾ýÝ거나 Ø성된 전표 Ý단에 분¼를 ¾ý
Ýí 날짜순으ü 편철Ýí ü관Ý는 것으ü 분¼장을 대신ݾ÷ 한다.

3-5 분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현® ₩800,000을 출×Ýí ÇÆ을 ¼ÆÝ다.


(2) 상품 ₩100,000을 현®으ü 매ÈÝ다.
(3) 은Þ으ü부터 현® ₩500,000을 6¼월 후에 ¾¾ü Ýì ìÈÝ다.
(4) 원¬ ₩50,000의 상품을 ₩80,000에 매출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5) 현® ₩100,000을 ü통예®에 예ÈÝ다.
(6) 종Æ원 ¯í ₩70,000을 현®으ü ɯ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현 ® ₩800,000 × 본 ® ₩800,000
(2) 상 품 100,000 현 ® 100,000
(3) 현 ® 500,000 단¾ìÈ® 500,000
외상매출® 80,000 상 품 50,000
(4)
상품매출÷ø 30,000
(5) ü 통 예 ® 100,000 현 ® 100,000
(6) ¯ í 70,000 현 ® 70,000

59
| Part 01 | 회계의 기초

2) 전기

분¼장 ÿ은 전표에 분¼된 내용을 ¾Íü 총계정원장의 õ당 계정에 옮¬ Éõ 계정과»


별ü 정리Ý는 절ì를 전¾ (posting) ÿì 한다. Ê, 분¼한 것을 ×산, 부Ì, ×본, Úø
및 비용 ­­의 세부계정에 전¾한다. 전¾Ý는 방½은 분¼장의 ì변에 분¼된 내용은 총계
정원장 õ당 계정의 ì변에 전¾Ýì, 대변에 분¼된 내용은 õ당 계정의 대변에 전¾한다.
÷때 상대계정과»÷ 둘 ÷상일 때에는 ÉÖ란에 8제Ì9ÿì ¾È한다.

● 거 래
3/1 상품 ₩20,000을 외상으ü 매ÈÝ다.

● 거래의 결합관계

3/1 (ì변) ×산의 증¬ 20,000 (대변) 부Ì의 증¬ 20,000


(상품) (외상매È®)

● 분 개

3/1 (ì변)상 품 20,000 (대변) 외상매È® 20,000

● 전 기
상 품 외상매È®
3/1 외상매È® 20,000 3/1 상품 20,000

3-6 전기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고 해당 계정에 전기하Þ오.

4월 1일 현® ₩800,000을 출×Ýí Ö장품 대리Ø을 ¼ÆÝ다.


3일 상품 ₩200,000을 매ÈÝì, 대® 중 ₩100,000은 현®으ü ɯÝ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6일 사무용 Í상, 컴퓨터 등을 ₩100,000에 현®으ü íÈÝ다.
12일 원¬ ₩100,000의 상품을 ₩200,000에 매출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20일 외상매출® ₩200,000을 현®으ü ÞÚÝ다.
25일 종Æ원 ¯í ₩80,000을 현®으ü ɯÝ다.

60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4/ 1 현 ® ₩800,000 × 본 ® ₩800,000
상 품 200,000 현 ® 100,000
4/ 3
외상매È® 100,000
4/ 6 비 품 100,000 현 ® 100,000
외상매출® 200,000 상 품 100,000
4/12
상품매출÷ø 100,000
4/20 현 ® 200,000 외 상 매 출 ® 200,000
4/25 ¯ í 80,000 현 ® 80,000

현®
4/ 1 × 본 ® 800,000 4/ 3 상품 100,000
4/20 외상매출® 200,000 4/ 6 비품 100,000
4/25 ¯í 80,000

외상매출®
4/12 제Ì 200,000 4/20 현® 200,000

상품
4/ 3 제Ì 200,000 4/12 외상매출® 100,000

비품
4/ 6 현® 100,000

외상매È®
4/ 3 상품 100,000

×본®
4/ 1 현® 800,000

상품매출÷ø
4/12 외상매출® 100,000

¯í
4/25 현® 80,000

61
| Part 01 | 회계의 기초

5 회계장부와 전표제도

1) 회계장부

¾Æ의 경Ç활동과정에Ý À생Ý는 º든 거래를 ¾ý, 계산, 정리Ýí 엽Æ활동에 대한


내용을 명×히 ¾ýÝ는 É면을 장부ÿì 한다.

2) 장부øÊ

Þ계¾간 중에 거래¬ À생Ý면 거래를 분ÞÝí 분¼장에 분¼Ýì, 총계정원장의 ­


계정에 전¾한다. ý러나 분¼장과 총계정원장에 ¾ÈÝ는 것만으ü는 거래의 내용을 충분히
파ÆÝ¾ õ¼우므ü üø부에 ü충É으ü ¾È한다. Þ계장부는 주Ö부와 üø부ü í분Ý
는데 분¼장과 총계정원장을 주Ö부ÿ Ýì üø부는 분¼장의 û정 거래내용을 ü중õ주는
üø¾È장과 총계정원장의 û정 계정에 대한 üøî할을 Ý는 üø원장으ü í분한다.

분 개 장 거래의 À생순Ý에 따ÿ 분¼Ýí ¾ýÝ는 장부


주요부
총 계 정 원 장 ×산, 부Ì, ×본, 비용, Úø의 º든 계정과»을 ºÅ´은 장부

상품별ü Èì와 출ì를 ¾ýÝí 재ì를 파


상 품 재 ì 장
Æ
매È처별ü 외상매È과 외상매È®의 ɯ을
매 È 처 원 장
보 조 원 장 ¾È
매출처별ü 외상매출과 외상매츌®의 ÞÚ를
매 출 처 원 장
¾È
ì 정 × 산 대 장 ì정×산의 증¼을 ¾ý 관리
보조부
현 ® 출 ¹ 장 현®의 ÚÈ과 É출을 ¾È
당Ì예®출¹장 당Ì예®의 예È과 인출을 ¾È
매 È 장 상품의 매È과 환출 및 에누리 등을 ¾È
보 조 기 È 장 매 출 장 상품의 매출과 환È 및 에누리 등을 ¾È
¿을õ음¾È장 õ음의 Ú취와 õ음대®의 ÞÚ 등을 ¾È
õ음의 ÀÞ 또는 인Ú와 만¾에 ɯ 등을
ɯõ음¾È장
¾È

62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3) 전표제도

전표(slip)란 À생한 거래내î을 한 건î ¾ýÝ는 종÷쪽É를 말한다. 전표에는 거래내î


뿐만 Å니ÿ 전표 Ø성×와 검토×의 ×인란÷ 포ý되õ Ïõ 거래내î을 ¾ýÝì 관련
부Ý에 전달Ý며 결재Ý는 Ý류¾·÷ Ï다. ý¿¾ 때문에 분권Ö된 ¾ÆøÊ에Ý À생한
거래를 ­ 부Ý에 신Î히 전달Ýí 승인을 ¿은 뒤 관련 장부에 ¾ýÝ는 Ú단÷다.

전표제÷의 종류에는 1전표제÷, 3전표제÷, 5전표제÷¬ Ï으나 실무에Ý는 주ü 3전표제


÷를 사용Ýì Ï다. 3전표제÷란 전표를 È®전표(ÉÉ), 출®전표(청É), 대체전표(ØÉ)ü
í분Ý는 것을 말한다.

구 분 전표의 종류
1전표제÷ 분¼전표
3전표제÷ È®전표, 출®전표, 대체전표
5전표제÷ È®전표, 출®전표, 대체전표, 매È전표, 매출전표

È®전표는 현®의 ÚÈ을 Ú반Ý는 È®거래만을 ¾ÈÝ는 전표를 말한다. È®거래는


ì변에 현®계정÷ 표Þ되ì 대변에 다른 계정과»÷ 표Þ된다. 먼È 현®÷ È®된 날짜를
¾ýÝì 대변의 계정과», 처래처 및 거래내î(ÉÖ), ®액을 순Ý대ü 공란에 ¾È한다.
û히 È®거래의 ì변은 항상 현®÷므ü È®전표에는 현®을 표ÞÝÉ 않ì 대변과»만
¾ÈÝ게 된다.

63
| Part 01 | 회계의 기초

출®전표는 현®의 É출을 Ú반Ý는 출®거래만을 ¾ÈÝ는 전표를 말한다. 출®거래는


대변에 현®계정÷ 표Þ되ì ì변에 다른 계정과»÷ 표Þ된다. 따ÿÝ 출®전표에는 거래일
×, ì변의 계정과», 거래처 및 거래내î, ®액을 ¾È한다. 출®거래의 대변은 항상 현®÷
므ü 출®전표에는 현®을 표ÞÝÉ 않ì ì변과»만 ¾ÈÝ게 된다.

대체전표는 현®의 ÚÈ과 É출을 Ú반ÝÉ 않는 거래를 ¾ýÝ는 전표를 말한다. Ê,


È®전표나 출®전표ü 나Ð낼 Ú Ç는 거래를 ¾ýÝ는 전표÷다. 따ÿÝ 대체전표에는
ì변과 대변에 계정과»과 ®액을 ­­ 표ÞÝí Ø성Ý게 된다.

øÊ의 규º¬ 크ì 거래의 양÷ 많은 ¾Æ에Ý는 ¾ý된 거래의 내용÷ ­ 부Ý에 신ÎÝ


ì 정×Ý게 전달되õý 한다. ÷러한 경우 ¾Æ실무에Ý는 분¼장 대신 전표를 사용Ý게
된다. 전표제÷의 장Ø은 다음과 ½다.
 거래내용을 관련부Ý에 신η정×Ý게 전달할 Ú Ï다.

64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 거래의 À생사실을 증명Ý는 증ÿÝ류¬ 된다.


 관련 Ê원의 Ý명÷나 날인을 통õÝ ÍÇÍ재¬ 명×õ 진다.
 ­ 부Ý별ü ¾ý관련 Æ무를 분ö할 Ú Ï다.

한편, 전표는 거래 건별ü ÀÞÝí 사용Ý는 때문에 거래의 누¬·성÷ ³으며 ü존


및 관리¬ ½편한 단Ø÷ Ͼ÷ Ý다.

3-7 전표회계

01. 다음의 거래를 È®·출®·대체전표에 기È하Þ오.

(1) 상품 ₩200,000을 매ÈÝì 대® 중 ₩100,000은 현®으ü ɯÝì 잔액은 외상으


ü Ý다.
(2) 상품 ₩300,000을 외상으ü 매출Ý다.
(3) 외상매출® ₩50,000을 현®으ü ÞÚÝ다.
(4) ͺ품 ₩30,000을 외상으ü íÈÝ다.(비용처리)
(5) ¯í ₩50,000을 현®으ü ɯÝ다.

(1) 대체전표 출®전표


상 품 100,000 외상매È® 100,000 상 품 100,000

(2) 대체전표 (3) È®전표


외상매출® 300,000 상품매출 300,000 외상매출® 50,000

(4) 대체전표 (5) 출®전표


ͺ품비 30,000 미ɯ® 30,000 ¯ í 50,000

65
| Part 01 | 회계의 기초

연습문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현® ₩3,000,000을 출×Ýí 상품매매Æ을 ¼ÞÝ다.


(2) ÇÆ용 비품 ₩200,000을 현®으ü íÈÝ다.
(3) 상품 ₩500,000을 매È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4) 상품 ₩600,000(원¬ ₩300,000)을 매출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5) 은Þ으ü부터 현® ₩1,000,000을 단¾ìÈÝ다.
(6) 광ì선전비₩100,000을 현®으ü ɯÝ다.
(7) 외상매È® 중 ₩300,000을 현®으ü ɯÝ다.
(8) 외상매출® 중 ₩500,000을 현®으ü ÞÚÝ다.
(9) 종Æ원¯í ₩200,000을 현®으ü ɯÝ다.
(10) 전¾Ö®₩50,000과 Ú÷Ö® ₩20,000을 현®으ü ɯ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9)
(10)

66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02.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현® ₩5,000,000(단¾ìÈ® ₩1,000,000 포ý), 건물 ₩3,000,000을 출×Ýí 상


품매매Æ을 ÞØÝ다.
(2) ÇÆ에 사용할 ì량운반í ₩300,000에 íÈÝì 대®은 나중에 ɯݾü Ý다.
(3) 상품 ₩800,000을 매ÈÝì 대®은 현®으ü ɯÝ다.
(4) 무½상사에 현® ₩300,000을 단¾대íÝ다.
(5) 상품 ₩800,000(원¬ ₩400,000)을 매출Ýì 대®중 ₩500,000은 현®으ü ¿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6) ÇÆ에 사용할 비품 ₩200,000을 현®으ü íÈÝ다.
(7) 외상매출® ₩300,000을 현®으ü ÞÚÝ다.
(8) 사무실 Çì료 ₩100,000을 현®으ü ɯÝ다.
(9) 무½상사ü부터 단¾대í® ₩300,000과 ÷× ₩10,000을 현®으ü ¿다.
(10) 종Æ원¯í ₩200,000을 현®으ü ɯ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9)

(10)

67
| Part 01 | 회계의 기초

03.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고 아래 계정에 전기하Þ오

5월 1일 현® ₩2,000,000을 출×Ýí 상품매매Æ을 ¼ÞÝ다.


3일 은Þ으ü부터 현® ₩1,500,000을 단¾ìÈÝ다.
6일 ÇÆ용 비품 ₩300,000을 현®으ü íÈÝ다.
9일 상품 ₩700,000을 매È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12일 상품 ₩500,000(원¬ ₩300,000)을 매출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15일 사무실 Çì료 ₩100,000을 현®으ü ɯÝ다.
20일 외상매출® ₩500,000을 현®으ü ÞÚÝ다.
25일 외상매È® 중 ₩400,000을 현®으ü ɯÝ다.
31일 종Æ원¯í ₩200,000을 현®으ü ɯÝ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5월 1일

3일

6일

9일

12일

15일

20일

25일

31일

현® 외상매출®

상품

비품 외상매È®

단¾ìÈ® ×본®

상품매출÷ø ¯í

Çì료

68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04. 다음 거래를 ü고 거래의 내용을 Ý정하Þ오.

구분 차변과» ® 액 대변과» ® 액 거래내용

(1) 현 ® 3,000,000 × 본 ® 3,000,000

상 품 600,000 현 ® 200,000
(2)
외상매È® 400,000

(3) 현 ® 800,000 단 ¾ ì È ® 800,000

외상매출® 500,000 상 품 300,000


(4)
상품매출÷ø 200,000

(5) 외상매È® 400,000 현 ® 400,000

(6) ¯ í 200,000 현 ® 200,000

05. 다음 전기된 계정을 ü고 날Ý순으ü 분개를 Ý정하Þ오.


현® 상품
5/ 2 ×본® 800,000 5/15 비 품 50,000 5/10 외상매È® 300,000 5/20 현® 200,000
20 제 Ì 300,000 25 외상매È® 200,000
30 ¯ í 50,000 비품
5/15 현® 50,000

외상매È® ×본®
5/25 현® 200,000 5/10 상품 300,000 5/2 현® 800,000

상품매출÷ø ¯í
5/20 현® 100,000 5/30 현® 50,000

01. 다음 중 회계상의 거래인 것은?


d 종Æ원을 월¯ 1,600,000원으ü Ì용ݾü 계þÝÆ다.
e 건물에 대õ 월세 1,000,000원으ü Çì계þ을 맺¾ü í두ü þÎÝÆ다.
f 전Öü 상품 2,000,000원을 주문¿았다.
g 당사 상품을 관할Þ청에 ½우÷웃을 돕¾ 위Ýí ¾부ÝÆ다.

69
| Part 01 | 회계의 기초

02. 다음 거래에 대한 거래 요Í의 결þ 형Ü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현® 5,000,000원을 출×Ýí OO상사를 ¼ÆÝÆ다.

d ×산의 증¬ - ×본의 ¼Í e ×산의 증¬ - ×산의 ¼Í


f ×산의 증¬ - ×본의 증¬ g ×산의 증¬ - 부Ì의 증¬

03. 다음 거래요Í의 결þ관계¬ À생하는 것으ü 옳은 것은?

(ì변) 비용의 À생 (대변) 부Ì의 증¬

d ¯í 미ɯ분 500,000원을 계상Ý다.


e ü험료 미경과분 500,000원을 계상Ý다.
f ÷×Úø 선Ú분 500,000원을 계상Ý다.
g ÚÚ료Úø 미Ú분 500,000원을 계상Ý다.

04. 다음 중 ×본의 ¼Í 원인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건물 Ú선비ü 100,000원을 É¯ÝÆ다.
e ¾계장Þ의 ¼¬상­비 150,000원을 계상ÝÆ다.
f 매출Ì권 200,000원을 거래처ü부터 ÞÚÝÆ다.
g 매÷¬·증권 평¬손실 50,000원÷ À생ÝÆ다.

05. 다음 제Þ된 (¬), (나)의 거래에 대한 거래종류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 ì량운반í를 1,000,000원에 íÈÝì ý 대® 중 500,000원은 현®으ü ɯÝì


잔액은 1¼월 후에 ɯݾü Ý다.
(나) íÈ한 ì량운반í에 대한 ü험료 1년분 150,000원을 현®으ü ɯÝ다.

(¬) (나) (¬) (나)


d 교환거래 혼þ거래 e 혼þ거래 손ø거래
f 교환거래 손ø거래 g 손ø거래 교환거래

70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06. 회계상 거래¬ À생하면 거래의 ÷중성에 따ÿ 어떤 계정의 차변과 다른 계정의 대변에
같은 ®액으ü 기È되는데, ÷를 무Ç÷ÿ 하는¬?

d 대ì평균의 원리 e 거래의 ÷중성


f 거래의 8ÖÍ g Þ계등ß

07. 다음 중 비유동×산에 포ý되É 않는 계정과»은?


d 매÷¬·증권 e 선¯®
f ¼À비 g Çìü증®

08. 다음 중 손ø계산Ý에 표Þ되는 계정과»÷ 아닌 것은?


d ç형×산처분÷ø e ¼¬상­누계액
f 대손상­비 g Ù대비

09. 다음 중 당기순÷ø에 Ç향을 미Þ는 계정과»÷ 아닌 것은?


d 매출원¬ e 연í비
f ÷×비용 g ×¾주ß처분÷ø

10. ㈜½마에Ý À생한 거래를 분개한 것÷다. 틀린 것은?


d 장¾ìÈ® 100,000원을 ü통예®에Ý 출®Ýí 상환ÝÆ다.
(ì변) 장¾ìÈ® 100,000원 (대변) ü통예® 100,000원
e 비품 100,000원을 íÈÝì 대®은 ÅÊ É¯ÝÉ 않았다.
(ì변) 비 품 100,000원 (대변) 미ɯ® 100,000원
f 종Æ원에게 ¯í 100,000원을 ü통예®으ü É¯ÝÆ다.
(ì변) ¯ í 100,000원 (대변) ü통예® 100,000원
g 상품 100,000원을 판매Ýì 대®을 ÅÊ ¿É 못Ý다.
(ì변) 미ɯ® 100,000원 (대변) 매 출 100,000원

71
| Part 01 | 회계의 기초

11. 다음은 ㈜½마의 ×료÷다. 다음 현®계정을 ü고 날Ý별 À생한 거래의 Ý정으ü 틀린 것은?

현 ®
1월 1일 ×본® 100,000원 2월 1일 ¯ í 200,000원
3월 1일 토 É 300,000원 4월 1일 상 품 400,000원

d 1월 1일 ㈜½ù의 주주는 현® 100,000원을 출×ÝÆ다.


e 2월 1일 ㈜½ù는 Ê원에게 ¯í 200,000원을 É¯ÝÆ다.
f 3월 1일 ㈜½ù는 300,000원의 토É를 현®으ü íÈÝÆ다.
g 4월 1일 ㈜½ù는 400,000원의 상품을 현®으ü 매ÈÝÆ다.

12. 다음 중 거래를 최초ü 기ý하는 회계장부는?


d Þ산표 e 거래처원장
f 분¼장 g 계정별원장

13. 다음 장부 중 주요부에 해당하는 것끼리 ÞÉ어진 것은?


d 분¼장, 매È장 e 현®출¹장, 매출장
f 매출장, 매È장 g 총계정원장, 분¼장

14. 다음 거래를 기È해ý 할 회계장부와 관련÷ Æ는 것은?

무½상사에 상품 1,000,000원을 매출Ýì 대® 중 500,000원은 동ØÀÞ þÎõ음으


ü ¿ì 나머É는 외상으ü Ý다.

d 매출장 e 상품재ì장
f 매출처원장 g ɯõ음¾È장

15. 거래¬ À생할 때마다 거래일×, 계정과», 거래내용, ®액 및 거래처를 기ý하고 관련부
Ý에 전달하는 일정한 양ß의 용É는 무Ç인¬?

d 총계정원장 e 전표
f 분¼장 g þ계잔액Þ산표

72
Chapter 03. 회계순환과정(1) : 회계기간 중의 기ý과정

16. 다음 거래¬ 기È되는 전표ü 올바른 것은? 단, 당Ø은 3전표제를 채Ý하고 Ï다.

외상매È® 200,000원 중 50,000원은 ÍçÝì Ï던 대한은Þ ÀÞ ×¾앞Ú표ü


ɯÝì, 잔액은 1¼월 후 þÎõ음을 ÀÞÝí ɯÝ다.

d È®전표, 출®전표 e È®전표, 대체전표


f 출®전표, 대체전표 g 대체전표, 현®전표

73
| Part 01 | 회계의 기초

| Chapter 04 |

회계순환과정(2):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1 결산의 의의 및 절차

1) 결산의 의의

¾Æ은 경Ç활동에 따ÿ À생Ý는 거래를 분¼장에 분¼Ýì 총계정원장에 전¾Ýì Ï다.


ý러니 ÷것만으ü는 ¾Æ의 재무상Ü와 경Ç성과를 명×Ý게 파ÆÝ¾ 곤란ݾ 때문에
인위É으ü Þ계¾간을 정Ýì Þ계¾말에 ­종 장부를 정리Ýì ù¼Ýí 알¾ 쉽게 체계Ö
할 필Ö¬ Ï다. ÷와 ½÷ Þ계¾말에 장부를 ù¼Ýí ×산, 부Ì, ×본의 상Ü를 정리Ýì,
À생한 Úø과 비용을 비교Ýí 경Ç성과를 체계É으ü 파ÆÝ는 일련의 절ì를 결산(closin
g)÷ÿì 한다. ¾Æ은 월결산, 분¾결산, 반¾결산, ¾말결산 등을 할 Ú Ï으나, ¾말결산을
¾준으ü 설명한다.

2) 결산절차

결산의 절ì는 예비절ì, 본절ì, ý리ì 재무제표를 Ø성Ý는 결산후절ìü 나눌 Ú Ï다.

74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d Þ산표의 Ø성
(1) 결산의 예비절ì ⇒ e 결산정리사항의 Ú정(재ìø사표)
f 정산표의 Ø성

d 총계정원장의 ù¼
(2) 결산의 본절ì ⇒
e 제 장부의 ù¼

d 포괄손ø계산Ý의 Ø성
(3) 결산의 후절ì ⇒ e 재무상Ü표의 Ø성
f ¾Ð 재무제표 및 부Î명세Ý 등

2 Þ산표와 정산표

1) Þ산표의 Ø성

거래¬ À생Ý면 분¼장 ÿ은 전표에 분¼한 후 총계정원장에 전¾Ý는데, ÷러한 일련


의 과정÷ 정×Ý게 ÞÝí 졌는¬를 검산ݾ 위õÝ Ø성Ý는 일람표를 Þ산표(Trial Ba
lance, T/B)ÿì 한다.

d þ계Þ산표 : 원½의 ­ 계정 ì변과 대변의 þ계액을 Ú계Ý는 Þ산표üÝ þ계Þ산표


의 þ계®액은 Þ계¾간의 거래총액을 나Ð낸다.
e 잔액Þ산표 : 원장의 ­ 계정의 잔액을 Ú계Ý는 Þ산표ü 재무제표를 Ø성ݾ 전에
¾Æ의 재무상Ü나 경Ç성과를 미리 파Æ할 Ú Ï다.
f þ계잔액Þ산표 : þ계Þ산표와 잔액Þ산표를 Ý나의 Þ산표에 나Ð낸 Þ산표üÝ Þ계

75
| Part 01 | 회계의 기초

¾간의 거래총액과 재무상Ü 및 경Ç성과를 동Þ에 파Æ할 Ú Ï다.

Þ산표 등ß : 기말×산 + 총비용 = 기말부채 + 기초×본 +총수ø

Þ산표의 Ø성은 ýß부¾의 ×¾검증¾·의 원리에 È­Ýí ì변의 þ계와 대변의 þ계


액÷ 일ÞÝ는É를 ×인Ýí 총계정원장의 전¾에 대한 æ류를 À견Ý는 것÷ 주»É÷다.
 분¼의 ì변 또는 대변 중 õ느 한쪽만 전¾Ý거나 ®액을 다르게 한 경우
 분¼의 ì변과 대변을 º두 한쪽에 전¾한 경우

ý러나 Þ산표에Ý÷ À견할 Ú Ç는 æ류¬ Ï는데 ý 내용은 다음과 ½다.


 분¼장에Ý 원장으ü 전¾할 때 ì변과 대변의 ®액을 º두 동일한 ®액으ü 잘못
¾È한 경우
 ì·대변의 계정과»을 반대ü 전¾Ý거나 다른 과»으ü 전¾한 경우
 한 거래에 대한 전¾를 누ĀÝÆ거나 ÷중으ü 전¾한 경우
 두 ¼의 잘못÷ 우연히 상계된 경우

4-1 Þ산표 Ø성

01. [예제 3-6]의 총계정원장을 ×료ü þ계Þ산표, 잔액Þ산표, þ계잔액Þ산표를 Ø성하Þ오.

총계정원장

현® 외상매출® 상품
1,000,000 280,000 150,000 150,000 200,000 100,000

비품 외상매È® ×본®
100,000 100,000 800,000

상품매출÷ø ¯í
100,000 80,000

76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합계Þ산표 잔액Þ산표
차변 계정과» 대변 차변 계정과» 대변
1,000,000 현 ® 280,000 720,000 현 ®
150,000 외상매출® 150,000 100,000 상 품
200,000 상 품 100,000 100,000 비 품
100,000 비 품 외상매È® 100,000
외상매È® 100,000 × 본 ® 800,000
× 본 ® 800,000 상품매출÷ø 100,000
상품매출÷ø 100,000 80,000 ¯ í
80,000 ¯ í 1,000,000 þ 계 1,000,000
1,530,000 þ 계 1,530,000

합 계 잔 액 Þ 산 표
차변 대변
계정과»
잔액 합계 합계 잔액
720,000 1,000,000 현 ® 280,000
150,000 외 상 매 출 ® 150,000
100,000 200,000 상 품 100,000
100,000 100,000 비 품
외 상 매 È ® 100,000 100,000
× 본 ® 800,000 800,000
상품매출÷ø 100,000 100,000
80,000 80,000 ¯ í
1,000,000 1,530,000 þ 계 1,530,000 1,000,000

2) 정산표

결산의 본절ì에 øõ¬¾에 앞Ý 잔액Þ산표를 ¾Íü Ýí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를


Ø성Ý는 과정을 Ý나의 일람표ü 나Ð내는 것을 정산표(Work Sheet, W/S)ÿ 한다. 정산표는
생략 ¬·ÝÉ만 결산과정을 한 É면에 표Þý으ü써 정리분¼의 내용, 계정 상þ간의 연관성
등 결산에 필Ö한 사항을 쉽게 ÷õ할 Ú Ï다는 측면에Ý ÚØÆÞ계에Ý 결산 때 Ø성ÝÆ
다. ý러나 현재 실무에Ý 사용되ì Ï는 전산Þ계프üý램에Ý는 정산표ÿ는 용õ ×체¬
Çõ졌다. 정산표의 종류에는 6위ß, 8위ß, 10위ß 등÷ Ï다.

77
| Part 01 | 회계의 기초

총계정원장의 계정잔액을 토대ü 정산표를 다음과 ½은 절ìü Ø성한다.


 1단계(잔액Þ산표의Ø성) : 잔액Þ산표의 계정과»과 ®액을 정산표 왼쪽 잔액Þ
산표란에 옮¬ É는다.
 2단계(정리후Þ산표 잔액을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에 옮¾¾) : 정리후Þ산표에
Ý Úø과 비용계정은 손ø계산Ý란에 옮¬ Éì, ×산, 부Ì, ×본계정은 재무상
Ü표란에 옮¬ É는다.
 3단계(손ø계산Ý에Ý 당¾순손ø 계산) : 손ø계산Ý의 ì변의 비용 þ계와 대변
의 Úø þ계 간의 ì÷는 당¾순손ø÷다. Úø Ê 대변 þ계¬ 비용인 ì변의
þ계ü다 크면 당¾순÷ø÷ì, 반대의 경우에는 당¾순손실÷다.
 4단계(재무상Ü표에Ý 당¾순손ø 계산) : 재무상Ü표 ì변의 ×산®액을 þ계Ý
ì 대변의 부Ì 및 ×본®액을 þ계한다. ì변과 대변 ®액의 ì액을 íÝí 3단
계에Ý í한 ì액과 일ÞÝ는É ×인한다.
 5단계(당¾순손ø의 ¾ý) : 손ø계산Ý에Ý í한 당¾순손ø과 재무상Ü표에Ý
í한 당¾순손ø÷ 일ÞÝ면 동액을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의 ì변과 대변에
¾ýÝí ­ ì변 þ계액과 대변 þ계액을 일ÞÞ킨다.

4-2 정산표 Ø성

01. [예제 4-1]의 ×료에 의하í 6위ß 정산표를 완성하Þ오.

정 산 표

잔액Þ산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계정과»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
상 품
비 품
외상매È®
× 본 ®
상품매출÷ø
¯ í
( )
þ 계

78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정 산 표
잔액Þ산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계정과»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 720,000 720,000
상 품 100,000 100,000
비 품 100,000 100,000
외상매È® 100,000 100,000
× 본 ® 800,000 800,000
상품매출÷ø 100,000 100,000
¯ í 80,000 80,000
(당¾순÷ø) 20,000 20,000
þ 계 1,000,000 1,000,000 100,000 100,000 920,000 920,000

3 결산정리분개

1) 결산정리의 의의

결산일에 ¾Æ의 재무상Ü와 경Ç성과를 정×Ý게 파ÆÝ¾ 위õÝ ÷미 ¾ý된 Þ계ÚÞ


의 일부를 Ú정Ý거나 ݬü ¾ýõ주õý Ý는데 ÷를 결산정리사항÷ÿ 한다. 또 결산정
리사항을 분¼Ýí 원장에 전¾Ý는 것을 결산정리¾È÷ÿ 한다.
결산정리사항은 ­ ¾Æ의 ÇÆ성­에 따ÿ 다르É만 일반É으ü ×산에 관한 결산정리와
손ø에 관한 결산정리ü í분할 Ú Ï다.

2) ×산·부Ì에 관한 결산정리

×산에 관한 결산정리는 현®계정의 정리, ç¬증권의 공정¬평¬, Ú취Ì권에 대한 대손


충당® 설정, 재ì×산의 매출원¬ 계상, 비ç동×산의 상­비 계상, ¬É¯®과 ¬Ú®의
정리, ͺ품계정의 정리, 비ç동부Ì의 ç동성대체 등÷ Ï다. ×산·부Ì에 대한 결산정리
내용은 본Ý 13장 결산에Ý 상세Ý게 다루÷ý 한다.

79
| Part 01 | 회계의 기초

3) 손ø에 관한 결산정리

손ø에 대한 결산정리ü Úø·비용의 ÷연과 예상÷ õ당된다. 손ø에 대한 결산정리내용


은 본Ý 13장 결산에Ý 상세Ý게 다루÷ý 한다.

4 장부의 마감

1) 손ø계산Ý 계정의 마감

Úø계정과 비용계정은 ­ 계정의 잔액을 손ø계정에 대체Ýí ù¼한다. 손ø계정은 결산


을 위Ýí 설정Ý는 Úþ계정으ü ì변에는 비용계정÷ 대변에는 Úø계정÷ ¾È된다. 손ø
계정의 잔액은 당¾순손ø을 의미Ý며 ÷ 당¾순손ø을 ×본®계정에 대체Ýí 손ø계정을
ù¼한다.

í분 ì변 대변
상품매출÷ø ×××
Úø계정을 손ø계정 대변에 대체 손 ø ×××
Ç 대 료 ×××
¯ í ×××
비용계정을 손ø계정 ì변에 대체 손 ø ×××
ý리후생비 ×××

당¾순손ø을 ×본® 순÷ø À생Þ 손 ø ××× × 본 ® ××


계정에 대체 순손실 À생Þ × 본 ® ××7× 손 ø ×××

4-3 수ø·비용계정의 마감

01. [예제 3-6] ×료에 의하í 아래의 수ø·비용계정을 12월 31일×ü 마¼하고 수ø·비용계
정의 대체분개 및 당기순÷ø을 ×본®계정에 대체하는 분개, 총계정원장에 전기하Þ오.

(1) 상품매출÷ø (2) ¯í


4/12 외상매출® 100,000 4/25 현® 80,000

80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1) Úø·비용계정의 대체분¼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2) 순손ø을 ×본®계정에 대체분¼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3) 총계정원장 전¾

상품매출÷ø ¯í

손ø ×본®

1) 수ø·비용계정의 대체분개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상품매출÷ø 100,000 손 ø 100,000
(2) 손 ø 80,000 ¯ í 80,000

2) 순손ø을 ×본®계정에 대체분개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손 ø 20,000 × 본 ® 20,000

3) 총계정원장 전기
상품매출÷ø ¯í
13/31 손 ø 100,000 4/12 외상매출® 100,000 4/25 현® 80,000 12/31 손ø 80,000

손ø ×본®
12/31 ¯ í 80,000 12/31 상품매출÷ø 100,000 4/ 1 현® 800,000
12/31 ×본® 20,000 12/31 손ø 20,000
100,000 100,000 820,000

2) 재무상태표계정 마감

재무상Ü표계정인 ×산, 부Ì, ×본계정의 ù¼은 Ç미ß과 대류ß의 두 ¬É 방½÷ Ï다.

81
| Part 01 | 회계의 기초

Ç미ß은 ×산, 부Ì, ×본 계정에 잔액÷ À생Ý므ü 부ù한 변에 8ì¾÷월9÷ÿ ¾ÈÝì


ì변þ계액과 대변þ계액의 일Þý을 ×인한 후 ù¼한 후 ì¾÷월액을 ºÅ ÷월Þ산표를
Ø성ý으üÝ 결산÷ 정×Ý게 ÷루õ졌는É를 ×인한다.

4-4 ×산·부채·×본계정의 마감

01. [예제 3-6] ×료에 의하í 아래의 ×산·부채·×본계정을 12월 31일×ü Ç미ß으ü 마¼
한 후 ÷월Þ산표를 Ø성하Þ오.

÷ 월 Þ 산 표
차변 계정과» 대변

þ 계

현® 외상매출®
4/ 1 × 본 ® 800,000 4/ 3 상품 100,000 4/12 제Ì 200,000 4/20 현® 200,000
4/20 외상매출® 200,000 4/ 6 비품 100,000 200,000 200,000
4/25 ¯í 80,000
12/31 ì¾÷월 720,000 상품
1,000,000 1,000,000 4/3 제Ì 200,000 4/12 외상매출® 100,000
1/1 전¾÷월 720,000 12/31 ì ¾ ÷ 월 100,000
200,000 200,000
1/1 전¾÷월 100,000
비품
4/6 현® 100,000 12/31 ì¾÷월 100,000 외상매È®
100,000 100,000 12/31 ì¾÷월 100,000 4/3 상 품 100,000
1/1 전¾÷월 100,000 100,000 100,000
1/1 전¾÷월 100,000
×본®
12/31 ì¾÷월 820,000 4/1 현® 800,,000
12/31 손ø 20,000
820,000 820,000
1/1 전¾÷월 820,000

82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 월 Þ 산 표

차변 계정과» 대변
720,000 현 ®
100,000 상 품
100,000 비 품
외상매È® 100,000
× 본 ® 820,000
920,000 þ 계 920,000

3) 기타 제 장부의 마감

총계정원장의 ù¼÷ 완료되면 ¾Ð üø부 등의 제 장부를 ù¼Ýí 당¾의 Þ계¾ý을


최종É으ü 종결Þ킨다.

5 재무제표의 Ø성

재무제표는 재무üì의 öîÚ단÷다. 재무제표는 일정ÞØ의 재무상Ü를 나Ð내는 재무


상Ü표와 일정¾간의 경Ç성과를 나Ð내는 손ø계산Ý ý리ì ½은 ¾간 동안의 현®×름정
ü를 나Ð내는 현®×름을 및 ×본변동내î을 나Ð내는 ×본변동표, 주Þ으ü í성된다.
본Ý에는 제14장 재무제표에Ý 상세Ý게 다루÷ý 한다.

83
| Part 01 | 회계의 기초

연습문제

01. 설봉상사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고 총계정원장에 전기한 후 þ계잔액Þ산표를 Ø성하Þ오.

5/ 2 현® ₩2,000,000(단¾ìÈ® ₩500,000 포ý)을 출×Ýí 상품매매Æ을 ¼ÞÝ다.


5/ 5 ÇÆ용 비품 ₩200,000을 현®으ü íÈÝ다.
5/10 무½상사에Ý 상품 ₩600,000을 매È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5/12 ÜÖ상사에 상품 ₩800,000(원¬ ₩400,000)을 매출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5/15 단¾ìÈ® ₩200,000과 ìÈ®÷× ₩10,000을 현®으ü ɯÝ다.
5/20 ÜÖ상사의 외상매출® 중 ₩500,000을 현®으ü ÞÚÝ다.
5/23 무½상사의 외상매È® 중 ₩400,000을 현®으ü ɯÝ다.
5/25 종Æ원¯í ₩100,000을 현®으ü ɯÝ다.
5/30 사무실 Çì료 ₩100,000을 현®으ü ɯ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총 계 정 원 장
현® 외상매출® 상품

84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비품 외상매È® 단¾ìÈ®

×본® 상품매출÷ø ÷×비용

¯í Çì료

합 계 잔 액 Þ 산 표
차변 대변
계정과»
잔액 합계 합계 잔액

þ 계

02. 다음의 ½마상사의 20××년 12월 31일차 정산표를 완성하Þ오.

정 산 표
½ù상사 20××. 12. 31. (단위:원)
잔액Þ산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계정과»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 600,000
외상매출® 250,000
¿ 을 õ 음 250,000
상 품 400,000
비 품 200,000
외상매È® 250,000

85
| Part 01 | 회계의 기초

미 É ¯ ® 150,000
단¾ìÈ® 200,000
× 본 ® ( )
상품매출÷ø 300,000
¯ í 100,000
ü 험 료 100,000
( )
þ 계

01. 다음 중 결산의 본 절차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Þ산표 Ø성 e 총계정원장 ù¼
f 분¼장 ù¼ g 손ø계정 설정

02. 아래의 내용을 ü고 결산의 절차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A. 정산표 Ø성
B. 총계정원장 ­ 계정 ù¼
C.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 Ø성

d A→B→C e A→C→B
f B→A→C g B→C→A

04. 다음 설명 중 옳É 않은 것은?
d Þ산표에 ì변,대변의 þ계액÷ 일ÞÝ면 ¾중 계정¾ý에 æ류¬ 전혀 Ç는
것÷다
e 분¼장은 거래를 À생 순Ý대ü ¾ýÝ는 장부를 말한다.
f ×산의 증¬와 비용의 À생은 ì변에 ¾ý한다.
g ×산과 부Ì의 증¬ 또는 ¼Í, 비용과 Úø의 À생ø을 거래의 ÖÍÿ 한다.

86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04. 다음 중 Þ산표를 Ø성하면 À견할 수 Ï는 오류ü 옳은 것은?


d 전¾를 전혀 ÝÉ 않은 æ류
e 거래 ×체를 분¼ÝÉ 않은 æ류
f ì변과 대변의 æ류¬ 우연히 상계된 æ류
g 분¼를 한 후 ì변®액만 전¾를 한 æ류

05. 다음 잔액Þ산표등ß을 완성하기 위해 빈칸에 들어갈 말은?(단, 당기 중에 ×본거래는 Æ


È다고 ¬정ý)

¾말×산 + 총비용 = ( ¬ ) + ( 나 ) + 총Úø

d (¬) ¾Í×본 (나) 당¾순÷ø


e (¬) ¾말×산 (나) 당¾순÷ø
f (¬) ¾말부Ì (나) ¾Í×본
g (¬) ¾말×산 (나) ¾Í×본

06. 무½상사는 결산 결과 당기순÷ø 500,000원으ü 계상되È으나, 다음과 같은 정리 사항


÷ 누Ā되È음을 À견하Æ다. 수정 후 당기순÷ø은 Ā마인¬?

ㆍ¯í 미ɯ분 : 50,000원 ㆍ단¾대í® ÷× 미Ú분 : 70,000원

d 480,000원 e 500,000원
f 520,000원 g 570,000원

07. 다음 중 기중에 À생한 차È®에 대한 ÷× 10,000원을 결산ÞØ까É É¯하É 못한 경


우 결산분개ü 올바른 것은?

d (ì) ÷×비용 10,000원 (대) 외상매È® 10,000원


e (ì) ÷×비용 10,000원 (대) 미ɯ÷× 10,000원
f (ì) 미Ú÷× 10,000원 (대) ÷×Úø 10,000원
g (ì) ÷×비용 10,000원 (대) 현® 10,000원

87
| Part 01 | 회계의 기초

08. 다음 ½마상사의 결산 결과 아래의 내용을 반Ç하í 수정하면 당기순÷ø÷ Ā마나 변동하


는¬?

ㆍ손ø계산Ý에 계상된 ü험료 중 80,000원은 ì¾의 비용÷다.


ㆍ손ø계산Ý에 계상된 Ç대료 중 50,000원은 ì¾의 Úø÷다.

d 20,000원 증¬ e 30,000원 증¬
f 40,000원 ¼Í g 50,000원 ¼Í

09. ½마상사는 20××년 10월 1일에 1년분 ü험료 162,000원을 선¯하고 전액 비용으ü
처리하Æ다. ÷ 경우 ½마상사¬ 20××년 12월 31일 선¯비용으ü 계상될 ®액은 Ā마
인¬? (단, 선¯비용은 월할계산한다.)

d 40,500원 e 81,000원
f 108,000원 g 121,500원

10. 다음 내용에 따른 결산분개Þ 재무상Ü표상에 계상되는 선수Ç대료는?(단, 월할계산으ü


¬정한다)

½ù상사는 20××년 4월 1일에 상¬건물의 1년분 Ç대료 2,400,000원을 현®으ü ¿ì


전부 Úø계정으ü 처리ÝÆ다.

d 600,000원 e 800,000원
f 1,000,000원 g 1,200,000원

11. 다음 ×료에Ý 결산 후 당기순÷ø ®액은?

(¬) 결산 정리 전 당¾순÷ø 500,000원


(나) 결산 정리 사항
ㆍ÷× 미Ú액 150,000원 : 당Í Þ계처리 ÝÉ 않음
ㆍ¯í 미ɯ액 100,000원 : 당Í Þ계처리 ÝÉ 않음
ㆍü험료 선¯액 50,000원 : 당Í 전액 비용처리 ý

d 500,000원 e 550,000원
f 600,000원 g 650,000원

88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12. 결산 Þ ÷×수ø계정의 마¼ 분개ü 옳은 것은?


d (ì) ×본® ××× (대) ÷×Úø ×××
e (ì) ÷×Úø ××× (대) ×본® ×××
f (ì) (Úþ)손ø ××× (대) ÷×Úø ×××
g (ì) ÷×Úø ××× (대) (Úþ)손ø ×××

89
| Part 01 | 회계의 기초

참ì문헌

90
Chapter 04. 회계순환과정(2) : 회계기간 말의 결산과정

9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05 |

현®·예® 및 단기매매증권

1 현®및현®성×산

1) 현®및현®성×산

현®및현®성×산은 재무상Ü표에 표ÞÝ는 통þ ×산계정÷다. 실무에Ý는 현®, 예®,


현®성×산을 ¼별계정과»으ü 사용Ý며, 결산Þ 재무제표를 Ø성Ý며 재무상Ü표에 통þ
계정인 현®및현®성×산으ü 표Þ한다. 현®은 통Ö 및 통Ö대용증권을 ¿으면 ì변에 ¾ý
Ýì, 통Ö 및 통Ö대용증권을 ɯÝ면 대변에 ¾ý한다. 예® 및 현®성×산은 ¾Æ÷
투×Ý면 ì변에 ¾ýÝì, 투×한 ®액을 ÞÚÝ면 대변에 ¾ý한다.

통합계정 개별계정 내 용
통 Ö 한î은Þ÷ ÀÞ한 É폐나 주Ö
Ð인(동Ø)ÀÞÚ표, ×¾앞Ú표, ¬계Ú표, 송®Ú
현 ® 통Ö대
표, 우편환증Ý, 공·사Ì 만¾÷×표, ¼당®Ú령
용증권
증, îìɯ통ÉÝ, 일람출¯õ음 등
현 ® 및 ü통예® ¾Æ의 Öí¬ Ï을 경우 언제든É 인출÷ ¬·한 예®
현®성×산 ¾Æ÷ ×®결제Ú단으üÝ Ú표를 사용ݾ 위Ýí 예®을 예
당Ì예®
ÈÝì 당ÌÚ표를 ÀÞÝí 결제Ý는 방ß으ü ÷용Ý는 예®
§ 큰 거래비용Ç÷ 현®으ü 전환÷ 용÷Ýì
현®성×산 ¨ ÷×율 변동에 따른 ¬Þ변동의 위험÷ 중ÖÝÉ 않으며
© 취ý당Þ 만¾¬ 3¼월 ÷내에 ÷래Ý는 ®융상품

92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2) 현®

현®은 통Ö뿐만 Å니ÿ 통Ö대용증권을 포ýÝ는 계정으ü Ú령Þ 현®계정 ì변에 ¾ý


Ýì, É¯Þ 대변에 ¾ý한다.

구분 차변 대변

상품을 판매Ýì 통Ö 또는 통Ö대용증권 등을 ¿은 경우 현® ××× 상품매출 ×××

상품을 판매Ýì Ð인(동Ø)ÀÞ의 당ÌÚ표를 ¿은 경우 현® ××× 상품매출 ×××

상품을 íÈÝ면Ý ÍçÝì Ï던 현® 또는 통Ö대용증


상품 ××× 현® ×××
권을 Ð인에게 ɯ한 경우

3) 현®과부ù

Þ계¾간중에 현®의 장부잔액과 실제잔액÷ 일ÞÝÉ 않을 경우, ý 원인÷ 판명될 때까


É 일ÞÉ으ü 처리Ý는 ÇÞ계정÷며, 과부ù의 원인÷ 판명되면 õ당계정으ü 대체한다.

구분 차변 대변

현®÷ 실제ü 부ù한 경우 현®과부ù ××× 현 ® ×××

원인÷ 판명된 경우 비 용 ××× 현®과부ù ×××

결산일까É 원인÷ ½명인 경우 è 손 실 ××× 현®과부ù ×××

결산일 현재 현®÷ 부ù한 경우 è 손 실 ××× 현 ® ×××

구분 차변 대변

현®÷ 실제ü 많은 경우 현 ® ××× 현®과부ù ×××

원인÷ 판명된 경우 현®과부ù ××× Ú ø ×××

결산일까É 원인÷ ½명인 경우 현®과부ù ××× è ÷ ø ×××

결산일 현재 현®÷ 부ù한 경우 현 ® ××× è ÷ ø ×××

9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5-1 현®과부족

01. 현® 부ùÞ(장부잔액>실제잔액)

(1) 현®출¹부상 장부잔액÷ ₩100,000원인데, 현®Þ재액을 ø사한 결과 ₩80,000원


÷É다.
(2) 위의 ½일Þ 원인을 ø사한 결과 ₩15,000은 통신비 ɯ액의 ¾장÷ 누Ā되다.
(3) 결산일까É 현®과부ù ₩5,000원은 원인÷ ½명되다.

02. 현® 과ÐÞ(장부잔액<실제잔액)

(4) 현®출¹부상 장부잔액÷ ₩100,000원인데, 현®Þ재액을 ø사한 결과 ₩130,000원


÷É다.
(5) 위의 ½일Þ 원인을 ø사한 결과 ₩20,000은 은Þ에Ý ¿은 ÷×에 대한 ¾장÷
누Ā되다.
(6) 결산일까É 현®과부ù ₩10,000원은 원인÷ ½명되다.

03. 결산Þ 현®부ù 및 초과Þ

(7) 결산일에 현®의 장부잔액은 ₩200,000÷×만, 실제 ®ì의 잔액은 ₩185,000÷É


는데, ý 원인을 알 Ú Ç다.
(8) 결산일에 현®의 장부잔액은 ₩200,000÷×만, 실제 ®ì의 잔액은 ₩220,000÷É
는데, ý 원인을 알 Ú Ç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94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1.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현®과부ù 20,000 현 ® 20,000
(2) 통 신 비 15,000 현®과부ù 15,000
(3) è 손 실 5,000 현®과부ù 5,000
(4) 현 ® 30,000 현®과부ù 30,000
(5) 현®과부ù 20,000 ÷×Úø 20,000
(6) 현®과부ù 10,000 è ÷ ø 10,000
(7) è 손 실 15,000 현 ® 15,000
(8) 현 ® 20,000 è ÷ ø 20,000

4) 현®출납장(üø기È장)
현 ® 출 납 장
월일 É요 수È É출 잔액

2 소액현®제도

1) Í액현®계정의 의의

¾Æ에Ý ÷난÷나 분실 등의 위험으ü 인Ýí 최Í한의 현®만을 üçÝ게 된다. ý러나


일상É으ü 일õ나는 Í액의 É출에 Ú표를 ÀÞ할 Ú는 Ç으므ü Í액의 É출을 ÊÙ ö당Ý
는 부Ý에 매월 또는 매주 일정액을 선¯Ýí ɯÝ는데 ÷를 Í액현®(전÷®)÷ÿì 한다.

2) Í액현®제도

정액×®전÷제÷는 일정액의 ×®을 전÷Ýì õ당 부Ýü부터 사용액을 üì¿은 후

9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실제 사용액과 동일한 ®액을 선¯Ýí 항상 Í액현®을 일정Ý게 정액으ü çÉõ주는 방½


÷다.

부정액×®전÷제는 õ당 부Ý의 사용액과 무관Ý게 부Ý에Ý Ö청Ý는 ®액을 ü¯õ주


는 방½÷다.

3) Í액현®의 회계처리

구 분 차변 대변
최Í Í액×® 전÷Þ Í 액 현 ® ××× 당 Ì 예 ® ×××
õ당 부Ý 사용Þ Þ계처리 Ç음
통 신 비 ×××
월말에 사용내î üìÞ Í º 품 비 ××× Í 액 현 ® ×××
Ú÷광열비 ×××
다음달 Í 전÷Þ Í 액 현 ® ××× 당 Ì 예 ® ×××

5-2 소액현®

01. 다음의 연Î된 거래에 대하í 분개하Þ오.

5/ 1 비Ý실에 Í액현®×®으ü Ú표 ₩500,000을 ÀÞÝí 전÷Ý다.


5/31 비Ý실에Ý É출한 경비ɯ내î을 제출¿았다.
ͺ품비 110,000 Ù 대 비 90,000 í비교통비 200,000
ß 대 50,000 þ 계 450,000 ÚÞ 잔액 50,000
6/ 1 6월분 Í액×®을 정액×®전÷제에 의거 Ú표를 ÀÞÝí ü¯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96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1.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5/ 1 Í액현® 500,000 당 Ì 예 ® 500,000
ͺ품비 110,000
Ù 대 비 90,000
5/31 Í액현® 450,000
í비교통비 200,000
ý리후생비 50,000
6/ 1 Í액현® 450,000 당 Ì 예 ® 450,000

3 요구불예®과 단기®융상품

1) ü통예®

구 분 차변 대변

현®을 ü통예®Þ ü 통 예® ××× 현 ® ×××

ü통예®통장에Ý 현® 인출Þ 현 ® ××× ü통예® ×××

ü통예®통장에Ý 당Ì예®통장으ü 예®대체Þ 당 Ì 예® ××× ü통예® ×××

2) 당좌예®

¾Æ÷ 은Þ과 당Ì거래 þ정을 맺ì 현® 등을 당Ì예ÈÝì, 필Ö에 따ÿ 당ÌÚ표를


ÀÞÝí 예®을 인출Ý는 ×산계정으ü 예È액은 ì변에 Ú표ÀÞ 인출은 대변에 ¾ý한다.
당Ì거래 ¼설ü증® û정현®과 예®계정으ü 처리한다.

구 분 차변 대변

현®을 당Ì예ÈÞ 당Ì예® ××× 현 ® ×××

상품을 매ÈÝì Ú표를 ÀÞÝí É¯Þ 상 품 ××× 당Ì예® ×××

9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3) 당좌차월

당ÌÚ표의 ÀÞ은 당Ì예® 한÷ 내에Ý ÀÞÝ는 것÷ 원ß÷나 사전에 은Þ에 토É,


건물 등을 öüü 제공Ýì 근È당을 설정한 후 당Ìì월계þ을 체결한 경우, 당Ì예®잔액을
Í과Ýí Ú표를 ÀÞ할 Ú Ï는데, ý Í과®액을 당Ìì월÷ÿì 한다. 재무상Ü표에는
단¾ìÈ®계정에 포ýÝí 표¾한다.

구 분 차변 대변
현®을 당Ì예ÈÞ 당Ì예® ××× 현 ® ×××
당Ì예® ×××
상품을 매ÈÝì Ú표를 ÀÞÝí É¯Þ 상 품 ×××
당Ìì월 ×××
당Ìì월 ×××
현®을 당Ì예ÈÞ 현 ® ×××
당Ì예® ×××

5-3 당좌차월거래

(1) 거래은Þ과 당Ì거래 계þ을 맺ì 현® ₩3,000,000을 당Ì예ÈÝ다. 또한 당Ìì월


예þ을 맺ì Íç 건물 ₩20,000,000을 근È당 설정Ý다.(당Ìì월한÷는 ₩5,000,000)
(2) ù름상사에Ý 상품 ₩2,000,000을 매ÈÝì 대®은 Ú표를 ÀÞÝí ɯÝ다.
(3) 사무실에Ý 사용할 ý사¾ 2,000,000을 íÈÝì 대®은 Ú표를 ÀÞÝí ɯÝ다.
(4) ½ù상사의 외상매출® ₩2,500,000을 동ØÀÞÚ표ü ÞÚÝí ÊÞ 당Ì예È
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1.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당 Ì 예 ® 3,000,000 현 ® 3,000,000
(2) 상 품 2,000,000 당 Ì 예 ® 2,000,000
비 품 2,000,000 당 Ì 예 ® 1,000,000
(3)
당Ìì월 1,000,000
당Ìì월 1,000,000 외상매출® 2,500,000
(4)
당Ì예® 1,500,000

98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4) 단기®융상품

단¾É인 투×에 따른 ÷×Úø 등을 »É으ü Ý는 정¾예®, 정¾É®, 사용÷ 제한되õ


Ï는 예® 및 ¾Ð 정형Ö된 ®융상품으ü 결산일ü부터 1년 ÷내에 만¾¬ ÷래Ý는 것을
처리Ý는 ×산계정÷다. ¾Æ÷ ®융상품에 투×Ý면 ì변에 ¾ýÝì, 투×한 ®액을 ÞÚ
Ý면 대변에 ¾ý한다. 만¾¬ 1년 ÷후에 ÷래Ý는 경우에는 장¾®융상품으ü 분류한다.

4 단기매매증권

1) 유¬증권의 뜻

ç¬증권÷란 É분증권(주ß)과 Ì무증권(îÌ, 사Ì, 공Ì)을 말한다. ç¬증권은 ¾Æ÷


취ýÝí üçÝ는 »É에 따ÿÝ 단¾매매증권, 만¾üç증권, 매÷¬·증권, É분½É용투
×주ß으ü 분류한다.

구분 내용 취득수수료
ç동×산 매Ú와 매÷¬ ÉþÉ÷ì 빈번Ý게 ÷루õ
단¾매매증권 ÇÆ외비용
(당Ì×산) 져ý ý. É분증권과 Ì무증권
만¾까É üç할 ÉþÉ인 의÷와 ·½÷
만¾üç증권
Ï는 경우. Ì무증권
비ç동×산 단¾매매증권, 만¾üç증권으ü 분류되É 취ý원¬에
매÷¬·증권
(투××산) Å니Ý는 ç¬증권. Þ장성 Ç음 포ý
É분½É용 중대한 Ç향½Þ사(ɼ, 통제) »É, É분
투 × 주 ß 증권

2) 단기매매증권의 취ý 및 처분

단¾매매증권은 단¾투×»É으ü Þ장성 Ï는 É분증권÷나 Ì무증권을 íÈÝÆ을 때


취ý원¬를 단¾매매증권계정 ì변에 ¾ýÝì, ÷것을 처분ÝÆ을 때는 장부¬액을 단¾매

9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매증권계정 대변에 ¾ýÝ는 ×산계정으ü 잔액은 ì변에 ¸는다. íÈÞ 매ÈÚÚ료, 증권


거래세 등 제비용은 ÚÚ료비용으ü ¾ýÝì, 처분Þ 제비용은 처분¬액에Ý ÊÙ ì¼Ýí
¾ý한다. 단¾매매증권을 처분Þ는 처분¬액과 장부¬액을 비교Ýí ì액을 ÇÆ외손ø인
단¾매매증권처분손ø계정으ü Þ계처리한다.

구 분 차변 대변
단 ¾ 매 매 증 권 ×××
íÈÞ 현 ® ×××
Ú Ú 료 비 용 ×××
단 ¾ 매 매 증 권
처분¬액>장부¬액 현 ® ××× ×××
단¾매매증권처분÷ø
처분Þ
현 ®
처분¬액<장부¬액 ××× 단 ¾ 매 매 증 권 ×××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3) 단기매매증권의 공정¬치 평¬

단¾매매증권은 결산Þ 취ý원¬ 또는 장부¬액과 공정¬Þ(재무상Ü표일 현재의 종¬)¬


다른 경우에는 공정¬Þ를 재무상Ü표¬액으ü 한다. ÷ 때 공정¬Þ¬ 장부¬액ü다 ÝĀ한
경우에는 단¾매매증권평¬손실을 계상Ýì 공정¬Þ¬ 장부¬액ü다 상승한 경우에는 단¾
매매증권평¬÷ø을 계상한다.

구 분 차변 대변
증¬Þ (장부¬액 < 공정¬Þ) 단¾매매증권 ××× 단¾매매증권평¬÷ø ×××
¼ÍÞ (장부¬액 > 공정¬Þ) 단¾매매증권평¬손실 ××× 단¾매매증권 ×××

4) 단기매매증권의 ÷×와 배당® 수ø

ÍçÝì Ï는 î·공Ì, 사Ì 등의 ÷×를 ¿으면 ÷×Úø계정으ü ¾ýÝì, 주ß에


대한 ¼당®을 ¿는 경우에는 ¼당®Úø계정으ü ¾ý한다.

구 분 차변 대변

Ì무증권의 ÷×를 ¿으면 현® ××× ÷×Úø ×××


É분증권의 ¼당®을 ¿으면 현® ××× ¼당®Úø ×××

100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5-4 단기매매증권거래

(1) 단¾ Þ세ìø을 »É으ü 상장사인 ㈜더블ü½의 주ß 1,000주(액면 @₩5,000)를


주당 ₩7,000에 취ýÝì 대®은 ÚÚ료 100,000원과 ý께 Ú표를 ÀÞÝí ɯÝ다.
(2) 위의 당사üç 주ß 중 300주를 ₩5,000에 처분Ýì 대®은 현®으ü ¿다.
(3) 위의 당사üç 주ß 중 200주를 ₩10,000에 처분Ýì 대®은 ×¾앞Ú표ü ¿다.
(4) 결산Þ 위의 당사 üç 주ß 500주를 공정¬액 @₩6,000으ü 평¬Ý다.
(5) 결산Þ 위의 당사 üç 주ß 500주를 공정¬액 @₩8,000으ü 평¬Ý다.
(6) ㈜더블ü½으ü부터 ÍçÝì Ï는 주ß에 대한 ¼당® ₩100,000÷ 당사 ü통예®
계Ìü È®되다.
(7) ÍçÝì Ï는 사Ì에 대한 1년분 ÷× ₩200,000을 현®으ü ¿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단 ¾ 매 매 증 권 7,000,000 당 Ì 예 ® 7,100,000
(1)
Ú Ú 료 비 용 100,000
현 ® 1,500,000 단 ¾ 매 매 증 권 2,100,000
(2)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600,000
현 ® 2,000,000 단 ¾ 매 매 증 권 1,400,000
(3)
단¾매매증권처분÷ø 600,000
(4) 단¾매매증권평¬손실 500,000 단 ¾ 매 매 증 권 500,000
(5) 단 ¾ 매 매 증 권 500,000 단¾매매증권평¬÷ø 500,000
(6) ü 통 예 ® 100,000 ¼ 당 ® Ú ø 100,000
(7) 현 ® 200,000 ÷ × Ú ø 200,000

(1) 1,000주 × @₩7,000 = 7,000,00


주ß을 취ýÝ면 액면®액÷ Å닌 취ý®액으ü 계상Ýíý Ýì, 취ýÞ 부대비용은 별÷의 비용계정으
ü 처리한다.

10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연습문제

01. 다음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현®의 실제잔액÷ ₩50,000 부ù한 것을 À견Ýì ý 원인을 ø사중÷다.


(2) 위의 부ù액의 일부는 Þ내출장í비 ɯ액 ₩30,000을 ₩3,000으ü íæü Þ계처
리한 것으ü 판명되É다.
(3) 결산일까É 위의 부ù액 잔액에 대Ýí 원인½명÷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02. 다음 거래를 일×별ü 분개하Þ오.

(1) 6/ 1 용÷계에 Í액×®으ü ₩300,000을 Ú표를 ÀÞÝí ɯõ 주다.


(2) 6/30 용÷계ü부터 다음과 ½÷ ɯ내î을 üì¿다.
ͺ품비 80,000 í비교통비 100,000 통신비 30,000
(3) 7/ 1 7월분 Í액×®은 6월분 ɯ액 만큼 현®으ü ü¯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102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03. 다음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현® ₩1,000,000을 거래은Þ에 연 10%의 ÷×를 ¿¾ü Ýì 1년 만¾ 정¾예®에


¬ÈÝ다.
(2) 위의 정¾예®÷ 만¾¬ 되õ ÷× ₩100,000과 ý께 당Ì예ÈÝ다.
(3) 은Þ에Ý 6¼월 후 만¾¬ 돼Ý는 양÷성예®증Ý(CD) 액면 ₩20,000,000을 íÈÝ
ì, 선÷× ₩500,000을 ì¼한 나머É는 ü통예®에Ý ÷체Ýí ɯÝ다.
(4) 위의 양÷성예®증ݬ 만¾¬ 되õ 인출Ýí ü통예®으ü 예È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04. 다음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상품 ₩1,000,000을 매출Ýì ₩500,000은 동ØÀÞÚ표ü ¿Å ÊÞ 당Ì예ÈÝ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당Ì예® 전월÷월액 ₩100,000).
(2) 상품 ₩800,000을 매ÈÝì Ú표를 ÀÞÝí ɯÝ다.
(3) 외상매출® ₩500,000을 현®으ü ÊÞ 당Ì예È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10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5. 다음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¾Æ은Þ과 당Ì계þ을 맺ì 현® ₩1,000,000을 예ÈÝ다.


(2) 상품 ₩500,000을 매ÈÝì 대® 중 ₩300,000은 Ú표를 ÀÞÝí ɯÝ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3) 상품 ₩800.000을 매출Ýì 대®은 현®으ü ¿Å ÊÞ 은Þ에 당Ì예ÈÝ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06.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단¾É인 ×®운용을 »É으ü ㈜½ù의 주ß 2,000주를 ₩@12,000원(액면


@10,000)에 íÈ Ýì, ÚÚ료 50,000원과 ý께 현®으ü ɯÝ다.
(2) 위 주ß 중 500주를 주당 ₩10,000원에 처분Ýì 대®은 현®으ü ¿다.
(3) 위 주ß 중 500주를 주당 ₩15,000원에 처분Ýì 대®은 현®으ü ¿다.
(4) 결산Þ 위 주ß을 공정¬액 주당 10,000원으ü 평¬Ý다.(1,000주)
(5) 결산Þ 위 주ß을 공정¬액 주당 15,000원으ü 평¬Ý다.(1,000주)
(6) Íç주ß에 대한 ¼당® ₩200,000을 현®으ü ¿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104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07. 다음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단¾É인 ×®운용을 »É으ü ㈜ÜÖ의 사Ì 액면 ₩6,000,000을 @₩10,000에


대Ýí @₩12,000으ü 매ÈÝì 대®은 ÚÚ료 ₩50,000과 ý께 Ú표를 ÀÞÝí
ɯÝ다.
(2) 위의 사Ì 액면 ₩2,000,000을 @₩10,000에 대Ýí @₩11,000으ü 매­처분Ýì
ÚÚ료 ₩30,000을 ì¼한 잔액을 ü통예®통장으ü È®¿다.
(3) 사Ì 액면 ₩3,000,000을 @₩10,000에 대Ýí @₩13,000으ü 매­처분Ýì ÚÚ료
₩40,000을 ì¼한 잔액을 ü통예®통장으ü È®¿다.
(4) ÍçÝì Ï는 사Ì에 대한 ÷× ₩30,000을 현®으ü ¿다.

번호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0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d ¾Æ÷ 통Ö, 통Ö대용증권을 Þ사에 ü관Ýì Ï을 때 현®÷ÿ 한다.
e 단¾®융상품 중 취ý당Þ 만¾¬ 3¼월 미만인 것은 현®성×산으ü 본다.
f 사용÷ 제한되õ Ï는 예®으ü ¾간÷ 1년÷내 ÷래Ý는 것은 단¾®융×산으
ü 표Þ한다.
g 당Ìì월은 ¾말 재무상Ü표에 예®계정에Ý ì¼Ýí 표Þ한다.

10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2. 다음 중 회계상 현®으ü 처리할 수 Æ는 것은?


d ×¾앞Ú표 e Ð인ÀÞÚ표
f 일람출¯õ음 g 당ØÀÞÚ표

03. 현®으ü 처리할 수 Ï는 것만 º두 고르면?

ㄱ. Ð인ÀÞÚ표 ㄴ. 송®Ú표 ㄷ. þÎõ음(만¾ : 6¼월)


ㄹ. 우표 q. 우편환증Ý r. 정¾É®(만¾ : 1년)
ㅅ. 주ß ㅇ. ÚÈ인É

d ㄱ,ㄴ,q e ㄱ,ㄴ,ㄹ,q
f ㄱ,ㄴ,ㅇ g ㄱ,ㄴ,q,ㅇ

04. 다음 중 결산Þ 재무상Ü표에 현®및현®성×산으ü 통þ하í 표Þ할 내용으ü 옳은 것을


고른 것은?

ㄱ. 통Ö 및 통Ö대용증권
ㄴ. ü통예®과 당Ì예® 등 Öí½ 예®
ㄷ. 거래처ü부터 ¿은 3¼월 후 만¾의 þÎõ음
ㄹ. 단¾매매ìø을 ÿ¾ 위õ 취ý한 Þ장성 Ï는 주ß

d ㄱ, ㄴ e ㄱ, ㄷ
f ㄴ, ㄷ g ㄴ, ㄹ

05. 다음 중 현®및현®성×산÷ 아닌 것은?


d 통Ö 및 Ð인ÀÞÚ표 등 통Ö대용증권
e ÊÞ 인출 ¬·한 ü통예®
f ¼당®É¯통É표
g 취ý당Þ 만¾¬ 4¼월÷나 결산일ü부터 3¼월 ÷내에 만¾¬ ÷래Ý는 ®융
상품

106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06. ㈜½마¬ 결산Þ 기말 재무상Ü표에 계상할 현®및현®성×산은 Ā마인¬?

현 ® 50,000원 Ð 인 ÀÞ Ú 표 100,000원
당 Ì 예 ® 150,000원 ¯í¬½® 200,000원
Ð인ÀÞþÎõ음 300,000원

d 300,000원 e 350,000원
f 500,000원 g 600,000원

07. ㈜½마의 20××년도 중 현®과부ù에 대한 회계처리 과정÷다. 원인분Þ에 대한 회계처


리 거래ü 옳은 것은?

 5월 11일 : 현®계정 잔액 70,000원인데 실제잔액은 50,000원Ç을 À견Ý다.


 6월 28일 : 원인을 À견Ýì 다음과 ½÷ Þ계처리Ý다.
(ì) ××× (대) 현®과부ù 20,000

d 상품을 외상으ü 매ÈÝì ¾장을 누ĀÝÆ다.


e 미Ú®을 현®으ü ÞÚÝì ¾장을 누ĀÝÆ다.
f 상품을 매출Ýì 현®으ü ¿은 것을 ¾장 누ĀÝÆ다.
g 사무용품을 íÈÝì 현®으ü ɯ한 것을 ¾장 누ĀÝÆ다.

08. 다음 대Ö의 거래를 분개할 때 밑줄 친 (¬), (나)의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 팀장 : õ제 ㈜세무에Ý (¬)현®으ü ¿은 ¼당® 3천만원은 õ떻게 처리Ý


죠?
 팀원 : 2천만원은 (나)3¼월 만¾의 양÷성예®증Ý를 íÈÝì 나머É는 6¼
월 후에 ¿¾ü Ýì 빌¼ 주É습니다.

(¬) (나) (¬) (나)


d ¼당®Úø 단¾대í® e 당Ì예® 현®성×산
f ¼당®Úø 현®성×산 g 미Ú® 단¾대í®

10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9. 다음 중 은행과의 þ정에 의해 당좌예® 잔액을 초과하í 당좌수표를 À행하Æ을 때, 대변


에 기È하íý 하는 계정과»으ü ¬장 É절한 것은?

d 단¾ìÈ® e 미ɯ® f 선Ú® g 사Ì

10. 다음 중 단기매매증권에 대한 설명으ü 틀린 것은?


d 단¾간 매매ìø을 ÿ을 »É으ü üçÝ는 ç¬증권을 말한다.
e 취ý Þ 부대비용은 취ý원¬에 포ýÞ킨다.
f 결산일을 ¾준으ü 공정¬액으ü 평¬Ýí ÇÆ외손ø항»에 반Ç한다.
g 취ý Þ 부대비용은 당¾비용(ɯÚÚ료)으ü 처리한다.

11. 단기Þ세차ø »É으ü Þ장성 Ï는 주ß을 취ý하는 경우 ¬장 Éþ한 계정과»은?


d 사Ì e 단¾매매증권 f 매÷¬·증권 g 만¾üç증권

12. ½마상사는 20××년 10월 5일 ㈜한î의 주ß 100주를 1주당 6,000원(액면®액 5,000


원)에 현®으ü íÈ하고, 취ý부대비용 30,000원을 별도ü ݬ ɯ하Æ다. 단기매매증
권의 취ý원¬는 Ā마인¬?

d 500,000원 e 530,000원 f 600,000원 g 630,000원

13. 일반기Å회계기준에 따ÿ 다음 거래를 분개한 것으ü 옳은 것은?

 단¾Þ세ìø을 ÿ을 »É으ü Þ장성 Ï는 ㈜무½ 주ß 300주를 1주당 6,000


원(액면®액 1주당 5,000원)에 취ýÝì, 증권 Þ사의 ÚÚ료 50,000원과 ý께
현®으ü ɯÝ다.

d (ì변) ×본® 1,500,000원 (대변) 현 ® 1,850,000원


주ßÀÞÍ과® 350,000원
e (ì변) ×본® 1,500,000원 (대변) 현 ® 1,850,000원
주ßÀÞÍ과® 300,000원
ÚÚ료비용 50,000원
f (ì변) 단¾매매증권 1,850,000원 (대변) 현 ® 1,850,000원
g (ì변) 단¾매매증권 1,800,000원 (대변) 현 ® 1,850,000원
ÚÚ료비용 50,000원

108
Chapter 05. 현® · 예® 및 단기매매증권

14. ㈜용마의 단기매매증권(A주ß)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처분Þ 처분손ø은 Ā마인¬?

¬. 20×1년 7월 1일 A주ß 10주를 1주당 300,000원에 취ýÝÆ다.


나. 20×1년 12월 31일 현재 A주ß 1주당 Þ¬는 420,000원÷다.
다. 20×2년 3월 30일 A주ß 10주를 1주당 430,000원에 처분ÝÆ다.

d 단¾매매증권처분÷ø 100,000원
e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100,000원
f 단¾매매증권처분÷ø 10,000원
g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10,000원

15. 다음은 ㈜½마의 단기매매증권에 대한 내용÷다. 틀린 것은?

 20×1년÷ 중 취ý¬액 : 5,000,000원  20×2년÷ 말 공정¬Þ : 4,000,000원


 20×3년÷ 말 공정¬Þ : 7,000,000원

d 20×2년 말 재무상Ü표상 단¾매매증권은 4,000,000원÷다.


e 20×2년 말 단¾매매증권평¬손실은 1,000,000원÷다.
f 20×3년 말 단¾매매증권평¬÷ø은 2,000,000원÷다.
g 20×3년 말 재무상Ü표상 단¾매매증권은 7,000,000원÷다.

16. 다음의 유¬증권거래ü 인하í 당기손ø에 미Þ는 Ç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½ù상사는 9월 26일에 Þ장성 Ï는 단¾매매증권 2,000주를 주당 10,000원에


취ýÝ면Ý 현®으ü 결제ÝÆ다. 12월 7일에 500주를 주당 12,000원에 매­
Ýì ÚÚ료비용 100,000원을 ì¼한 후 현®으ü ¿았다.

d 당¾순÷ø÷ 1,000,000원 증¬한다.


e 당¾순÷ø÷ 900,000원 증¬한다.
f 당¾순÷ø÷ 800,000원 증¬한다.
g 당¾순÷ø÷ 700,000원 증¬한다.

10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06 |

재고자산

1 재고×산

1) 재고×산의 의의

재ì×산÷란 정상É인 ÇÆ활동과정에Ý 판매ݾ 위Ýí üçÝ는 ×산(상품, 제품)÷


나 또는 판매를 »É으ü 제ø과정 중에 Ï는 ×산(재공품), 판매에 ÷용될 제품÷나 용î의
생산에 현실É으ü Í비ݾ 위Ýí üçÝì Ï는 ×산(원재료, 반제품, È장품)을 말한다.

재고자산의 종류

상 품 판매를 »É으ü 외부에Ý íÈ한 재Ö


제 품 판매할 »É으ü ¾Æ÷ 생산한 재Ö
반제품 ׬제ø한 중간제품과 부분품
재공품 생산공정 중에 Ï는 미완성 상Ü의 재Ö
원재료 생산공정에 사용될 재Ö
È장품 ͺ품, ͺ공í비품, Ú선용 부분품 등

110
Chapter 06. 재고자산

2) 재고×산의 취ý원¬

재ì×산의 취ý원¬는 매Ȭ액에 매È부대비용을 포ýÝì, 매È환출 및 에누리와 매È


할인을 ì¼Ýí 계산한다. 매È부대비용÷란 상품매매에 따른 매È운반비, Ýî비, 매ÈÚ
Ú료, ü관료 등의 제비용을 말한다. ÷중 운반비는 계þø건에 따ÿ 부ö׬ 달ÿ진다.
선ÉÉ인÷ø건은 í매׬ 부öÝì, ÷íÉ인÷ø건÷면 판매׬ 부ö한다. 상품매매에
따른 제비용의 부ö׬ í매×일 때에는 상품의 취ý원¬ü 처리Ýì, 판매×의 부ö일
때는 별÷의 비용계정으ü 처리한다.

3) 재고×산의 ø정항»

구분 내용 (차÷점) 공통점
매È에누리 매È한 상품 등에 경미한 Ý׬ Ïõ ¾을 깎은 것
매È에 대한
매È환출 매È한 상품 등에 중대한 Ý׬ Ïõ 돌¼ü낸 것
ì¼항»
매È할인 외상매È®을 þ정¾일 ÷전에 ɯ으ü 할인¿은 ®액
매출에누리 매출한 상품 등에 경미한 Ý׬ Ïõ ¾을 깎Å준 것
매출에 대한
매출환È 매출한 상품 등에 중대한 Ý׬ Ïõ 되돌Å온 것
ì¼항»
매출할인 외상매출®을 þ정¾일 ÷전에 ÞÚý으ü써 할인õ 준 ®액

4) 상품매매등ß

 총매È액 - (매È에누리 + 매È환출 + 매È할인) = 순매È액


 총매출액 - (매출에누리 + 매출환출 + 매출할인) = 순매출액
 ¾Í재ì액 + 순매È액 – ¾말재ì액 = 매출원¬
 순매출액 – 매출원¬ = 매출총÷ø

11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6-1 재고×산 원¬계산

01. 다음의 ×료ü 매출원¬는 Ā마인¬?

 ¾Í재ì 200,000원  매 È 500,000원


 매È운Ç 30,000원  ¾말재ì 100,000원
 매È할인 10,000원

02. ½마상사의 재고×산에 관한 다음 ×료에 의해 매출원¬를 계산하면 Ā마인¬?

 ¾Í상품재ì액 300,000원  당¾ 총 매 È 액 600,000원


 매 È 할 인 30,000원  ¾말상품재ì액 200,000원

03. 다음은 ½마상사의 상품과 관련한 ×료÷다. 상품 순매È수량÷ 1,000개일 때 단위당 취


ý원¬는 Ā마인¬?

 매È®액 600,000원  매È운Ç 50,000원


 매È환출 30,000원  매출환È 30,000원
 매È에누리 20,000원  매출에누리 20,000원

1. 매출원¬ = (기초재고 + 당기순매È) - 기말재고


620,000 = 200,000 + 520,000 – 100,000
2. 670,000 = 300,000 + 570,000 – 200,000
3. @600원 = (600,000+50,000-30,000-20,000) ÷ 1,000

112
Chapter 06. 재고자산

2 상품매매거래의 기록(회계처리)

상품계정은 재무상Ü표의 ×산계정으ü 상품의 매È 등으ü 인한 증¬는 ì변에 ¾ýÝì


상품의 매출 등으ü 인한 ¼Í는 대변에 ¾ý한다. 상품매매에 대한 ¾ý은 단일상품계정을
사용Ý는 방½과 상품계정을 분할Ýí Þ계처리Ý는 방½÷ Ï다.

1) 단일상품계정 처리

순Ú계정½(분¾½)은 상품을 매ÈÝ면 상품계정의 ì변에 ¾ÈÝì, 상품을 판매Ý면


상품계정의 대변에 판매된 상품의 원¬를 ¾È한다. ý리ì 상품의 매출액과 판매된 상품의
원¬와의 ì액을 상품매출÷ø계정에 ¾ý한다.
분¾½은 상품매출÷ø계정에 의õ 상품매맴÷ø을 쉽게 알 Ú Ï다는 장Ø÷ Ï으나
상품판매Þù다 상품의 원¬를 ×인Ýí 상품매매÷ø을 계산Ýíý Ýì, 일정¾간의 매출
액을 파ÆÝ¾ 곤란한 단Ø÷ Ï다.

구분 차변 대변
상품매ÈÞ 상 품 ××× 현 ® ×××
상 품 ×××
상품판매Þ 현 ® ×××
상품매출÷ø ×××
결 산 Þ 별÷ Ú정분¼ Ç음

6-2 순수상품계정법 회계처리

01.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순수상품계정½에 의하í 분개하Þ오.

 12/10 무½상사ü부터 상품 1,000¼를 ¼당 ₩500원에 외상으ü 매ÈÝ다.


 12/20 설봉상사에 상품 600¼를 ¼당 ₩800에 현®으ü 판매Ý다.
 12/31 상품매출÷ø을 손ø계정에 대체Ý다.

11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10
12/20
12/31

1.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10 상 품 500,000 외 상 매 È ® 500,000
상 품 300,000
12/20 현 ® 480,000 상품매출÷ø 180,000
12/31 상품매출÷ø 180,000 손 ø 180,000

혼þ상품계정½(총¾½)은 상품을 매ÈÝ면 상품계정의 ì변에 ¾ÈÝì, 상품을 판매Ý면


상품 계정의 대변에 매출액을 ¾È한다. 때문에 순Ú상품계정½처럼 상품÷ 판매될 때ù다
판매된 상품의 원¬를 일일÷ ×인Ýí 상품매매÷ø을 계산할 필Ö¬ Ç다. ý러나 상품매매
거래를 혼þ상품계정으ü 처리Ý면 상품계정의 잔액÷ 무È을 나Ð내는É 의미를 알 Ú Ç다.

구분 차변 대변
상품매ÈÞ 상 품 ××× 현 ® ×××
상품판매Þ 현 ® ××× 상 품 ×××
상 품 ××× 상품매출÷ø ×××
결 산 Þ
상품매출÷ø ××× 손 ø ×××

6-3 혼합상품계정법 회계처리

01.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혼þ상품계정½에 의하í 분개하Þ오.

 12/10 무½상사ü부터 상품 1,000¼를 ¼당 ₩500에 외상으ü 매ÈÝ다.


 12/20 설봉상사에 상품 600¼를 ¼당 ₩800에 현®으ü 판매Ý다.
 12/31 상품매출÷ø을 손ø계정에 대체Ý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10
12/20
12/31

114
Chapter 06. 재고자산

1.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10 상 품 500,000 외상매È® 500,000
12/20 현 ® 480,000 상 품 480,000
상 품 180,000 상품매출÷ø 180,000
12/31 상품매출÷ø 180,000 손 ø 180,000

2) 분할상품계정

상품을 매출할 때ù다 매출원¬를 파ÆÝí ì액을 상품매출손ø으ü 처리Ý는 분¾½÷


나 매È과 매출을 í분Ç÷ 단일계정으ü 처리Ý는 총¾½은 매우 ½편할 뿐만 Å니ÿ 총매출
액과 매출원¬를 파ÆÝ¾ õ½다. ÷러한 단Ø을 ü완ݾ 위Ýí 매È과 매출을 ¼ü 파Æ
할 Ú Ï÷ý 상품계정을 분할Ýí Þ계처리Ý는 방½÷ 널리 사용되ì Ï다. 상품계정의
분할¾ý은 2분½, 3분½, 5분½, 7분½, 9분½ 등÷ Ï는데 일반É으ü 사용Ý는 3분½(전산
Þ계는 2분½)에 대Ýí 설명한다.

2분½은 상품계정을 매È계정과 매출계정으ü 분할Ýí ¾ýÝ는 방½÷나, í¾Ý는 산


Æ실무와 전산Þ계에Ý 사용되ì Ï는 상품계정과 상품매출계정으ü 분할Ýí 설명한다.
d 상품계정의 ì변에는 전¾÷월액과 매È액을 대변에는 매È상품의 환출액과 매È에누
리액, 매È할인액을 ¾È한다. 따ÿÝ 상품계정의 ì변잔액은 전¾÷월액과 순매È액
의 þ계액을 표Þ한다.
e 상품매출계정의 대변에는 매출액을 ì변에는 매출상품의 환È액과 매출에누리액, 매출
할인액을 ¾È한다. 따ÿÝ 상품매출계정의 대변잔액은 순매출액을 표Þ한다.

2분½에 ÏõÝ 매È계정은 ×산과 비용을 겸한 혼þ계정÷며 매출계정은 Úø계정÷ÿ


Ý겠다.
상 품 상품매출
전¾÷월(¾Í잔액) 매È에누리 매출에누리
매È환출액 매출환È액
총매È액 총매출액
매È할인액 매출할인액
(상품¬액+부대비용)
순매È액 순매출액

11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6-4 2분법 회계처리

01.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2분½에 의하í 분개하Þ오(전기÷월상품 ₩30,000).

 12/ 5 무½상사ü부터 상품 1,000¼를 ¼당 ₩500에 외상으ü 매ÈÝ다.


 12/10 매È한 상품 중 ½량품 20¼¬ Ïõ ₩10,000을 반품Ý다.
 12/15 설봉상사에 상품 600¼를 ¼당 ₩800에 외상으ü 판매Ý다.
 12/20 판매한 상품 중 파손품 20¼¬ Ïõ ₩16,000÷ 반품되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 5
12/10
12/15
12/20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 5 상 품 500,000 외상매È® 500,000
12/10 외상매È® 10,000 상 품 10,000
12/15 외상매출® 480,000 상 품 매 출 480,000
12/20 상 품 매 출 16,000 외상매출® 16,000

3분½은 상품계정을 ÷월상품, 매È, 매출의 3계정으ü 분할Ýí ¾ýÝ는 방½÷며, Þ계


처리 및 계정¾È 방½은 다음과 ½다.

÷월상품

전¾÷월(¾Í잔액)

d ÷월상품계정은 ×산계정으ü ¾Í상품재ì액과 ¾말상품재ì액을 전¾÷월과 ì¾÷


월ü 처리한다.

116
Chapter 06. 재고자산

e 매È계정은 상품의 매È에 관한 거래를 ¾ÈÝ는 비용계정으ü 총매È액과 매È제비용


은 ì변에 ¾ÈÝì 매È환출 및 에누리, 매È할인액은 대변에 ¾È한다. 잔액은 순매È
액을 의미Ý며 ì변잔액으ü 나Ð낸다.

매 È

매È에누리
총매È액 매È환출액
(상품¬액+부대비용) 매È할인액
순매È액

f 매출계정은 상품매출에 관한 거래를 ¾ÈÝ는 Úø계정으ü 대변에 ¾ÈÝì 매출환È


및 에누리, 매출할인액은 ì변에 ¾È한다. 잔액은 순매출액을 대변잔액으ü 나Ð낸다.

매 출

매출에누리
매출환È액
총매출액
매출할인액
순매출액

6-5 3분법 회계처리

01.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3분½에 의하í 분개하Þ오(전기÷월상품 ₩30,000)

 12/ 5 무½상사ü부터 상품 1,000¼를 ¼당 ₩500에 외상으ü 매ÈÝ다.


 12/10 매È한 상품 중 ½량품 20¼¬ Ïõ ₩10,000을 반품Ý다.
 12/15 설봉상사에 상품 600¼를 ¼당 ₩800에 외상으ü 판매Ý다.
 12/20 판매한 상품 중 파손품 20¼¬ Ïõ ₩16,000÷ 반품되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 5
12/10
12/15
12/20

11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 5 매 È 500,000 외 상 매 È ® 500,000
12/10 외 상 매 È ® 10,000 매 È 10,000
12/15 외 상 매 출 ® 480,000 매 출 480,000
12/20 매 출 16,000 외 상 매 출 ® 16,000

3) 매출총손ø계산

2분½에 의한 상품매출총손ø을 계산Ý는 방½은 ¾Í상품재ì액과 순매È액을 더한 판매


¬·재ì액에Ý ¾말상품재ì액을 ì¼Ýí 매출원¬를 계산한다. 매출원¬와 순매출액을
총액으ü 손ø계정에 대체Ýí 매출총손ø을 계산한다.
구분 차변 대변
결산정리 매 출 원 ¬ 계 산 매출원¬ ××× 상 품 ×××
매 출 원 ¬ 손 ø ××× 매출원¬ ×××
손ø대체
순 매 출 액 매 출 ××× 손 ø ×××
* 매출원¬ =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6-6 2분법 결산Þ 결산정리분개 및 손ø대체분개

01. [예제 6-4] 사례를 ÷용하í 결산Þ 2분½에 의한 결산정리분개 및 손ø대체분개를 하Þ


오.(기말상품재고액은 ₩230,000÷다)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결산정리 매출원¬계산
매 출 원 ¬
손ø대체
순 매 출 액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결산정리 매출원¬계산 상 품 매 출 원 ¬ 290,000 상 품 290,000
매 출 원 ¬ 손 ø 290,000 상 품 매 출 원 ¬ 290,000
손ø대체
순 매 출 액 상 품 매 출 464,000 손 ø 464,000
×× 매출원¬ = 30,000(¾Í상품재ì액) + 490,000(순매È액) - 230,000(¾말상품재ì액)
= 290,000
×× 순매출액 = 480,000(총매출액) - 16,000(매출환È액)
= 464,000

118
Chapter 06. 재고자산

3분½에 의한 상품매출총손ø을 계산Ý는 방½으ü 총액½과 순액½÷ Ï으나 총액½을


원ß으ü 한다.
d 총액½은 ¾Í상품재ì액을 ÷월상품계정에Ý 매È계정에 대체(+)Ýì ¾말상품재ì
액을 매È계정에Ý ÷월상품계정으ü 대체(-)Ýí 매È계정에Ý 매출원¬를 산출Ýì
매출계정에Ý 순매출액을 산출한다. ÷¿게 í한 매출원¬와 순매출액을 ­­ 총액으
ü 손ø계정에 대체Ýí 매출총손ø을 계산Ý는 방½÷다.
e 순액½은 매È계정에Ý 산출한 매출원¬를 매출계정에 대체Ýí 매출계정에Ý 매출총
손ø을 í한 후 손ø계정에는 순액인 매출총손ø만 대체Ý는 방½÷다.

구분 차변 대변

결산 ¾ Í 상 품 재 ì 액 매 È ××× ÷월상품 ×××


정리 ¾ 말 상 품 재 ì 액 ÷월상품 ××× 매 È ×××
손ø 매 출 원 ¬ 손 ø ××× 매 È ×××
대체 순 매 출 액 매 출 ××× 손 ø ×××

6-7 3분법 결산Þ 결산정리분개 및 손ø대체분개

01. [예제 6-5] 사례를 ÷용하í 결산Þ 3분½에 의한 결산정리분개 및 손ø대체분개를 하Þ오.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¾Í상품재ì액
¾말상품재ì액
매 출 원 ¬
순 매 출 액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¾Í상품재ì액 매 È 30,000 ÷ 월 상 품 30,000
¾말상품재ì액 ÷월상품 230,000 매 È 230,000
매 출 원 ¬ 손 ø 290,000 상품매출원¬ 290,000
순 매 출 액 상품매출 464,000 손 ø 464,000

×× ¾말상품재ì액 = 30,000(¾Í재ì액) + 490,000(순매È액) - 290,000(순판매원¬)


= 230,000
×× 순매출액 = 480,000(총매출액) - 16,000(매출환È액)
= 464,000

11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3 상품매매활동과 보조기록

상품매매에 대한 ¾ý을 분¼와 õ당 계정에 전¾Ý는 것으ü는 거래내용을 파ÆÝ¾에


충분ÝÉ 않¾ 때문에 매È과 매출에 대한 상세한 ¾ý을 위한 üø장부ü 매È장과 매출장÷
Ï다.

1) 매È장

매È장은 상품매È에 대한 명세를 ¾ýÝ는 üø¾È장으ü 날짜, 매È처명, 대®의 ɯ


방½, 품명, Ú량, 단¬, ®액 등의 내용을 매È액은 검은É으ü 매È에누리와 환출액 및
매È할인은 ¾은글íü ¾È한다. ù¼할 때에는 총매È액에Ý 매È에누리와 환출액 및 매È
할인액을 ì¼Ýí 순매È액을 계산한다.

6-8 매입장 Ø성

01.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고 매È장에 기È하Þ오.

 6/10 무½상사ü부터 A상품 1,000¼를 ¼당 ₩500원에 현®으ü 매ÈÝ다.(송장


번þ610)
 6/15 ÜÖ상사ü부터 B상품 600¼를 ¼당 ₩800원에 외상으ü 매ÈÝì, 매È
운Ç ₩60,000을 현®으ü ɯÝ다.(송장번þ615)
 6/17 ÜÖ상사ü부터 íÈ한 B상품 10¼¬ 중대한 Ý׬ Ïõ 반품Ý다.(송장
번þ 반-12)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6/10

6/15

6/17

120
Chapter 06. 재고자산

매 È 장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É 요 ®액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6/10 상 품 500,000 현 ® 500,000
외상매È® 480,000
6/15 상 품 540,000
현 ® 60,000
6/17 외상매È® 8,000 상 품 8,000

매 È 장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É 요 ®액
6 10 610 (무½상사) (현®)
A상품 1,000¼ @₩500 500,000
15 615 (ÜÖ상사) (외상)
B상품 600¼ @₩800 480,000
운Çɯ 60,000 540,000
17 반-12 (ÜÖ상사) (환출)
B상품 10¼ @₩800 8,000
총매È액 1,040,000
환출액 8,000
순매È액 1,032,000

2) 매출장

매출장은 상품매출에 대한 명세를 ¾ýÝ는 üø¾È장으ü 날짜, 매출처명, 대®의 Ú


취방½, 품명, Ú량, 단¬, ®액 등의 내용을 매출액은 검은É으ü 매출에누리와 환È액

12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및 매출할인은 ¾은글íü ¾È한다. ù¼할 때에는 총매출액에Ý 매출에누리와 환È액


및 매출할인액을 ì¼Ýí 순매출액을 계산한다.

6-9 매출장 Ø성

01.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고 매출장에 기È하Þ오.

 7/3 ù름상사에 A상품 200¼를 ¼당 ₩5,000î 현®으ü 판매Ý다.(송장번þ


710)
 7/7 정광상사ü부터 B상품 50¼를 ¼당 ₩10,000î 외상으ü 판매Ý다.(송장번
þ 711)
 7/9 정광상사에 판매한 B상품 5¼에 중대한 Ý׬ Ïõ ¼당 ₩2,000î 에누리
õ 주다. (송장번þ 반-13)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7/3
7/7
7/9

매 출 장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É 요 ®액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7/3 현 ® 1,000,000 상 품 매 출 1,000,000
7/7 외 상 매 출 ® 500,000 상 품 매 출 500,000
7/9 상 품 매 출 10,000 외 상 매 출 ® 10,000

122
Chapter 06. 재고자산

매 출 장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É 요 ®액
7 3 710 (ù름상사) (현®)
A상품 200¼ @₩5,000 1,000,000
7 711 (정광상사) (외상)
B상품 50¼ @₩10,000 500,000
9 반-13 (정광상사) (에누리)
B상품 5¼ @₩2,000 10,000
총매출액 1,500,000
에누리액 10,000
순매출액 1,490,000

3) 상품재고장

상품재ì장은 상품의 Èì와 출ì를 빠ÙÇ÷ ¾ýÝí ¾말재ì를 파ÆÝ게 Ý는 üø원


장으ü 상품의 종류별ü Ø성한다. 상품은 항상 동일한 ¬­으ü 매ÈÝ는 것÷ Å니¾ 때문
에 출ì한 상품÷ õ떤 ¬­인É를 결정Ýíý 한다. ý러나 실제ü õ떤 ¬­의 상품÷
출ì되É는É 파ÆÝ는 것은 õ½¾ 때문에 ÷를 무ÞÝì 물량×름의 ¬정에 따ÿ 상품재ì
장을 Ø성한다. 물량×름의 ¬정에 따른 Ø성방½에는 선È선출½, 후È선출½, ÷동평균½,
총평균½ 등÷ Ï다, ý 내용은 다음 절에Ý 설명한다.

6-10 상품재고장 Ø성

01. ½마상사의 A상품 거래내î÷다. 선È선출½과 후È선출½, ÷동평균½, 총평균½으ü 상


품재고장을 Ø성하í 마¼하고 순매출액, 매출원¬, 매출총÷ø을 계산하Þ오.

 8/ 1 월Í재ì액 : 10¼ @500원


 8/ 8 매È액 : 30¼ @600원
 8/ 9 8/8 매È분 중 환출 : 3¼
 8/20 매출액 : 20¼ @1,000원
 8/21 8/20 매출분 중 환È : 2¼
 8/25 매È액 : 30¼ @800원
 8/28 매출액 : 20¼ @1,200

12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상 품 재 고 장
선È선출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상 품 재 고 장
후È선출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124
Chapter 06. 재고자산

상 품 재 고 장
÷동선출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상 품 재 고 장
총평균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12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상 품 재 고 장
선È선출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8 1 전 월 ÷ 월 10 500 5,000 10 500 5,000
8 매 È 30 600 18,000 10 500 5,000
30 600 18,000
△1,80 10 500 5,000
9 환 출 △3 600
0 27 600 16,200
10 500 5,000
20 매 출 10 600 6,000 17 600 10,200
21 환 È △2 600 △1,200 19 600 11,400
19 600 11,400
25 매 È 30 800 24,000 30 800 24,000
28 매 출 19 600 11,400 29 800 23,200
1 800 800
31 ì 월 ÷ 월 29 800 23,200
67 45,200 67 45,200
9 1 전 월 ÷ 월 29 800 23,200 29 800 23,200

d 순매출액 : 20×1,000 – 2×1,000 + 20×1,200 = 42,000


e 매출원¬ : 45,200 - 23,200 = 22,000
f 매출총÷ø : 42,000 – 22,000 = 20,000
상 품 재 고 장
후È선출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8 1 전 월 ÷ 월 10 500 5,000 10 500 5,000
8 매 È 30 600 18,000 10 500 5,000
30 600 18,000
△1,80 10 500 5,000
9 환 출 △3 600
0 27 600 16,200
10 500 5,000
20 매 출 20 600 12,000 7 600 4,200
21 환 È △2 600 △1,200 10 500 5,000
9 600 5,400
10 500 5,000
25 매 È 30 800 24,000 9 600 5,400
30 800 24,000
10 500 5,000
28 매 출 20 800 16,000 9 600 5,400
10 800 8,000
10 500 5,000
31 ì 월 ÷ 월 9 600 5,400
10 800 8,000
67 45,200 67 45,200
10 500 5,000 10 500 5,000
9 1 전 월 ÷ 월 9 600 5,400 9 600 5,400
10 800 8,000 10 800 8,000
d 순매출액 : 20×1,000 – 2×1,000 + 20×1,200 = 42,000
e 매출원¬ : 45,200 – 18,400 = 26,800
f 매출총÷ø : 42,000 – 16,800 = 15,200

126
Chapter 06. 재고자산

상 품 재 고 장
÷동평균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8 1 전 월 ÷ 월 10 500 5,000 10 500 5,000
8 매 È 30 600 18,000 40 575 23,000
9 환 출 △3 600 △1,800 37 573 21,200
20 매 출 20 573 11,459 17 573 9,741
△1,14
21 환 È △2 573 6 19 573 10,887
25 매 È 30 800 24,000 49 712 34,887
28 매 출 20 712 14,240 29 712 20,647
31 ì 월 ÷ 월 29 712 20,647
67 45,200 67 45,200
9 1 전 월 ÷ 월 29 712 20,647 29 712 20,647
d 순매출액 : 20×1,000 – 2×1,000 + 20×1,200 = 42,000
e 매출원¬ : 45,200 – 20,647 = 24,553
f 매출총÷ø : 42,000 – 24,553 = 17,447
상 품 재 고 장
총평균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8 1 전 월 ÷ 월 10 500 5,000 10 500 5,000
8 매 È 30 600 18,000 40
9 환 출 △3 600 △1,800 37
20 매 출 20 675 13,492 17
△1,34
21 환 È △2 675 9 19
25 매 È 30 800 24,000 49
28 매 출 20 675 13,492 29
31 ì 월 ÷ 월 29 675 19,565
67 45,200 67 45,200
9 1 전 월 ÷ 월 29 675 19,565 29 675 19,565
총평균단¬ 계산
기초재고액 + 매È총액
총평균단¬ =
기초재고수량 + 매È총수량
5,000 + 40,200
= = 674.6
10 + 57
d 순매출액 : 20×1,000 – 2×1,000 + 20×1,200 = 42,000
② 매출원가 : 45,200 – 19,565 = 25,635
f 매출총÷ø : 42,000 – 25,635 = 16,365

12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4 재고×산의 평¬

재ì×산의 경우에는 ¾중 매È과 매출÷ ÚÞü 일õ나¾ 때문에 ¾중 ×산관리는 Ú량을


위주ü 관리Ýì, ¾말에 단¬를 결정Ýí ¾말재ì원¬와 매출원¬를 산정한다. Ê ¾말재
ì×산의 평¬는 ×산¾ý방½에 따ÿ 산정된 ¾말재ìÚ량에 ¾말에 결정된 단¬를 곱Ýí
¾말재ì원¬를 결정Ýì 매출원¬를 계산한다.

¾말재ì원¬ = ¾말재ìÚ량 × 단¬
매출원¬ = ¾Í재ì원¬ + 당¾매È원¬ – ¾말재ì원¬

1) 수량결정방법

재ì×산의 Ú량결정을 위한 ¾ý방½은 장부상에Ý Ú량파Æ÷ ÷루õÉ는 계ξý½과


상품ýì에Ý ÊÙ 재ìø사를 통Ýí Ú량÷ ×정되는 실É재ìø사½, ÷ 두 방½을 병ÞÝ
í 사용Ý는 혼þ½÷ Ï다.

계ξý½은 상품매ÈÞ 매ÈÚ량, 단¬, ®액을 º두 ¾ÈÝì 상품판매Þ에÷ 판매Ú량


을 ¾ýÝ는 방½÷다. 계ξý½은 매È과 판매Ú량을 장부에 게ξýý으ü써 언제ÿ÷
장부를 ×인Ý면 매È과 판매Ú량을 알 Ú Ï는 장Ø÷ Ï으나, ÷난·증À·파손·¾Ð의
원인에 의õÝ À생된 ¼손량÷ ¾말재ì에 포ý되는 단Ø÷ Ï다.

128
Chapter 06. 재고자산

¾Í재ìÚ량 + 당¾매ÈÚ량 – 당¾판매Ú량 = ¾말재ìÚ량

실É재ìø사½(실사½)÷란 상품매ÈÞ 매ÈÚ량, 단¬, ®액을 º두 ¾ÈÝÉ만 상품만


매Þ 판매Ú량을 ¾ýÝÉ 않는 방½÷다. 실사½은 ¾말에 재ìø사를 통Ýí ¾말재ì의
Ú량과 ®액을 ×정짓ì 매출Ú량 및 매출원¬를 다음 산ß에 따ÿ 사후É으ü 계산Ý는
방½÷다. ÷ 방½은 당¾판매Ú량에 ÷난·증À·파손·¾Ð의 원인에 의õÝ À생된 ¼손
량÷ 포ý되는 단Ø÷ Ï다.

¾Í재ìÚ량 + 당¾매ÈÚ량 – ¾말재ìÚ량 = 당¾판매Ú량

혼þ½÷란 계ξý½과 실É재ìø사½을 º두 사용Ý는 방½÷다. æ늘날에는 혼þ½


을 ¬장 많÷ 사용Ý며 ÷ 방½을 사용Ý게 되면 재ì×산¼º손실의 ®액을 파Æ할 Ú
Ï는 장Ø÷ Ï다.

2) 단¬결정방법

상품의 íÈ단¬는 íÈÝ는 ÞØ에 따ÿ 단¬¬ 다른 것÷ 일반É÷다. ÷ 경우 õ떤


íÈ단¬의 상품÷ 판매되õ 출ì되É는É를 결정Ý는 것은 매우 중ÖÝ다. ý ÷ç는 õ떤
방½에 의Ýí 단¬를 결정Ý느냐에 따ÿ ¾말상품재ì액÷ 달ÿÉì ¾간손ø÷ 달ÿɾ
때문÷다. 상품의 단¬결정방½은 ¼별½, 선È선출½, 후È선출½, ÷동평균½, 총평균½
등÷ Ï다.

상품에 ¬­표 등을 붙í 두É다¬ 매Ȭ­별ü 판매된 것과 ¾말재ìü ¸은 것을 í별

12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Ýí 매출원¬와 ¾말재ì를 í분Ý는 방½÷다.


¼별½은 원¬의 ×름과 실제 물량×름÷ 일Þݾ 때문에 ÷론상 ¬장 ÷상É인 방½÷É
만, 재ì×산의 종류와 Ú량÷ 많ì 거래¬ 빈번한 경우에는 실무에 É용ݾ õ¼운 방½÷
다. 따ÿÝ ¼별½은 귀®Î÷나 ×동ì매매Æ, û별주문품 등과 ½÷ 상대É으ü ì¬품»
에 É용되는 방½÷다.

상품의 물량×름에 대Ýí 먼È Èì된 상품을 먼È 출ì한다는 ¬정Ý에 출ì단¬를


결정Ý는 방½÷다. ÷ 경우 매출원¬는 æ래된 원¬ü 표Þ되ì ¾말상품재ì액은 최근의
원¬ü 표Þ된다.

상품의 물량×름에 대Ýí 나중에 Èì된 상품÷ 먼È 출ì된다는 ¬정Ý에 출ì단¬를


결정Ý는 방½÷다. ÷ 경우 매출원¬는 최근의 원¬ü 표Þ되ì ¾말상품재ì는 æ래된
원¬ü 표Þ된다.

상품을 매È할 때ù다 매È액과 재ì액을 더한 ®액을 매ÈÚ량과 재ìÚ량을 더한 Ú량으


ü 나누õ 평균단¬를 Èü÷ 산정Ýí 출ìÝ는 상품에 É용Ý는 방½÷다.

상품을 출ì할 때에는 출ì란과 잔액란에는 단É Ú량만 ¾ýÝì ¾말에 ¾Í재ì액과


매È총액을 더한 ®액을 ¾Í재ìÚ량과 매È총Ú량의 þ으ü 나누õ 총평균단¬를 계산Ý
í 출ì된 상품과 ¾말재ì에 É용Ý는 방½÷다.

130
Chapter 06. 재고자산

5 재고×산감º손실과 평¬손실

1) 재고×산감º손실

재ì×산¼º손실÷란 재ì×산의 Ú량부ù으ü À생한 손실üÝ 재ì×산의 장부재ì액


에 비õ 실제재ì액÷ 부ù할 경우에 À생Ý는 손실÷다. ÷러한 손실은 재ì×산의 분실,
÷난, 파손, æ류 등으ü 나Ð난다.

(장부재고수량 – 실제재고수량) × 단위당 원¬ = 재고×산감모손실

재ì×산¼º손실은 정상É으ü À생Ýí 원¬성÷ Ï는 경우에는 매출원¬ü 분류Ý며,


비정상É으ü À생Ýí 원¬성÷ Ç는 경우에는 ÇÆ외비용으ü 분류한다.

2) 재고×산평¬손실

재ì×산평¬손실은 재ì×산의 취ý원¬ü다 순실현¬·¬Þ¬ ÝĀÝ는 경우에 À생Ý


는 손실÷며 매출원¬에 ¬산한다. 또한 재ì×산을 Ȭü 평¬한 ì액은 재ì×산평¬충당
®으ü Ýí 재무상Ü표에 재ì×산의 ì¼항»으ü 표Þ한다. 취ý원¬ü다 순실현¬·¬
Þ¬ 상승Ý는 경우에는 평¬÷ø을 계상ÝÉ 않는다.

(단위당 원¬ – 단위당 순실현¬능¬Þ) × 실제재고수량 = 재고×산평¬손실

재ì×산평¬손실을 인ß한 ÷후에 재ì×산의 ¬Þ¬ 다Þ 상승할 Ú÷ Ï다. ÷때에는


최Í의 장부®액을 Í과ÝÉ 않는 ¼위내에Ý 평¬손실을 환ÈÝ는데 재ì×산평¬손실환È
÷ÿ는 계정을 사용Ýí 재ì×산평¬충당®을 줄í준다. 환È액÷ À생Ý면 ý만큼 당¾
매출원¬¬ ¼ÍÝ게 된다.

13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6-11 재고×산감모손실과 평¬손실 계산

01. 다음 기말 상품과 관련된 ×료를 ÷용하í (1)재고×산¼º손실과 (2)재고×산평¬손실을


계산하í 분개하Þ오.

상품재ì장의 ¾말상품Ú량은 100¼÷나 ýì의 실제 ¾말상품Ú량은 90¼Ç÷ 파Æ되õ ¼


ºÚ량의 원인을 ø사한 결과 4¼는 정상É÷ì, 나머É는 비정상É으ü ×인되É다. 또한
상품재ì장의 ¾말상품재ì액은 단위당 ₩1,000÷나 ¾말 현재 순실현¬·¬Þ는 단위당
₩900÷다.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재ì×산¼º손실 4,000 상 품 4,000
(2) 재ì×산평¬손실 9,000 재ì×산평¬충당® 9,000

×× 재고×산¼º손실 = (100개(장부수량) - 90개(실제수량) × ₩1,000


= ₩10,000중 비정상¼º손실 ₩4,000원
×× 재고×산평¬손실 = (₩1,000(당위당 원¬) - ₩900(순실현¬능¬Þ)) × 90개(실제재고수량)
= ₩9,000

132
Chapter 06. 재고자산

연습문제

01. 다음 ×료에Ý 기초상품재고액을 계산하면?

 당¾매출액 3,000,000원  매출총÷ø 800,000원


 당¾상품매È액 2,300,000원  ¾말상품재ì액 500,000원

02. 다음 ×료에 의하í 상품 매출원¬를 계산하면 Ā마인¬?

 ¾Í상품재ì액 70,000원  총매È액 500,000원


 매È할인액 40,000원  매È에누리액 10,000원
 매출환È액 150,000원  ¾말상품재ì액 100,000원

03. 다음 세무유통의 4월 매출관련 ×료÷다. 기Å회계기준에 따른 순매출액은 Ā마인¬?

 총매출액 900,000원  매출할인액 70,000원


 매출환È액 20,000원  매출운Ç 30,000원
 매출에누리 50,000원

13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4.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2분½에 의하í 분개하고, 결산정리분개 및 손ø대체분개를 하Þ


오.(전기÷월상품 ₩50,000)

 12/ 8 원É상사ü부터 상품 2,000¼를 ¼당 ₩400에 외상으ü 매ÈÝ다.


 12/12 매È한 상품 중 ½량품 50¼¬ Ïõ ₩20,000을 반품Ý다.
 12/16 ÜÖ상사에 상품 1,000¼를 ¼당 ₩700에 외상으ü 판매Ý다.
 12/22 ÜÖ상사에 판매한 상품 중 파손품 30¼¬ Ïõ ₩21,000÷ 반품되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 8
12/12
12/16
12/22
12/31
12/31

05.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3분½에 의하í 분개하고, 결산정리분개 및 손ø대체분개를 하Þ


오.(전기÷월상품 ₩50,000)

 12/ 8 원É상사ü부터 상품 2,000¼를 ¼당 ₩400에 외상으ü 매ÈÝ다.


 12/12 매È한 상품 중 ½량품 50¼¬ Ïõ ₩20,000을 반품Ý다.
 12/16 ÜÖ상사에 상품 1,000¼를 ¼당 ₩700에 외상으ü 판매Ý다.
 12/22 ÜÖ상사에 판매한 상품 중 파손품 30¼¬ Ïõ ₩21,000÷ 반품되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2/ 8
12/12
12/16
12/22
12/31
12/31

134
Chapter 06. 재고자산

06.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고 매È장에 기È하Þ오.

 5/ 6 ù름상사ü부터 A상품 500¼를 ¼당 ₩1,000원에 현®으ü 매ÈÝ다.(송장


번þ506)
 5/10 정광상사ü부터 B상품 300¼를 ¼당 ₩1,500원에 외상으ü 매ÈÝì, 매È
운Ç ₩100,000을 현®으ü ɯÝ다.(송장번þ510)
 5/13 정광상사ü부터 íÈ한 B상품 20¼¬ 중대한 Ý׬ Ïõ 반품Ý다.(송장
번þ 반-13)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5/ 6

5/10

5/13

매 È 장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É 요 ®액

07.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고 매출장에 기È하Þ오.

 6/10 Öö상사에 A상품 300¼를 ¼당 ₩10,000î 현®으ü 판매Ý다.(송장번þ


610)
 6/12 õ룡상사ü부터 B상품 200¼를 ¼당 ₩15,000î 외상으ü 판매Ý다.(송장
번þ 612)
 6/15 õ룡상사에 판매한 B상품 10¼에 중대한 Ý׬ Ïõ ¼당 ₩3,000î 에누
리õ 주다. (송장번þ 반-15)

13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6/10
6/12
5/13

매 출 장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É 요 ®액

08. 용마상사의 A상품 거래내î÷다. 선È선출½으ü 상품재고장을 Ø성하í 마¼하고 순매출


액, 매출원¬, 매출총÷ø을 계산하Þ오.

 7/ 1 월Í재ì액 : 20¼ @500원


 7/ 6 매È액 : 50¼ @600원
 7/ 8 7/6 매È분 중 환출 : 5¼
 7/12 매출액 : 30¼ @1,000원
 7/15 7/12 매출분 중 환È : 3¼
 7/20 매È액 : 50¼ @800원
 7/25 매출액 : 40¼ @1,200

상 품 재 고 장
선È선출½ 품명 : A상품 (단위:원)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136
Chapter 06. 재고자산

d 순매출액 :
e 매출원¬ :
f 매출총÷ø :

09. 기말재고×산의 ×료¬ 다음과 같을 때 (1)재고×산¼º손실과 (2)재고×산평¬손실을 계


산하í 분개하Þ오.

상품재ì장 재ì 1,000¼ 원¬ @₩2,000 실제재ì 950¼ 순실현¬·¬Þ @₩1,500

구분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01. 다음 중 제øÅ을 Ç위하는 기Å의 재고×산으ü 분류되É 않은 계정은?


d 원재료 e 제품
f Þ장성 ç¬증권 g 재공품

02. 다음 중 재고×산으ü 분류되É 않는 것은?


d 분양을 »É으ü 공사 중에 Ï는 건물
e ÷íÉ 인÷¾준으ü 판매한 운송중인 상품
f 컴퓨터 제øÞ사의 재공품
g 컴퓨터 제øÞ사에Ý Æ무용으ü 사용Ýì Ï는 컴퓨터

03. 다음 중 매È원¬에 포ýÞ킬 수 Æ는 것은?


d 매ÈÚÚ료 e ÚÈ관세
f 매È할인 g 매È운Ç

13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4. 다음은 ㈜½마의 20×1년 기말 재고×산 관련 ×료÷다. 다음의 ×료를 ×인 후 ㈜½마의


기말재고×산을 º두 고른 것은?

¬. 당¾ 중 Þ용판매를 ÝÆì 판매된 제품 º두 ì½÷ íÈ의사를 표ÞÝÉ 않았다.


나. 당¾ 중 위Ñ판매를 ÝÆ는데 ÚÑ×는 º든 제품을 판매ÝÆ다.
다. 거래처에 대한 öüü 제공한 재ì×산÷ Ð처에 ü관중÷다.

d ¬ e ¬, 나
f ¬, 다 g ¬, 나, 다

05. 다음의 산ß으ü 올바른 매출원¬를 í할 수 Æ는 것은?


d 매출액 - 당¾매È액
e 매출액 - 매출총÷ø
f ¾Í재ì액 + 당¾매È액 - ¾말재ì액
g 판매¬·액 – ¾말재ì액

06. 상품매출÷ø 계산을 위한 등ß 중 틀린 것은?


d 상품매출÷ø = 당¾순매출액 – 매출원¬
e 총매È액 = 순매È액 - (매È환출 + 매È에누리 + 매È할인)
f 총매출액 = 순매출액 + 매출환È + 매출에누리 + 매출할인
g 매출원¬ = ¾Í상품재ì액 + 당¾순매È액 – ¾말상품재ì액

07. 기말 재고×산을 과Í평¬ 하Æ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ü 옳은 것은?


d 매출원¬¬ 과대 계상된다.
e 판매비와관리비¬ 과Í 계상되다
f ÇÆ÷ø÷ 과대 계상된다.
g 당¾순÷ø÷ 과대 계상된다.

138
Chapter 06. 재고자산

08. 기말재고액÷ 과대계상 되는 오류¬ À생된 경우 재무제표에 미Þ는 효과ü 올바르É 않은


것은?

d 당¾의 매출원¬¬ 과대계상 된다.


e 당¾의 순÷ø÷ 과대계상 된다.
f 당¾의 매출총÷ø÷ 과대계상 된다.
g ì¾에는 순÷ø÷ 과Í계상되õ ×동ø정된다.

09. 다음 상품재고장에 의한 9월 말 기말상품재고액을 ÷동평균½으ü 계산하면 Ā마인¬?

 9월 1일 : 전월÷월 100¼ 300원/¼


 9월 3일 : 매 È 100¼ 400원/¼
 9월 10일 : 매 출 100¼ 800원/¼
 9월 20일 : 매 È 100¼ 500원/¼

d 65,000원 e 75,200원
f 85,000원 g 88,000원

10. 다음은 4월 A상품의 매매 ×료와 상품재고장÷다. 선È선출½에 의할 경우 4월의 매출원


¬와 매출총÷ø은?(단, ÷외의 ×료는 Æ음)

구분 날짜 수량 단¬ ®액
매È액 4월 10일 400¼ 300원 120,000원
매출액 4월 20일 300¼ 500원 150,000원

상 품 재 고 장
(선È선출½) 품명:A상품 (단위:¼)
인 수 인 도 잔 액
20××년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4 1 전월÷월 100 200원 20,000원 100 200원 20,000원

매출원¬ 매출총÷ø
d 50,000원 60,000원
e 50,000원 70,000원
f 80,000원 60,000원
g 80,000원 70,000원

13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0. 다음 중 상품재고장에 관한 설명으ü 옳É 않은 것은?


d 상품의 종류별ü 인Ú, 인÷ 및 잔액을 알 Ú Ï÷ý ¾ÈÝ는 üø 원장÷다.
e 상품재ì장의 인Ú, 인÷ 및 잔액란의 º든 단¬와 ®액은 매È원¬ü ¾È한다.
f 매출한 상품에 ½량품÷ Ïõ 에누리Ýí 준 ®액은 인÷란에 ¾은 글íü ¾
È한다.
g 매È상품 중 ½량품÷ Ïõ 반품한 경우 인Ú란에 ¾은 글íü ¾ÈÝì 잔액
에Ý ì¼한다.

12. 다음 중 실물흐름에 따른 기말재고×산의 단¬결정방½으üÝ 수ø과 비용의 대응÷ ¬장


정×하게 ÷루어É는 재고×산 평¬방½은?

d ¼별½ e 선È선출½ f 후È선출½ g 총평균½

13. 다음의 정ü를 통해 재고×산¼º손실은 Ā마인É í하Þ오.

1. ¾말재ì Ú량 : 2,000¼
2. 실사Ú량 : 1,950¼
3. 재ì×산 취ý원¬ : 1,000원

d 50,000원 e 47,500원
f 45,000원 g 42,500원

14. 다음 중 인플레÷션Þ 기말재고 ®액을 ¬장 크게 만ü는 평¬방½은?


d ¼별½ e 선È선출½
f ÷동평균½ g 후È선출½

15. 기말 재고실사Þ 정상É인 재고×산의 ¼º손실÷ À생되È을 경우 올바른 회계처리는?


d 재ì×산¼º손실ü 매출원¬에 산È한다.
e 재ì×산¼º손실ü ¾Ð비용으ü 처리한다.
f 재ì×산¼º손실ü ÇÆ외비용으ü 처리한다.
g 재ì×산¼º손실ü 판매비와관리비ü 처리한다.

140
Chapter 06. 재고자산

16. 다음은 재고×산의 원¬흐름에 대한 ¬정에 관한 설명÷다. 틀린 것은?


d 선È선출½은 일반¾ÆÞ계¾준에Ý는 인정되É 않는 방½÷다.
e 후È선출½은 재ì×산÷ 최근에 íÈ한 것부터 팔린 것으ü ¬정Ý는 방½÷다.
f 총평균½은 실É재ìø사½인 경우에 É용되며 총원¬/총Ú량으ü 재ì×산의
단¬를 계산한다.
g Ȭ½은 Þ¬¬ 취ý원¬ü다 낮은 경우 Þ¬를 장부®액으ü Ý는 것을 말한다.

17. 다음 중 한î채Ýî제회계기준에Ý 인정하는 재고×산의 단¬결정방½으üÝ 먼È 매È


또는 생산된 재고×산÷ 먼È 판매되고, 결과É으ü 기말에 재고ü ¸아 Ï는 항»은 ¬장
최근에 매È 또는 생산된 항»÷ÿ고 ¬정하는 원¬¼분방½은?

d 후È선출½ e ¼별½ f ÷동평균½ g 선È선출½

18. 다음 A상품에 관한 ×료를 ü고, 선È선출½에 의한 6월 15일의 매출원¬와 매출총÷ø


을 계산한 ®액으ü 옳은 것은?

 매 È 액 : 6월 12일, 50¼, 한 ¼당 110원, 5,500원


 매 출 액 : 6월 15일, 40¼, 한 ¼당 150원, 6,000원
상 품 재 고 장
(선È선출½) 품명:A상품 (단위:원, ¼)
인 수 인 도 잔 액
20××년 É 요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6 1 전월÷월 10 100 1,000 10 100 1,000

<매출원¬> <매출총÷ø>
d 4,300원 1,500원
e 4,300원 1,700원
f 4,500원 1,500원
g 4,500원 1,700원

14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07 |

수취채권과 지¯채무

1 외상채권과 외상채무

1) 외상매출®과 외상매È®

상품을 외상으ü 매출Ýì ¿을 권리¬ 생¾는 것을 외상매출®÷ÿ Ýì ×산의 증¬ü


처리한다. 반대ü 상품을 거래처에Ý 외상으ü 매È으ü 인Ýí ɯÝíý 할 의무를 외상
매È®÷ÿì Ýì 부Ì의 증¬ü ¾ý한다.

외상매출® 외상매È®
전¾÷월(¾Í잔액) ⦁ÞÚ액 전¾÷월(¾Í잔액)
⦁대손À생액
ɯ액
외상매출액 외상매È액
ì¾÷월(¾말잔액) ì¾÷월(¾말잔액)

2) 통제계정과 인명계정

통제계정은 거래처 Ú¬ 많을 경우 상품의 외상매출®의 Ì권은 외상매출®, 상품 외상


매È의 Ì무는 외상매È® 계정으ü 처리Ý는 방½÷다. 통제계정인 외상매출®은 üø원장

142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으ü 매출처원장, 외상매È® 계정은 매È처원장을 만øõ ­ 거래처별ü 명세를 ¾ý한다.


üø원장의 ­ 인명계정의 þ계액은 외상매출® 또는 외상매È® 계정의 ®액과 일Þ한다.

인명계정÷란 외상Ì권, 외상Ì무를 ¾ý 관리할 때 외상매출® 계정과 외상매È® 계정을


사용ÝÉ 않ì, ­ 거래처의 상þ 또는 성명을 계정과»으ü 사용Ýí 관리Ý는 방½÷다.
¼별 거래처에 대한 외상매출®과 외상매È® 내î을 파ÆÝ¾는 Ë으나 거래처¬ 많게 되면
전체를 파ÆÝ는 것÷ ½편Ý다.

통제계정과 인명계정 차÷

구분 통제계정 인명계정

외상매출Þ (ì)외상매출® ××× (대)상품매출 ××× (ì)îí상Ø ××× (대)상품매출 ×××

외상매ÈÞ (ì)상품 ××× (대)외상매È® ××× (ì)상품 ××× (대)원미상Ø ×××

3) 신용카üÌ권·Ì무

신용카ü에 의Ýí 상품매매 거래ÝÆ을 때는 외상매출®과 외상매È® 계정으ü Þ계처


리한다. Ê, 일반É 상거래에Ý À생한 카ü상의 Ì권·Ì무는 미Ú®, 미ɯ® 계정을 사용
ÝÉ 않는다.

구분 통제계정 인명계정

상품매매Þ (ì)외상매출® ××× (대)상품매출 ××× (ì)îí상Ø ××× (대)상품매출 ×××

카ü대® (ì)ü 통 예 ® ××× (대)외상매출® ×××


(ì)외상매È® ××× (대)ü통예® ×××
ÞÚ(결제) ÚÚ료비용 ×××

14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7-1 통제계정과 인명계정

01. 다음 거래를 통제계정과 인명계정으ü ­­ 분개하Þ오.

(1) 무½상사에Ý 상품 ₩800,000을 매ÈÝì 대® 중 반액은 Ú표를 ÀÞÝí ɯÝì


나머É 잔액은 1¼월 후에 ɯݾü Ý다.
(2) 설봉상사에 상품 ₩500,000을 판매Ýì 대® 중 ₩200,000은 동ØÀÞ의 Ú표ü
¿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3) 용ù상사에 대한 외상대® ₩400,000을 현®으ü ¿Å ÊÞ 당Ì예ÈÝ다.

[통제계정]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인명계정]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통제계정]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상 품 800,000 당 Ì 예 ® 400,000
(1)
외상매È® 400,000
현 ® 200,000 상 품 매 출 500,000
(2)
외상매출® 300,000
(3) 당Ì예® 400,000 외상매출® 400,000

144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인명계정]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상 품 800,000 당Ì예® 400,000
(1)
무½상Ø 400,000
현 ® 200,000 상품매출 500,000
(2)
설봉상Ø 300,000
(3) 당Ì예® 400,000 용ù상Ø 400,000

2 어음채권과 어음채무

1) 어음의 의의 및 분류

õ음÷란 ÀÞ인÷ 일정한 Þ간에 일정한 ®액을 일정한 장Í에Ý 무ø건 ɯ할 것을
þÎÝ거나 제3×ü Ýí® É¯할 것을 위ÑÝ는 증Ý를 말한다.

õ음은 ½률상으ü는 þÎõ음과 환õ음, ÀÞ»É상 상Æõ음(진성õ음)과 융통õ음(®


융õ음), Þ계처리과»상 ¿을õ음과 ɯõ음으ü 분류한다.

¿을어음 상품의 외상거래에Ý À생한 Ì권에 대Ýí õ음을 Ú취한 것


회계상
ɯ어음 상품의 외상거래에Ý À생한 Ì무에 대Ýí õ음을 교부한 것
õ음의 ÀÞ인÷ 일정한 ®액을 일정한 일×에 ɯ할 것을 þÎ한
약Î어음
증Ý(ÀÞ인=Ì무×, Ú취인=Ì권×)
법률상
õ음의 ÀÞ인÷ 일정한 ®액을 일정한 일×에 Ú취인에게 ɯ할
환 어 음
것을 인Ú인에게 위ÑÝ는 증Ý(É명인=Ì무×, Ú취인=Ì권×)

À 행 상업어음 일반거래에Ý 거래의 ɯÚ단으ü ÀÞ한 õ음


»É상 융통어음 일반상거래 Ç÷ ×®을 ø달ݾ 위한 »É으ü ÀÞ한 õ음

14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2) ¿을어음과 ɯ어음

¿을õ음계정은 상품을 매출Ýì õ음을 Ú취Ý거나 외상매출®을 ÞÚݾ 위Ýí õ음


을 Ú취Ý면 ì변에 ¾ÈÝì õ음대®을 ÝîÝ면 대변에 ¾È한다. õ음의 ¼Ý양÷, õ음
의 할인, õ음의 ¼Ý에 의한 íõ음의 반환 등은 ×산인 ¿을õ음÷ ¼ÍÝ는 사ç÷므ü
¿을õ음계정 대변에 ¾ý한다. ¾Æ÷ õ음을 Ú령Ý게 되면 ¿을õ음¾È장÷ÿ는 üø¾
È장에 날짜 순Ý대ü ¾ýÝí 관리한다. ¿을õ음은 재무상Ü표상 ç동×산 중 당Ì×산으
ü 분류Ýì 외상매출®과 ý께 매출Ì권으ü 표Þ한다.

ɯõ음계정은 상품의 매È대® 또는 외상매È®을 ɯݾ 위Ýí þÎõ음을 ÀÞÝ


거나, 환õ음을 인ÚÝ면 ɯõ음계정 대변에 ¾ÈÝì õ음대®을 만¾일에 ɯÝ면 ɯ
õ음계정 ì변에 ¾ý한다. ¾Æ÷ õ음을 ÀÞÝ게 되면 ɯõ음¾È장÷ÿ는 üø¾È장
에 날짜 순Ý대ü ¾ýÝí 관리한다. ¿을õ음은 재무상Ü표상 ç동부Ìü 분류Ý며 외상매
È®과 ý께 매ÈÌ무ü 표Þ한다.

¿을어음 ɯ어음

전¾÷월(¾Í잔액) ⦁õ음의 Ýî ⦁õ음대® ɯ 전¾÷월(¾Í잔액)


⦁õ음의 ¼Ý양÷ ⦁×¾ÀÞ þÎõ
⦁õ음의 Ú취 ⦁õ음의 할인 ⦁þÎõ음 ÀÞ
⦁õ음의 ¼Ý에 의 ⦁환õ음 인Ú
음 ÞÚ
⦁õ음의 ¼Ý에 의한 ⦁õ음¼Ý에 의한
한 신õ음의 Ú취 íõ음의 반환 íõ음의 ÞÚ ⦁õ음¼Ý에 의한
신õ음의 ÀÞ
ì¾÷월(¾말잔액) ì¾÷월(¾말잔액)

146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을õ음¾È장은 ¿을õ음계정에 대Ýí ɯõ음¾È장은 ɯõ음계정에 대Ýí 날짜


순Ý대ü ¾ÈÝ는 õ음거래에 대한 üø장부÷다.

3) 어음의 추심과 ɯ

구분 수취인 À행인
상품매매Þ
(ì)¿을õ음 ××× (대)상품매출 ××× (ì)상품 ××× (대)ɯõ음 ×××
þÎõ음 ÚÚÞ
만¾일에
(ì)당Ì예® ××× (대)¿을õ음 ××× (ì)ɯõ음 ××× (대)당Ì예® ×××
õ음대®ÝîÞ

õ음의 Ú취인은 õ음의 ɯ¾일÷ ÷래Ý면 거래은Þ에 õ음대®을 ¿Å줄 것을 의뢰Ý


는 것을 Ýî의뢰Ýì, õ음대®을 ÞÚÝ는 것을 Ýî÷ÿ 한다. õ음대®의 Ýî을 의뢰Ý
는 것은 거래¬ Å니므ü Þ계처리를 할 필Ö¬ Çì, Ýî을 Ý면 ¿을õ음계정의 대변에
¾ý한다. õ음의 ɯ인은 õ음대®을 ɯÝ면 ɯõ음계정 ì변에 ¾ý한다.

4) 어음의 배Ý와 할인

õ음의 ¼Ý란 Ú취한 õ음을 õ음의 만¾¬ 되¾ 전에 상품의 매È대®÷나 외상매È®을


ɯݾ 위Ýí õ음의 뒷면에 양÷×의 인É사항을 ¾재Ýí 제3×에게 양÷Ý는 것을 말한다.

¾Æ은 ×®÷ 필Ö한 경우 ÍçÝì Ï는 õ음을 만¾일 ÷전에 은Þ에 ¼Ý양÷Ýì


×®의 융통을 ¿게 되는데 ÷를 õ음의 할인÷ÿì 한다. õ음의 할인은 만¾에 Ýî할
õ음의 액면®액을 öüü 미리 ɯ¿는 것÷므ü 은ÞÚÚ료와 만¾일까É의 ÷×를 공제
Ýì 잔액만 ¿게 되는데, ÷때 ì¼되는 ÷× 등을 할인료ÿì 한다.

14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구분 차변 대변

õ음의 ¼Ý양÷Þ 상품(외상매È®) ××× ¿을õ음 ×××

당 Ì 예 ® ×××
õ음의 할인Þ ¿을õ음 ×××
매출Ì권처분손실 ×××

※ 할인료 = õ음의 액면 × 할인율 × (할인일Ú ÷ 365(윤년은 366))

õ음의 만¾일에 õ음대®을 ɯ할 Ú Ç는 경우 õ음ÍÉ인에게 õ음대®의 ɯ연¾를


Ö청Ýì 만¾¬ 연장된 신õ음을 ÀÞÝí 만¾¬ 된 íõ음과 교환Ý는 것을 õ음의 ¼Ýÿ
ì 한다. õ음ÍÉ인과 ɯ인 사÷에는 íõ음에 의한 Ì권·Ì무는 Í멸Ýì 신õ음에
의한 Ì권·Ì무¬ À생한다.

구분 수취인 À행인
(ì)¿을õ음(신) ××× (ì)ɯõ음(í) ×××
현 ® ××× ÷×비용 ×××
õ음의 ¼ÝÞ
(대)¿을õ음(í) ××× (대)ɯõ음(신) ×××
÷×Úø ××× 현 ® ×××

7-2 어음거래

01. 다음의 어음거래를 분개하Þ오.

(1) 원É상사에 상품 ₩600,000을 매출Ýì 대®은 동ØÀÞ þÎõ음을 ¿다.


(2) 벌떡상사에Ý 상품 ₩500,000을 매ÈÝì 대®은 þÎõ음을 ÀÞÝí ɯÝ다.
(3) õ룡상사에 대한 외상매È® ₩400,000을 ɯݾ 위Ýí þÎõ음을 ÀÞÝí
ɯÝ다.
(4) Öö상사에 대한 외상매출® ₩500,000을 동ØÀÞ þÎõ음으ü ¿다.
(5) 정광상사에 대한 외상매È® ₩600,000을 ɯݾ 위Ýí 원É상사ü부터 ¿은
þÎõ음을 ¼Ý양÷Ý다.
(6) 벌떡상사에 ÀÞ 교부한 þÎõ음 ₩500,000÷ 만¾¬ 되õ 현®으ü ɯÝ다.
(7) Öö상사에Ý ¿은 þÎõ음 ₩500,000을 거래은Þ에Ý 할인¿ì 할인료 ₩30,000을
ì¼한 실Ú®은 당Ì예È되다.

148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 을 õ 음 600,000 상 품 매 출 600,000
(2) 상 품 500,000 É ¯ õ 음 500,000
(3) 외 상 매 È ® 400,000 É ¯ õ 음 400,000
(4) ¿ 을 õ 음 500,000 외 상 매 출 ® 500,000
(5) 외 상 매 È ® 600,000 ¿ 을 õ 음 600,000
(6) É ¯ õ 음 500,000 현 ® 500,000
당 Ì 예 ® 470,000 ¿ 을 õ 음 500,000
(7)
매출Ì권처분손실 30,000

3 대손상­비와 대손충당®

1) 대손의 회계처리

외상매출®, ¿을õ음 등의 Ì권÷ Ì무×의 파산 등의 사çü ÞÚ¬ ½¬·Ý게 된 경우


를 대손÷ÿì 한다. 대손÷ À생Ý거나 ×정되면 외상매출® 또는 ¿을õ음계정의 대변에
¾È한다.

구분 차변 대변
외상매출®÷ ÞÚ½·된 경우 대손상­비 ××× 외상매출® ×××
¾ÐÌ권÷ ÞÚ½¬·된 경우 ¾Ð의 대손상­비 ××× 미Ú® ×××

14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2) 결산Þ 대손충당®의 처리

¾말 결산Þ에 매출Ì권의 ¾말잔액 중 ÞÚ¬ ½¬·Ý다ì 예상되는 부분을 þ리É인


방½에 의Ýí Ý정Ýí 당¾의 비용으ü 처리Ýì 대손충당®을 설정한다. 대손충당®을
설정Ý는 때에 ¾말결산 전의 대손충당® 잔액÷ Ï으면 대손충당® 잔액과 대손예상액을
비교Ýí ì액만 Þ계처리Ýíý 한다. 결산 전 대손충당® 잔액÷ 대손예상액ü다 É으면
부ù분을 대손상­비 계정으ü 처리Ýì 결산전 대손충당®잔액÷ 대손예상액ü다 많으면
Í과분을 대손충당®환È 계정으ü 처리한다.

대손예상액 : (매출Ì권 잔액 × 대손예상율) - 대손충당® 잔액 = (+)ݬ설정, (-)환È

구분 차변 대변
대손충당® 잔액÷ Ç을 경우 대손상­비 ××× 대손충당® ×××
대손예상액 > 대손충당® 잔액 대손상­비 ××× 대손충당® ×××
대손예상액 = 대손충당® 잔액 분¼Ç음
대손예상액 < 대손충당® 잔액 대손충당® ××× 대손충당®환È ×××

7-3 대손충당® 설정

01. 기말결산Þ 매출채권 잔액 ₩10,000,000에 대하í 1%의 대손을 설정하다.

대 손 대손충당® 차변 대변
No
예상액 잔 액 계정과» ®액 계정과» ®액
(1) ₩100,000 Ç음
(2) ₩100,000 ₩50,000
(3) ₩100,000 ₩100,000
(4) ₩100,000 ₩120,000

대 손 대손충당® 차변 대변
No
예상액 잔 액 계정과» ®액 계정과» ®액
(1) ₩100,000 Ç음 대손상­비 100,000 대 손 충 당 ® 100,000
(2) ₩100,000 ₩50,000 대 손 상 ­ 비 50,000 대 손 충 당 ® 50,000
(3) ₩100,000 ₩100,000 분¼Ç음
(4) ₩100,000 ₩120,000 대 손 충 당 ® 20,000 대손충당®환È 20,000

150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대손충당®의 재무상태표 표Þ방법]


자 산 차변 부채·자본 대변
매출Ì권 10,000,000
대손충당® (100,000) 9,900,000

3) 매출Ì권의 대손À생

매출Ì권에 대Ýí 대손÷ À생Ý는 때에 대손충당® 잔액÷ Ï으면 먼È 대손충당®의


¼Íü 처리Ýì 부ù액을 대손상­비ü 처리한다.

구분 차변 대변
대손충당® 잔액 Ç음 대손상­비 ××× 외상매출® ×××
대손충당® ×××
대손충당® 잔액 < 대손À생액 외상매출® ×××
대손상­비 ×××
대손충당® 잔액 ≧ 대손À생액 대손충당® ××× 외상매출® ×××

7-4 대손발생거래

01. 외상매출® ₩200,000÷ 회수불¬능하í 대손처리하다.


대손충당® 차변 대변
No
계정 잔액 계정과» ®액 계정과» ®액
(1) Ç음
(2) ₩100,000
(3) ₩200,000
(4) ₩300,000

대손충당® 차변 대변
No
계정 잔액 계정과» ®액 계정과» ®액
(1) Ç음 대손상­비 200,000 외상매출® 200,000
대손충당® 100,000 외상매출® 200,000
(2) ₩100,000
대손상­비 100,000
(3) ₩200,000 대손충당® 200,000 외상매출® 200,000
(4) ₩300,000 대손충당® 200,000 외상매출® 200,000

15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4) 대손처리한 Ì권의 회수

÷미 대손처리ÝÆ던 Ì권을 다Þ ÞÚ할 때의 Þ계처리는 언제 대손÷ À생ÝÆ는É에


관계Ç÷ 대손충당®으ü 처리한다.

구분 차변 대변
전¾에 대손처리한 Ì권의 ÞÚ 현® ××× 대손충당® ×××
당¾에 대손처리한 Ì권의 ÞÚ 현® ××× 대손충당® ×××

7-5 대손 처리한 채권의 회수거래

01. 대손처리하Æ던 외상매출® ₩200,000을 현®으ü 회수하다.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차변과» ®액 대변과» ®액
현® 200,000 대손충당® 200,000

4 기타의 채권과 채무

1) 기타Ì권·Ì무의 종류

¾ÐÌ권과 Ì무란 일반É 상거래 ÷외의 거래1)에Ý À생한 Ì권과 Ì무ü 다음과 ½은
것ø÷ Ï다.

1) 일반적 상거래란 기Å의 영Å활동을 »적으ü 보유하고 Ï는 자산(재고자산)인 상품 등의 매입과 매출을 말하며, 일반
적 상거래 ÷외의 거래란 상품 등 재고자산 외의 º든 거래를 말한다.

152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구분 채권 채무
상품외의 ×산을 외상 거래한 경우 미 Ú ® 미ɯ®
상품 등을 인Ú·인÷ 전 대®을 주ì ¿은 경우 선 ¯ ® 선 Ú ®
®전을 빌¼주거나 빌¼온 경우 대 í ® ì È ®
¬½®·세®과공과® 등에 대Ýí 사용Ý는 ÇÞ계정 주·Ç·종 단¾Ì권 예 Ú ®
계정과»과 ®액÷ ×정되É 않Å 사용Ý는 ÇÞ계정 ¬ É ¯ ® ¬ Ú ®

2) 미수®과 미ɯ®

일반É 상거래 ÷외의 거래에Ý À생Ý는 Ì권÷ 미Ú®÷며, Ì무¬ 미ɯ®÷다.

구분 차변 대변
건물을 외상으ü 매­한 경우 미Ú® ××× 건 물 ×××
비품을 외상으ü íÈ한 경우 비 품 ××× 미ɯ® ×××

3) 선¯®과 선수®

상품 등의 매매거래에Ý 대상 물건을 인÷Ý거나 인Úݾ 전에 거래대®의 일부를 미리


ɯ한 것÷ 선¯®÷ÿ Ý며, 선¯®계정 ì변에 ¾ý한다. 상품을 인ÚÝÆ을 때는 선¯®
계정을 상품계정으ü 대체한다.
반대ü 상품 등의 거래 대®의 일부를 미리 ¿은 것을 선Ú®÷ÿ Ý며, 선Ú®을 ¿은
경우에는 선Ú®계정 대변에 ¾È한다. ý 후 상품을 인÷ÝÆ을 때에는 선Ú®계정을 매출
계정으ü 대체Þ킨다.
구분 채권 채무
계þ® ÚÚÞ (ì) 선¯® ××× (대) 현 ® ××× (ì) 현 ® ××× (대) 선Ú® ×××
상 품 (ì) 상품 ××× (대) 선¯® ××× (ì) 현 ® ××× (대) 상품매출 ×××
인Ú·인÷Þ 현 ® ××× 선Ú® ×××

4) 대여®과 차È®

ì용증Ý 또는 þÎõ음을 ¿ì ®전을 빌¼주거나 ì용증Ý를 ÀÞÝì ®전을 빌리는


경우 À생Ý는 Ì권÷ 대í®÷ì ìÈ×의 È장에Ý·Ì무¬ ìÈ®÷다. ÷때 대í¾간

15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또는 ìȾ간÷ üì¾간말ü부터 1년 ÷내÷면 단¾대í®, 단¾ìÈ®으ü ¾ýÝì, 1년


÷상÷면 장¾대í®, 장¾ìÈ®으ü ¾ý한다.

구분 대여자 차È자
현®을 단¾간 대
(ì)단¾대í® ××× (대)현® ××× (ì)현® ××× (대)단¾ìÈ® ×××
ìÝ는 경우

대í®과 ÷×를
(ì)현® ××× (대)단¾대í® ××× (ì)단¾ìÈ® ××× (대)현® ×××
현®으ü ÞÚ·
÷×Úø ××× ÷×비용 ×××
상환Ý는 경우

5) 주·Ç·종 단기Ì권과 예수®

¾Æ의 Ç원÷나 Ê원의 Ö청에 의Ýí ¯íÉ¯Þ ì¼Ý는 ø건으ü ɯõ주거나 ®전


을 단¾간 대í한 경우에 주·Ç·종 단¾Ì권계정으ü 처리한다.
예Ú®÷란 장ì 제3×에게 É출Ýíý할 ®액을 미리 거래처나 종Æ원으ü부터 원천징Ú
Ýí 일ÞÉ으ü ü관Ý는 경우 ÷를 처리Ý는 부Ì 계정÷다. 예컨대 ¾Æ÷ 종Æ원의 ¯í
에Ý 근üÍý세, É방Íý세, 건½ü험료, î민연®, ì용ü험료 등을 미리 공제ÝÆ다¬
Ý후 ¹부Þ 처리할 때 예Ú®계정으ü Þ계처리한다.

구분 차변 대변
종Æ원에게 ¬½®을 ɯ한 경우 주·Ç·종 단¾Ì권 ××× 현® ×××

주·Ç·종 단¾Ì권 ×××


종Æ원 ¯í를 ɯ한 경우 ¯ í ××× 예 Ú ® ×××
현 ® ×××

원천징Ú한 Íý세 ¹부 예 Ú ® ××× 현 ® ×××

6) ¬É¯®과 ¬수®

현®의 É출÷나 ÚÈ은 ÏÉÉ만 ý 거래내용÷ ×정되É 않ÅÝ 계정과»÷나 ®액을


×정할 Ú Ç는 경우¬ Ï는데, ÷때 일ÞÉ으ü 처리Ý는 계정÷ ¬É¯®계정÷나 ¬Ú®계
정÷다. ¬É¯®÷나 ¬Ú®은 거래내용÷ ×정될 때까É 일ÞÉ으ü 설정되는 계정÷므ü
ì후 ý 내용÷ ×정되면 õ당 계정과»으ü 정산처리Ýíý 한다.

154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구분 차변 대변
종Æ원에게 출장비를 ¼산 ɯ ¬É¯® ××× 현 ® ×××

í비 잔액 반환 í비교통비 ××× ¬É¯® ×××


현 ®
출장비 정산
¬É¯®
í비 부ù액 ɯ í비교통비 ××× ×××
현 ®
내용½명의 ®액÷ ü통예È된 경우 ü통예® ××× ¬ Ú ® ×××
¬Ú®의 내용÷ 판명된 경우 ¬ Ú ® ××× 외상매출® ×××

15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연습문제

01. 다음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삼ܾ상사에 상품 ₩500,000을 매ÈÝì 대® 중 ₩200,000은 Ú표를 ÀÞÝí


ɯÝì 나머É 잔액은 1¼월 후에 ɯݾü Ý다.
(2) ùí상사에 상품 ₩600,000을 판매Ýì 대® 중 반액은 동ØÀÞ의 Ú표ü ¿ì,
잔액은 외상으ü Ý다.
(3) ùí상사에 판매한 상품 중 품질½량으ü 30,000원을 반품Ý다.
(4) ùí상사에 대한 외상대® 잔액을 현®으ü ¿Å ÊÞ 당Ì예ÈÝ다.
(5) 삼ܾ상사에 대한 외상매È® 잔액을 현®으ü ɯÝ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02. 다음의 어음거래를 분개하Þ오.

(1) 원É상사에 상품 ₩1,000,000을 매출Ýì 대®은 동ØÀÞ þÎõ음을 ¿다.


(2) 원É상사 ÀÞ 당Ø Íç의 þÎõ음 ₩1,000,000원÷ 만¾¬ 되õ ÝîÝí 당Ì예
®Ý다.

156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3) ùĀ상사에Ý 상품 ₩800,000을 매ÈÝì 대®은 þÎõ음을 ÀÞÝí ɯÝ다.


(4) 양Ö상사에 대한 외상매È® ₩500,000을 ɯݾ 위Ýí þÎõ음을 ÀÞÝí
ɯÝ다.
(5) ù름상사에 대한 외상매출® ₩700,000을 동ØÀÞ þÎõ음으ü ¿다.
(6) 용ù상사에 대한 외상매È® ₩700,000을 ɯݾ 위Ýí ù름상사ü부터 ¿은
þÎõ음을 ¼Ý양÷Ý다.
(7) ùĀ상사에 ÀÞ 교부한 þÎõ음 ₩800,000÷ 만¾¬ 되õ 당Ì예®에Ý 인출 ɯ
되다.
(8) 무½상사에Ý ¿은 þÎõ음 ₩1,000,000을 거래은Þ에Ý 할인¿ì 할인료 ₩50,000
을 ì¼한 실Ú®은 현®으ü ¿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03. 다음 ­ 경우의 거래를 분개하Þ오.

공통 : ¾말결산Þ 외상매출® 잔액 ₩3,000,000에 대Ýí 2%의 대손을 설정Ý다.


(1) 대손충당®계정 잔액÷ Ç는 경우
(2) 대손충당®계정 잔액÷ ₩30,000÷ Ï는 경우
(3) 대손충당®계정 잔액÷ ₩60,000÷ Ï는 경우
(4) 대손충당®계정 잔액÷ ₩80,000÷ Ï는 경우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15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4. 다음 ­ 경우의 거래를 분개하Þ오.

공통 : ½ù상Ø에 대한 외상매출® ₩300,000을 동Ø의 파산으ü 대손처리Ý다.


(1) 대손충당®계정 잔액÷ Ç는 경우
(2) 대손충당®계정 잔액÷ ₩200,000÷ Ï는 경우
(3) 대손충당®계정 잔액÷ ₩500,000÷ Ï는 경우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05.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거래처 미î상사에 현® ₩5,000,000을 단¾대íÝ다.


(2) 미î상사의 대í®에 대한 ÷× ₩60,000을 현®으ü ¿다.
(3) Öö상사와 상품 매È계þ을 체결Ýì 계þ®으ü ₩300,000을 현®으ü ɯÝ다.
(4) Öö상사ü부터 매È계þ한 상품 ₩3,000,000÷ ÷í되õ ÷미 ɯ한 계þ®
₩300,000을 ì¼한 잔액은 1¼월 후에 ɯݾü Ý다.
(5) ùí상사에 사무용으ü 사용Ý던 컴퓨터를 ₩200,000에 매­Ýì 대®은 나중에
¿¾ü Ý다.
(6) ùí상사ü부터 위 컴퓨터 매­대®을 현®으ü ¿다.
(7) 종Æ원 홍길¸에게 출장을 명Ýì í비¼산액 300,000원을 현®으ü ɯÝ다.
(8) 출장을 다녀온 홍길¸÷ 출장비 잔액 30,000원을 현®으ü 반¹Ý다.
(9) 종Æ원 ¯í ₩1,000,000중 Íý세 30,000 및 건½ü험료 ₩50,000을 ì¼한 잔액을
현®으ü ɯÝ다.
(10) (9)의 Íý세를 현®으ü ¹부Ý다.
(11) Þ사의 ü통예®통장에 내용을 알 Ú Ç는 ₩200,000÷ È®되다.
(12) (11)의 내용을 ×인한 결과 거래처에Ý 외상대®을 송®한 것으ü ×인되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158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3)

(4)

(5)

(6)

(7)

(8)

(9)

(10)

(11)

(12)

01. ½마상사는 Ö장품을 판매하는 회사÷다. 다음 중 ½마상사의 매출채권 또는 매È채무¬


À생되É 않는 거래는?

d Ö장품을 판매Ýì ¿을õ음을 Ú령ÝÆ다.


e Ö장품 원재료를 외상으ü 매ÈÝÆ다.
f Ö장품 ¼달용 승용ì를 외상으ü íÈÝÆ다.
g Ö장품을 외상으ü 판매ÝÆ다.

02. ½마사의 외상매출® 계정 차변에 기È될 수 Ï는 거래ü Éþ한 것은?


d 상품 500,000원을 외상으ü 매출Ý다.
e 외상매출한 상품 중 30,000원÷ 반품되õæ다.
f 외상매출한 상품에 대Ýí 10,000원을 에누리õ 주다.
g 거래처의 파산으ü 외상매출® 800,000원을 대손처리Ý다.

15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3. ½마상사에Ý 거래처ü부터 상품을 매È하고 대®은 3개월 후에 ɯ하기ü 하Æ다. ÷ 때


À생하는 부채계정으ü 올바른 것은?

d 미ɯ® e 매ÈÌ무
f 미ɯ비용 g ¬É¯®

04. 다음 중 외상매출® 계정 대변에 기ý되는 내용으ü 틀린 것은?(단, º든 거래는 외상거래


Ç.)

d 매출할인액 e 외상매출® ÞÚ액


f 매출환È 및 에누리액 g 외상매출® 전¾÷월액

05. 다음 ½마상사의 20××1년 12월 31일 외상매출® 잔액은 Ā마인¬?(단, 상품매매는 외


상거래ü ÷루어진다.)

 1월 1일 외상매출® 잔액 : 10,000원
 당¾외상매출액 : 200,000원
 당¾ 외상매출® ÞÚ액 : 90,000원
 당¾ 외상매출® ÞÚ ½· 처리액 : 20,000원

d 60,000원 e 80,000원
f 100,000원 g 120,000원

06. 다음 ×료에 의해 ½마상사의 기말 외상매È® 잔액을 계산하면 Ā마인¬?(단, 상품매È은


º두 외상 거래÷다.)

 외상매È® ¾Í 잔액 : 400,000원
 당¾총매È액 : 1,200,000원
 매È환출액 : 200,000원
 외상매È® õ음 ɯ액 : 600,000원

d 500,000원 e 600,000원
f 700,000원 g 800,000원

160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07. 상품판매대®으ü ¿은 þÎ어음 100,000원을 은행에Ý 할인하고, 할인료 10,000원을


차¼한 90,000원을 당좌예®에 È® ¿았을 때 할인료를 처리할 É절한 계정과»은? (단,

매­거래ü 처리할 것).

d ÷×비용 e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f 매출Ì권처분손실 g ɯÚÚ료

08. 다음 결산일의 대손충당® 설정 분개ü 옳은 것은?

계정과» 기초잔액 기말잔액


외상매출® 1,000,000원 1,200,000원
(대손충당®) 10,000원 12,000원

ì변 대변
d 대손상­비 2,000원 대손충당® 2,000원
e 대손상­비 10,000원 대손충당® 10,000원
f 대손충당® 2,000원 대손상­비 2,000원
g 대손충당® 12,000원 대손상­비 12,000원

09. 다음 ×료를 통해 당기 손ø계산Ý에 기ý될 대손상­비는 Ā마인¬?

 당¾의 ¾Í 대손충당® 50,000원, ¾중 대손À생액은 30,000원÷다.


 ¾말 재무상Ü표의 매출Ì권은 5,000,000원, 대손충당®은 100,000원÷다.

d 30,000원 e 50,000원 f 80,000원 g 100,000원

10. 다음 중 대손충당®과 관련된 설명으ü 올바르É 않은 것은?


d 대손충당®은 Ì권에 대한 ì¼É 평¬계정÷다.
e 대손충당®은 Úø과 비용의 ¾간É 대응을 위õ 설정한다.
f 상거래상 매출Ì권 외에 미Ú®에 대õÝ는 대손충당®을 설정할 Ú Ç다.
g 실제 대손÷ À생Ý면 대손충당®과 우선상계Ýì 대손충당®잔액을 Í과Ý는
대손액을 대손상­비ü 처리한다.

16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1. 다음 ×료에 의할 때 기말 재무상Ü표상 대손충당® 잔액은 몇 원인¬?(단, 8대손예상율 =


기초대손충당®/기초매출채권9으ü 한다.)

 ¾Í 매출Ì권 5,000,000원  ¾Í 대손충당® 50,000원


 당¾ 대손À생액 30,000원  ¾말 매출Ì권 7,500,000원

d 25,000원 e 55,000원
f 75,000원 g 105,000원

12. 다음 ×료에 의하í 결산정리분개 후 손ø계산Ý에 기È될 대손상­비는?

 매출Ì권 잔액 800,000원  대손충당® 계정 잔액 10,000원


 매출Ì권 잔액의 2% 대손 예상

d 4,000원 e 6,000원
f 8,000원 g 16,000원

13. 7월 18일 거래처에 매출하í ¿은 þÎ어음 1,000,000원÷ 거래처의 파산으ü 회수불¬


능하게 되È다. 7월 18일 분개ü É절한 것은? (단, 7월 18일 현재 장부상 대손충당®
500,000원÷ 설정되어 Ï다.)

d (ì) 대손상­비 1,000,000원 (대) ¿을õ음 1,000,000원


e (ì) 대손충당® 1,000,000원 (대) ¿을õ음 1,000,000원
f (ì) 대손충당® 500,000원 (대) ¿을õ음 500,000원
g (ì) 대손충당® 500,000원 (대) ¿을õ음 1,000,000원
대손상­비 500,000원

14. 전기에 대손÷ ×정되어 대손처리 한 채권을 당기에 회수한 경우 대변에 계상되는 계정으
ü 올바른 것은?

d 대손충당® e 매출Ì권
f 대손상­비 g è÷ø

162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15. 다음 ­ 거래의 분개 Þ 대변 계정과»을 바르게 ÞÉ은 것은?

(¬) 무½상사에Ý 판매용 컴퓨터 100,000원을 매ÈÝì 대®은 1¼월 후에 ɯݾü


Ý다.
(나) 용ù상사에Ý 사무용 컴퓨터를 íÈÝì 대® 100,000원은 10일 후에 ɯݾü
Ý다.

(¬) (나) (¬) (나)


d 미ɯ® 미ɯ® e 미ɯ® 외상매È®
f 외상매È® 미ɯ® g 외상매È® 외상매È®

16. ½마상사에Ý 상품운반용 차량운반í를 매È하고 대®은 12개월 할부ü 하Æ다. ÷ 때 À


생하는 부채계정으ü 올바른 것은?

d 미ɯ® e 외상매È®
f 미ɯ비용 g 예Ú®

17. 다음 (¬)와 (나)의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 ¾Æ÷ 종Æ원의 Íý세, 건½ü험료를 일ÞÉ으ü ü관Ý는 경우


(나) 현®은 È®되É으나 계정과»÷ ×정되É 않은 경우

(¬) (나) (¬) (나)


d 예Ú® ¬Ú® e 선Ú® ¬É¯®
f 예Ú® ¬É¯® g 선Ú® ¬Ú®

18. Å무용 ͺ품을 íÈ하고 대®을 신용카üü 결제한 경우, ÷를 회계처리Þ 대변 계정과
»으ü 옳은 것은?

d 외상매È® e 미ɯ®
f 미Ú® g 외상매출®

16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9. 다음의 거래를 분개할 때 차변에 기È되는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상품(½상품 100¼, ¼당 30,000원, 총 3,000,000원)을 주문Ýì, 계þ® 10%를 Ú표ü


ÀÞÝí É¯ÝÆ다.

d 선Ú® e 선¯® f 미Ú® g 예Ú®

20. ½마상사¬ 다음 거래를 분개할 때, 대변에 기È될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½ù상사믐 대한물류와 냉장ýì 신Þ 공사계þ을 맺ì 계þ® 1ö원을 당Ì예®으ü


¿다.

d 공사미Ú® e 선Ú® f 예Ú® g 선¯®

21. 다음 중 기말재무상Ü표에 표Þ될 수 Æ는 계정과»은?


d ¬É¯® e 예Ú® f 미Ú® g 선¯®

22. ¬É¯®으ü 회계처리한 400,000원 중 150,000원은 매È 상품의 계þ®으ü ×인된 경


우 회계처리ü 올바른 것은?

d (ì) ¬É¯® 150,000원 (대) 선¯® 150,000원


e (ì) 미ɯ® 150,000원 (대) ¬É¯® 150,000원
f (ì) ¬É¯® 150,000원 (대) 미ɯ® 150,000원
g (ì) 선¯® 150,000원 (대) ¬É¯® 150,000원

164
Chapter 07. 수취채권과 지¯채무

기초
회계원리

16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08 |

유형자산

1 유형×산의 의의와 취득

1) 유형×산의 의의

ç형×산은 정상É인 ÇÆ활동과정에Ý 사용을 »É으ü 취ý한 ×산으ü í러 Þ계¾간


에 걸쳐 사용되는 물리É 실체¬ Ï는 ×산으ü, 토É, 건물, ¾계장Þ, ì량운반í, 비품
등을 포ý한다.

토 É ÇÆ활동에 사용Ý는 대É, Çý, 전÷ 등의 토É


건 물 ÇÆ활동에 사용되는 건Þ물
기 계 장 치 ÇÆ활동에 사용Ý는 ¾계 및 설비
차량운반구 ÇÆ활동에 사용Ý는 ì량과 운반í
비 품 ÇÆ활동에 사용Ý는 컴퓨터, ý사¾ 등의 Ú¾
ç형×산의 건설을 위한 제비용, ÷¯®액, 취ý한 ¾계(완성되¾ Ê전까 É의
건설중인자산
º든 제비용)

2) 유형×산의 취ý

ç형×산의 íÈÞ 취ý¬액과 íÈ취ý세, 등ý세, 취ýÚÚ료, 운반비, 설Þ비, Þ운전비


등을 포ýÝí 취ý원¬를 산정한다. 예컨대 È 건물을 신Þݾ 위Ýí ¾존 건물÷ Ï는

166
Chapter 08. 유형자산

토É를 취ýÝì 건물을 철거Ý는 경우 ¾존 건물의 철거 관련 비용에Ý ý 건물의 부산물을


판매Ýí Ú취한 ®액을 ì¼한 ®액은 토É의 취ý원¬에 포ý한다.

구분 차변 대변
ç형×산 취ýÞ 건 물 ××× 미ɯ® ×××

8-1 유형×산의 취득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사무실에Ý 사용할 Í상과 의× ₩200,000을 íÈÝì 대®은 월말에 ɯݾü


Ý다. 단, íÈÞ 운반비 ₩15,000은 현®으ü ɯÝ다.
(2) 본사 사ç ₩5,000,000을 취ýÝì 대®은 Ú표를 ÀÞÝí ɯÝ다. 단, 중¼ÚÚ료
₩100,000과 취ý세 ₩200,000은 현®으ü ɯ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비 품 215,000 미ɯ® 200,000
(1)
현 ® 15,000
건 물 5,300,000 당Ì예® 5,000,000
(2)
현 ® 300,000

16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2 유형×산의 취득 후 É출

1) ×본적 É출과 수ø적 É출의 의의

×본É É출÷란 ç형×산에 대한 û정 É출의 효ø÷ 당õ ¾간에 ýÞÉ 않ì 미래


일정¾간에 ÉÎ되는 É출을 말한다. 따ÿÝ ×본É É출액은 ×산으ü 계상한 후 ¼¬상­
을 통Ýí 비용Ö되õý 한다.
ÚøÉ É출÷란 û정 É출의 효과¬ 당õ 연÷에 한정되õ À생연÷의 ¾간비용으ü
처리Ý는 É출을 의미한다.
자본É É출과 수øÉ É출
구분 자본É É출 수øÉ É출
 ×산¬Þ의 증대를 ¬져æ는 É출  ×산의 현상çÉ를 위한 É출
분류Ö건  내용연Ú 증¬나 ·률향상을 ¬져æ는  ×산의 ·률çÉ를 위한 É출
É출
 본래의 용÷를 변경ݾ 위한 ¼ø  파손된 çÉ나 ¾와의 교체
 계단ß 건물에 엘리베÷터 또는 에스  æ래된 건물 또는 벽의 ÷É
사 례
컬À÷터 설Þ  ×동ì의 Ð÷õ, ¼터리 등 교체
 냉·난방장Þ의 설Þ나 내용연Ú 연장  건물내부의 ø명¾í 교체 등

2) ×본적 É출과 수ø적 É출의 회계처리

×산을 취ý한 후 É출한 ®액÷ ×본É É출에 õ당Ý는 경우에는 õ당 ×산을 증¬Þ켜
ý Ý며 ÚøÉ É출에 õ당Ý는 경우에는 당¾의 비용인 Ú선비(ì량운반í의 경우 ì량ç
É비)ü 처리Ýíý 한다.

구분 차변 대변
×본É É출 õ당 ×산 ××× 현 ® ×××
ÚøÉ É출 Ú 선 비 ××× 현 ® ×××

168
Chapter 08. 유형자산

8-2 유형×산의 취득후 É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본사 건물내부 페인ú ÷É을 Ýì ý 비용 ₩200,000을 현®으ü É출Ý다.


(2) 상¬건물에 대õ Ú선Ýì ý 비용 ₩3,000,000을 Ú표를 ÀÞÝí ɯÝ다. 단, Ú선
비 중 ₩2,500,000은 ×산처리 대상÷ì 잔액은 단순한 파손 ýí를 위한 비용÷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Ú 선 비 200,000 현 ® 200,000
건 물 2,500,000 당 Ì 예 ® 3,000,000
(2)
Ú 선 비 500,000

3) 오류Þ 효과

×본É É출ü 처리Ý면 ×산÷ 증¬Ýì ÚøÉ É출ü 처리Ý면 ÷ø÷ ¼ÍÝ게 된다.
만þ ×본É É출ü 처리할 것을 ÚøÉ É출ü 처리Ý게 되면 장부의 ×산과 ÷ø÷ 낮게
표Þ되õ ×본÷ 과Í계상되며, ÚøÉ É출ü 처리할 것을 ×본É É출ü 처리Ý면 ×산과
÷ø÷ 실제ü다 과대표Þ되¾ 때문에 ×본÷ 과대계상된다.

구분 자산 비용 ÷ø 자본
×본É É출을 ÚøÉ É출ü 처리한 경우 과Í 과대 과Í 과Í
ÚøÉ É출을 ×본É É출ü 처리한 경우 과대 과Í 과대 과대

16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3 유형×산의 감¬상­

1) 감¬상­의 의의

토É와 건설중인×산을 제외한 건물, ¾계장Þ, ì량운반í, 비품 등의 ç형×산은 Þ간의


경과 및 진부Öü 인õ 물리É, 경제É ¬Þ¬ ÝĀÝ게 된다. ÷때 À생Ý는 ç형×산에Ý
¼Í되는 ¬Þ를 비용으ü õ당 연÷에 부öÞ키는 Þ계상의 처리나 절ì를 ¼¬상­÷ÿ
한다. ¼¬상­에 의õ 계산된 비용으ü û정 연÷의 비용÷ 되는 ç형×산의 ¬Þ¬ ¼Í되
는 ®액을 ¼¬상­비ÿ 한다.

2) 감¬상­의 3요Í

¼¬상­비를 계산ݾ 위Ýí 필Ö한 ×료øü 취ý원¬, 잔존¬액, 내용연Úü í분할


Ú Ï다.

취ý원¬는 ç형×산의 íȬ­에 사용ÞØ까É À생한 부대비용과 취ý후에 À생한 ×


본É É출액을 ¬산한 ®액÷다.

잔존¬액은 내용연Ú 경과 후의 처분¬Þ에Ý 처분비용을 ì¼한 ®액을 말한다.

내용연Ú는 ç형×산÷ 사용½·÷ 되õ 폐¾될 때까É의 예정사용연Ú를 말한다.

170
Chapter 08. 유형자산

3) 감¬상­의 계산방법

ç형×산의 취ý원¬에Ý 잔존¬액을 ì¼한 ¼¬상­ 대상액을 내용연Úü 나누õ 매¾


균등Ý게 ¼¬상­비를 계산Ý는 방½÷다.

(취득원¬ – 잔존¬액) / 내용연수 = 감¬상­비

ç형×산의 취ý원¬에Ý ¼¬상­누계액을 ì¼한 매¾말 장부¬액에 일정한 상­률(정


률)을 곱Ýí õ당 연÷의 ¼¬상­비를 계산Ý는 방½÷다.

(취득원¬ – 감¬상­누계액) × 정률 = 감¬상­비

잔존가치
ä  내용연수 å
n 
정률 =  æ  취득원가

ç형×산의 내용연Ú þ계를 분ºÝì 잔í 내용연Ú를 분×ü Ý는 상­률을 ¼¬상­


대상액에 곱õ ¼¬상­비를 계산Ý는 방½÷다.

(취득원¬ – 잔존¬액) × (잔여 내용연수 / 내용연수의 합계) = 감¬상­비

생산량 또는 ØÆÞ간에 비례Ýí ¼¬상­비를 계산Ý는 방½으ü û정¾간 동안에 실제


생산된 Ú량 또는 ØÆÞ간을 ¾준으ü 매¾ ¼¬상­비를 계산한다.

(취득원¬ – 잔존¬액) × (실제생산량 / 추정생산량) = 감¬상­비

17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4) 감¬상­의 회계처리

¼¬상­비¬ 계산되면 ý ®액을 ¼¬상­비란 비용으ü 계산Ý는 동Þ에 õ당 ç형×산


의 장부¬액을 ¼ÍÞ키는 Þ계처리를 õý Ý는데, ÊÙ½과 간Ù½÷ Ï다.

구분 차변 대변
ÊÙ½ ¼¬상­비 ××× ç 형 × 산 ×××
간Ù½ ¼¬상­비 ××× ¼¬상­누계액 ×××

8-3 유형×산의 감¬상­

다음의 ×료에 의하í 3년간의 ¼¬상­비를 정액½과 정률½에 의하í 계산하Þ오.

취ý원¬ ₩1,000,000 내용연Ú 5년


잔존¬액 Ç음 상­률(정률) 40%

구분 정액법 정률법
1ì년÷
2ì년÷
3ì년÷

구분 정액법 정률법
1ì년÷ (1,000,000-0)×1/5 = 200,000 1,000,000 ×0.4 = 400,000
2ì년÷ (1,000,000-0)×1/5 = 200,000 (1,000,000-400,000)×0.4=240,000
3ì년÷ (1,000,000-0)×1/5 = 200,000 (1,000,000-640,000)×0.4=144,000

172
Chapter 08. 유형자산

4 유형×산의 처분

ç형×산을 처분Ý는 경우 õ당 ç형×산의 처분¬액과 장부¬액과의 ì÷¬ À생Ý는


경우 ý ì액을 ç형×산처분손ø 계정으ü 처리한다. 장부®액은 취ý®액에Ý ¼¬상­누
계액을 ì¼한 ®액을 말한다.

구분 매출자 매È자
(대) 건 물 ×××
처분¬액>장부¬액* (ì) 미Ú® ×××
ç형×산처분÷ø ×××
(ì) 미 Ú ® ×××
처분¬액<장부¬액 (대) 건 물 ×××
ç형×산처분손실 ×××
* 장부¬액 = 취득원¬ – 감¬상­누계액

8-4 유형×산의 처분

다음의 연Î되는 거래를 분개하Þ오(회계처리는 간Ù½으ü 한다).

 20×1년 1/ 1 비품 ₩1,000,000을 현®으ü íÈÝ다.


12/31 결산일에 위 비품에 대Ýí ¼¬상­을 Ý다.(내용연Ú는 5년,
잔존¬액 ₩0. 정액½)
 20×2년 12/31 결산일에 위 비품에 대Ýí 정액½으ü ¼¬상­을 Ý다.
 20×3년 1/ 1 동 비품을 ₩300,000에 처분Ýì 대®은 한달 후에 ¿¾ü Ý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1
20×1
12/31
20×2 12/31
20×3 1/ 1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1 비 품 1,000,000 현 ® 1,000,000
20×1
12/31 ¼ ¬ 상 ­ 비 200,000 ¼¬상­누계액 200,000
20×2 12/31 ¼ ¬ 상 ­ 비 200,000 ¼¬상­누계액 200,000
¼¬상­누계액 400,000 비 품 1,000,000
20×3 1/ 1 미 Ú ® 300,000
ç형×산처분손실 300,000

17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연습문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사무실에Ý 사용할 컴퓨터를 ₩800,000원에 íÈÝì, 대® 중 ₩100,000원은 현®


으ü ɯÝì, 잔액은 2¼월 후에 ɯݾü Ý다.
(2) Æ무용 토É를 취ýÝì ý 대® ₩50,000,000원을 당ÌÚ표를 ÀÞÝí ɯÝ다.
또한 부동산 중¼ÚÚ료 ₩500,000원과 취ý세 ₩600,000원은 현®으ü ɯÝ다.
(3) Æ무용 승용ì를 ₩20,000,000원에 íÈÝì 대®은 무÷×할부 10¼월의 ø건에
ɯݾü Ý다. 취ýÞ 등ý세와 취ý세 ₩1,000,000은 현®으ü ¹부Ý다.
(4) 본사 사ç으ü 사용할 건물을 ₩80,000,000원에 íÈÝì, 대® 중 ₩20,000,000원
은 현®으ü ɯÝì, 잔액은 한달 후에 ɯݾü Ý다. 또한 건물 등ý세
₩1,500,000원을 현®으ü ¹부Ý다.
(5) 사무실용 Í상과 의×를 ₩300,000에 취ýÝì ý 대®은 ü통예® 통장에Ý 계Ì
÷체Ýí ɯÝ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174
Chapter 08. 유형자산

02.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간Ù½).

(1) 취ý원¬ ₩500,000(내용연Ú 5년, 잔존¬액 ₩0)의 ¾계장Þ를 ¼¬상­Ý다(정


액½).
(2) 결산Þ 비품 ₩300,000(¼¬상­누계액 ₩60,000)에 대Ýí ¼¬상­Ý다(정률
20%).
(3) 건물을 ₩5,000,000에 취ýÝÆ으며, 1ì년÷ 결산Þ 연Úþ계½으ü ¼¬상­Ý
다(내용연Ú 3년, 잔존¬Þ ₩500,000).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03.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취ý원¬ ₩3,000,000의 Æ무용 토É를 ₩5,000,000에 매­Ýì, 대®은 외상으ü


Ý다.
(2) 취ý원¬ ₩600,000(¼¬상­누계액 ₩300,000)의 컴퓨터를 ₩100,000에 매­Ýì
대®은 현®으ü ¿다.
(3) 취ý원¬ ₩2,000,000의 승용ì를 ₩1,500,000에 매­Ýì 대®은 ×¾앞Ú표ü
¿Å ÊÞ 당Ì예ÈÝ다(¼¬상­누계액은 ₩800,000).
(4) 취ý원¬ ₩1,000,000(¼¬상­누계액 ₩600,000)의 건물을 ₩700,000에 매­Ýì
중¼ÚÚ료 ₩20,000을 ì¼한 잔액을 현®으ü ¿다.

날짜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17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1. 다음 중 유형×산으ü 분류하기 위한 ø건으üÝ ¬장 É절하É 않은 것은?


d 1년을 Í과Ýí 사용할 것÷ 예상되õý 한다.
e 물리É인 형체¬ Ïõý 한다.
f ×체É으ü 사Æ에 사용할 »É으ü üçÝíý 한다.
g ß별¬·Ýíý 한다.

02. 세무상사¬ ü유하고 Ï는 다음 ×산에 대한 설명으ü 옳은 것을 º두 고른 것은?(단, 아


래 항»은 재고×산÷ 아니다.)

 건물  비품  ¾계장Þ  ì량운반í

ㄱ. 재무상Ü표에 비ç동×산으ü 분류Ýí ¾재한다.


ㄴ. 1년 ÷상 장¾간 ÇÆ활동에 사용할 »É으ü 취ý한 ×산÷다.
ㄷ. 사용ý에 따ÿ ¬Þ¬ ¼ÍÝ므ü 결산Þ 정액½ 또는 정률½ 등을 É용Ýí ¼¬
상­을 계상Ýíý 한다.

d ㄱ e ㄱ, ㄷ f ㄴ, ㄷ g ㄱ, ㄴ, ㄷ

03. 다음 중 ÇÅ활동에 사용할 »É으ü 건물을 ü유하는 경우 회계처리하는 계정은?


d 재ì×산 e ç형×산 f 투××산 g ×본®

04. 유형×산의 취ý원¬에 대한 설명으ü 틀린 것은?


d É상 건물÷ Ï는 토É를 일괄취ýÝí ¾존 건물을 계Î 사용할 경우 일괄í
Ȭ­을 토É와 건물의 공정¬Þ에 따ÿ ¼분한다.
e 토É의 취ýÞ 중¼ÚÚ료는 토É의 취ý원¬에 포ý한다.
f ¾계장Þ를 설Þ한 후 À생한 ¾계장Þ Þ운전비는 ¾계장Þ의 취ý원¬에 포
ý한다.
g 건물 신Þ을 »É으ü 건물÷ Ï는 토É를 일괄취ý한 경우, ¾존 건물의 철거
비용은 신Þ 건물의 취ý원¬에 ¬산한다.

176
Chapter 08. 유형자산

05. 다음 중 ×산의 취ý원¬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ì량 취ýÞ ¹부한 취ý세
e Í프ú웨õ ý출을 위한 ¼À비
f 사Æ용토É에 대한 재산세
g 내용연Ú¬ 증¬Ý는 대규º 건물 Ú선비

06. 창고를 신Þ할 »É으ü 토É와 건물을 취ý한 후 í건물을 철거하는데 비용÷ À행한 경
우 회계처리는?

d 토É 취ý원¬ü 처리한다.
e 신Þ 건물 취ý원¬ü 처리한다.
f 당¾ Ú선비ü 처리한다.
g 비품으ü 처리한다.

07. 다음 중 유형×산의 취ý원¬에 포ý되É 않는 것은?


d Þ운전비
e 중¼ÚÚ료
f 취ýÞ 운송비용 및 ÚÚ료
g 재산세액

08. 다음 중 ×본É É출에 해당되는 것은?


d 건물÷É비 e 건물íø변경비
f 건물재산세 g 건물Ö재ü험료

09. 다음 중 ×산의 경제É효ø을 증¬Þ키는 ×본É É출에 ¬장 해당하É 않는 것은?


d 물류ýì의 증Þ 공사
e 공장건물의 À전¾ 설Þ
f 상¬건물의 엘리베÷터 설Þ
g ¾Û사의 ü일러 교체

17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0. 다음 중 차량의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본É É출ü 잘못된 회계처리를 한 경우 나타나는


결과ü 옳은 것은?

d ×산÷ 과대 계상된다.
e 비용÷ 과대 계상된다.
f ÇÆ÷ø÷ 과Í 계상된다.
g 당¾순÷ø÷ 과Í 계상된다.

11. 다음과 같은 결과¬ 재무상Ü 또는 경Ç성과에 미Þ는 Ç향으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본사 건물의 외벽 ÷É 및 깨õ진 ç리ý을 교체Ýì, ý 비용 500,000원을 현®으ü


É출한 것에 대Ýí ÚøÉ É출을 ×본É É출ü 잘못 Þ계 처리ÝÆ다.

d ×산÷ 과Í 계상 되É다.
e ×본÷ 과Í 계상 되É다.
f 비용÷ 과Í 계상 되É다.
g Úø÷ 과Í 계상 되É다.

12. 유형×산의 ¼¬상­에 대한 설명으ü 틀린 것은?


d ¼¬상­ 계산의 ÖÍ에는 취ý원¬, 내용연Ú, 잔존¬Þ, 상­방½÷ Ï다.
e ç형×산 중 토É, 건물, ¾계장Þ는 ¼¬상­ 대상÷다.
f ¼¬상­ 방½에는 정액½, 정률½, 연Úþ계½ 등÷ Ï다.
g 건설중인 ×산은 ÅÊ 건설÷ 완료되É 않았으므ü ¼¬상­을 ÝÉ 않는다.

13. 다음 중 유형×산의 취ý 초기에 많은 ¼¬상­비를 인ß하고 Þ간÷ 경과ý에 따ÿ ¼¬


상­비¬ É어É는 방½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정액½ e 정률½
f ÷중체¼잔액½ g 연Úþ계½

178
Chapter 08. 유형자산

14. ¼¬상­을 하É 않는 ×산을 <ü기>에Ý 고른 것은?

<ü¾> ㄱ. 토É ㄴ. ¾계장Þ ㄷ. 비품 ㄹ. 건설중인×산

d ㄱ, ㄴ e ㄱ, ㄹ
f ㄴ, ㄷ g ㄷ, ㄹ

15. 다음의 ×료를 ÷용하í 20×1년도 12월 31일 손ø계산Ý에 계상할 ¼¬상­비를 계산
하면 Ā마인¬?

 20×1년 7월 1일에 ¾계장Þ를 5,000,000원에 íÈÝÆ다.


 내용연Ú는 5년÷ì 잔존¬Þ는 취ý원¬의 10%÷다.
 Þ계¾간은 1월 1일에Ý 12월 31일까É÷ì, 정액½으ü 상­한다.
 단, ¼¬상­은 월할상­을 ¬정한다.

d 450,000원 e 500,000원
f 900,000원 g 1,000,000원

16. 다음은 세무상사의 기계장Þ에 관한 내용÷다. ÷에 대하í 20×2년 12월 31일 결산Þ
¼¬상­비를 계산하면 Ā마인¬?

 취ýÞ¾ : 20×1년 7월 1일  취ý원¬ : 1,000,000원


 내용연Ú : 5년  상­률 : 연 40%
 ¼¬상­방½ : 정률½  잔존¬Þ : 50,000원

d 200,000원 e 225,000원
f 240,000원 g 320,000원

17. ½마상사는 20×1년 1월 1일 건물을 2,000,000원에 취ý하Æ으며, 연수þ계½(내용연수


3년, 잔존¬Þ 200,000원)으ü 상­한다. 건물에 대해 20×2년에 인ß할 ¼¬상­비는?
(단, ¼¬상­비는 월할 상­한다.)

d 300,000원 e 450,000원
f 600,000원 g 900,000원

17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8. ㈜½마¬ ü유하고 Ï는 유형×산 중 차량운반í를 당기에 처분하ÆÉ만 아Ê 처분대®을


ɯ¿É 못하Æ다. ÷ 때 À생한 채권을 처리할 계정과»은?

d 미ɯ® e 미Ú® f 단¾대í® g 외상매출®

19. 다음의 ×료ü 유형×산 처분손ø을 계산한 ®액으ü 옳은 것은?

 20×1.01.01. Æ무용 컴퓨터 íÈ 1,000,000원 (내용연Ú 5년, 잔존¬Þ Ç음,


¼¬상­ 방½ 정액½)
 20×3.07.01. 처분 300,000원 (단, 당¾분 ¼¬상­비 월할 계산ý)

d 처분÷ø 200,000원 e 처분÷ø 100,000원


f 처분손실 200,000원 g 처분손실 300,000원

20. 다음 거래의 분개 Þ 유형×산의 매매차손ø은 Ā마인¬?

Öö상사는 10,000,000원에 íÈÝí ÇÆ용으ü 사용Ý던 ì량운반í를 1,000,000원


에 매­ 처분Ýì 대®은 1¼월 후에 ¿¾ü Ý다.(단, ¼¬상­누계액은 8,700,000원
÷다)

d ç형×산처분÷ø 300,000원 e ç형×산처분÷ø 900,000원


f ç형×산처분손실 300,000원 g ç형×산처분손실 970,000원

180
Chapter 08. 유형자산

기초
회계원리

18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09 |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1 무형×산

1) 무형×산의 의의

무형×산÷란 ¾Æ÷ 장¾간 ÇÆ활동에 사용할 »É으ü üçÝì Ï는 물리É 실체¬


Ç는 ×산÷다. 무형×산의 û징은 물리É인 형Ü는 Ç으나 사실상의 ¬Þ를 ¬É며, ß별¬·
Ýì ¾Æ÷ 통제Ýì Ï으며 미래의 경제É 효ø÷ ¾Æ에 çÈ되리ÿì ¾대되는 ×산÷다.

2) 무형×산의 종류

무형×산은 경제É ×산으ü ÇÆ권÷ Ïì, ½률상의 권리를 ¾는 ×산으ü 산Æ재산권,


¼À비, 광Æ권, õÆ권, Í프ú웨õ 등÷ Ï다.

영 업 권 þ병, ÇÆ양Ú 등으ü ç상취ý한 ø¾É·¼ÐÉ인 권리


일정¾간 ø¾É·¼ÐÉ으ü ÷용할 Ú Ï는 권리ü û허권, 실용신안권, 의장
산업재산권
권, 상표권 등
신제품, 신¾술 등의 ¼À과 관련Ýí À생한 비용으ü ¼별É으ü ß별¬·Ý
개 À 비
ì 미래의 경제É 효ø을 ×실Ý게 ¾대할 Ú Ï는 것

광 업 권 일정한 광í에Ý 등ý을 한 광물과 동 광산 중에Ý 부존Ý는 다른 광물을 Ì굴

182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Ýí 취ý할 Ú Ï는 권리
기타무형자산 ÿ÷센스, 프랜ì÷É, Í프ú웨õ, õÆ권, ìÉ권, ÈØ권 등

3) 무형×산의 취ý원¬

무형×산은 ¾Æ÷ ×체¼ÀÝ거나 외부ü부터 íÈ할 Ú Ï다. 외부ü부터 íÈ할 경우에


는 당õ ×산의 매Ȭ액뿐만 Å니ÿ 취ý과 관련Ýí À생되는 등ý비, ½률ÚÚ료 등의
취ý부대비용까É 취ý원¬에 계상한다. ×체¼À의 경우에는 ¼À된 권리¬ 미래에 경제É
효ø을 ¬져와 줄 것÷ ×실Ýì, 무형×산을 ý설Ý는데 ÍÖ된 원¬를 명×히 í분할 Ú
Ï는 경우에만 취ý원¬ü 계상한다.

구분 차변 대변
산Æ재산권을 취ý한 경우 산Æ재산권 ××× 현 ® ×××

4) 무형×산의 상­

무형×산은 당õ ×산의 취ý을 위Ýí ÍÖ된 ¬액을 취ý원¬ü Ý며 상­한다. 상­방


½에는 정액½, 체¼잔액½과 생산량비례½÷ Ï는데 ×산의 경제É 효ø÷ Í비되는 형Ü를
반Ç한 방½을 사용한다. 다만, Í비되는 형Ü를 신뢰성 Ï게 결정할 Ú Ç을 경우에는 정액½
을 사용한다. 무형×산의 상­은 ×산÷ 사용¬·한 때부터 ÞØ되며, 상­¾간은 ø¾É·
¼ÐÉ인 권리를 부íÝì Ï는 관계½령÷나 계þ에 정õ진 경우를 제외Ýì는 20년을
Í과할 Ú Ç다.
무형×산은 내용연Ú¬ ç한한 무형×산과 ÇÆ권과 ½÷ 비한정É인 무형×산으ü í분
Ýì, 비한정É인 무형×산은 상­ÝÉ 않되 매년 손상검사를 한다. 내용연Ú¬ ç한한 무형
×산의 잔존¬Þ는 û별한 경우를 제외Ýì Ç(0)으ü 본다.

구분 차변 대변
무형×산 상­Þ 무형×산상­비 ××× 무형×산 ×××

18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9-1 무형×산 거래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주)더존에Ý ERPÞ스템 Í프ú웨õ프üý램을 íÈÝì 대® ₩10,000,000원은


한달 후에 ɯݾü ÝÆ다.
(2) 결산Þ 위의 Í프ú웨õ를 상­Ý다. 결산은 연 1Þ÷ì 상­ 내용연Ú는 5년÷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02. 다음과 같은 재무상Ü의 무½상사를 인수하고 인수대® ₩2,500,000을 수표를 À행하í


ɯ하Æ다. É정한 분개를 하고 ÇÅ권으ü 계상될 ®액을 계산하Þ오.

외상매출® ₩300,000 상 품 ₩700,000


건 물 ₩1,500,000 ì량운반í ₩500,000
외상매È® ₩300,000 장¾ìÈ® ₩500,000

1.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Í프ú웨õ 10,000,000 미 É ¯ ® 10,000,000
(2) 무형×산상­비 2,000,000 Í프ú웨õ 2,000,000

2.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외상매출® 300,000 외상매È® 300,000
상 품 700,000 장¾ìÈ® 500,000
건 물 1,500,000 당Ì예® 2,500,000
ì량운반í 500,000
Ç Æ 권 300,000
* ÇÅ권의 계산 : ×산총액 3,000,000 – 부채총액 800,000 = 순×산 2,200,000
인수®액 2,500,000 – 순×산 2,200,000 = ÇÅ권 300,000

184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2 투××산

1) 투××산의 의의

투××산÷란 ¾Æ÷ 정상É인 ÇÆ활동과는 무관Ý게 ÐÞ사를 ɼÝ거나 통제할 »É


또는 장¾É인 투×÷윤을 ÿ¾ 위õ 장¾É으ü 투×된 ×산을 말한다. 투××산은 ¾Æ의
ìç사Æ의 사Æ»É 달성과는 관련÷ Ç다는 Ø에Ý ç형×산과 다르며, 장¾É으ü üçÝ
ì Ï다는 Ø에Ý 단¾매매증권÷나 단¾®융상품 등과 í별된다.

2) 투××산의 종류

투 자 부 동 산 ÇÆ활동과는 무관Ý게 투×»É으ü 취ýÝí üçÝ는 토É나 건물 등


단¾매매증권÷나 만¾üç증권 및 É분½É용투×주ß으ü 분류되É
매 도 ¬ 능 증 권
Å니Ý거나 Þ장성÷ Ç는 î·공·사Ì 및 주ß
만¾¬ ×정된 Ì무증권으ü 상환®액÷ ×정되É거나 ×정÷ ¬·한
만 기 보 유 증 권
Ì무증권을 만¾까É üç할 ÉþÉ인 의÷와 ·½÷ Ï는 경우
투×Þ사¬ 피투×Þ사에 중대한 Ç향½을 Þ사할 Ú Ï는 의결권÷ Ï
É분법É용투자주ß
는 주ß으üÝ É분½으ü 평¬Ý는 것
ç동×산에 ÎÝÉ 않은 ®융상품으ü 결산일 ¾준으ü 1년 ÷후에 만
장 기 ® 융 상 품 ¾¬ ÷래Ý는 사용÷ 제한되õ Ï는 예® 및 ¾Ð 정형Ö된 장¾®융
상품
÷×Úø을 ý출할 »É으ü ç동×산에 ÎÝÉ Å니한 대í®으üÝ 1
장 기 대 여 ®
년 ÷상 Ð인에게 장¾의 ×®을 대í한 경우

9-2 투××산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장¾투×»É으ü 토É를 취ýÝ면Ý ₩6,000,000을 Ú표를 ÀÞÝí ɯÝ다.


(2) 장¾ìÈ® 상환을 위Ýí 현® ₩2,000,000을 3년 만¾의 정¾예®을 Ý다.
(3) 설봉상사에 3년 ¾한으ü 현® ₩500,000을 대íÝ다.

18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투×부동산 6,000,000 당 Ì 예 ® 6,000,000
(2) 장¾®융상품 2,000,000 현 ® 2,000,000
(3) 장¾대í® 500,000 현 ® 500,000

3 기타비유동×산

¾Ð비ç동×산÷란 투××산, ç형×산, 무형×산에 ÎÝÉ 않는 비ç동×산으üÝ


투× Úø을 ÿ을 Ú Çì, 다른 ×산으ü 분류ݾ õ¼운 ×산을 말한다.

Ç차보증® 건물 등을 ÇìÝ면Ý 전세® ÿ은 월세ü증®을 ɯ한 것


장기매출채권 ÞÚ¾간÷ 1년 ÷상인 매출Ì권(외상매출®, ¿을õ음)
장기미수® ÞÚ¾간÷ 1년 ÷상인 ÇÆ활동 ÷외의 Ì권
일ÞÉ ì÷ 등으ü 인Ýí 미래에 경¼될 ½인세부ö액으üÝ ç동×산으ü
÷연법인세대
분류되는 ÷연½인세×산을 제외한 부분을 말ý

186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9-3 기타비유동×산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ÉØ에Ý 사용ݾ 위Ýí ÇÆ용 사무실의 Çì계þ을 체결Ýì ü증®


₩5,000,000과 1¼월 간의 월세 ₩200,000을 Ú표를 ÀÞÝí ɯÝ다.
(2) 원É상사에 상품 ₩600,000을 매출Ýì 18¼월 만¾의 þÎõ음으ü ¿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Çìü증® 5,000,000 당 Ì 예 ® 5,200,000
(1)
Ç ì 료 200,000
(2) 장¾외상매출® 600,000 상 품 매 출 600,000

18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연습문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신제품 ¼À을 위õ 비경상É(×산의 인ßÖ건 º두 충ù) 비용으ü ₩2,000,000을


Ú표를 ÀÞÝí É출Ý다.
(2) 결산Þ 위 (1)의 ¼À비를 상­Ý다. 상­ 내용연Ú는 5년÷다.
(3) û허취ý을 위한 비용으ü ₩500,000원을 현®으ü É출Ý다.
(4) 결산Þ 위 8(3)9의 û허권을 상­Ý다. 상­ 내용연Ú는 5년÷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02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장¾투×»É으ü 건물을 취ýÝ면Ý ₩10,000,000을 현®으ü ɯÝ다.


(2) 현® ₩5,000,000을 3년 만¾의 정¾예®을 Ý다.
(3) 무½상사에 2년 ¾한으ü 현® ₩3,000,000을 대í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188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03.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사무실의 Çì계þ을 체결Ýì ü증® ₩10,000,000과 1¼월 간의 월세 ₩200,000


을 현®으ü ɯÝ다.
(2) 미î상사에 상품 ₩800,000을 매출Ýì 24¼월 만¾의 þÎõ음으ü ¿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01. 다음 중 무형×산에 대한 설명으ü 틀린 것은?


d 무형×산에는 Çìü증®, û허권, 상표권, ÈØ권 등÷ õ당된다.
e 물리É형체는 ÇÉ만 ß별¬·Ý다.
f 무형×산의 상­비는 원¬에Ý ÊÙ ì¼한 후 장부®액을 재무제표에 üì한다.
g ÇÆ권은 다른 무형×산과 다르게 ×산으üÝ의 ß별¬·성÷ Ç다.

02. 다음 중 무형×산에 대한 설명÷다. 옳É 않은 것은?


d 물리É 형ܬ Ç는 Ö폐성×산÷다.
e 무형×산은 상­누계액과 손상ì손누계액을 취ý원¬에Ý ÊÙ ì¼한 잔액으
ü 표Þ한다.
f Éß재산권, ¼À비, 컴퓨터Í프ú웨õ, 광Æ권은 무형×산에 õ당한다.
g 미래의 경제É효ø을 ¬져다 줄 Ú Ï는 ×산÷다.

03. 다음 중 기Å회계기준상 무형×산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광Æ권 e û허권
f 전세권 g ÇÆ권

18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4. 다음 설명÷ 공통É으ü É용되는 계정과»으ü만 ÞÉ어진 것은?

 í체É인 존재 형Ü를 ¬Éì ÏÉ 않다.


 ½률상의 권리 또는 경제É ¬Þ를 나Ð내는 ×산÷다.
 미래에 ¾Æ의 Úø ý출에 ¾í할 것으ü 예상되는 ×산÷다.

d 건물, 비품 e ÇÆ권, Çìü증®


f ÈØ권, 산Æ재산권 g 투×부동산, Çìü증®

05. 다음 중 무형×산에 해당하는 계정과»÷ 아닌 것은?


d 연í비 e ¼À비 f 산Æ재산권 g Í프ú웨õ

06. 물리É 실체는 ÆÉ만 ß별¬능한 비Ö폐성×산의 종류¬ 아닌 것은 무Ç인¬?


d û허권 e ÇÆ권
f 컴퓨터Í프ú웨õ g 매출Ì권

07. 다음 거래를 분개할 때 차변에 기È되는 계정과»과 같은 항»으ü 분류되는 계정과»÷


아닌 것은?

 ㈜세무상사는 Æ무용 Office프üý램 10세ú를 1,000,000원에 íÈÝì 대®


은 신용카üü 결제ÝÆ다.

d ÿ÷선스 e 산Æ재산권
f íÞ물 g 프랜ì÷É

08. 무형×산의 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d 무형×산의 잔존¬Þ는 Ç는 것을 원ß으ü 한다.
e 무형×산의 상­은 ×산÷ ß별¬·한 때부터 ÞØ한다.
f 일반¾ÆÞ계¾준에Ý는 무형×산의 상­¾간은 øØÉ·¼ÐÉ인 권리를 부
íÝì Ï는 ûÚ한 경우를 제외Ýì는 20년을 Í과할 Ú Ç다.
g 무형×산÷ Í비되는 형Ü를 신뢰성 Ï게 결정할 Ú Ç는 경우에는 정액½을
÷용한다.

190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09. 다음 ㈜세무상사¬ 취ý한 특허권과 관련된 회계 처리 내용으ü 옳은 것은?

 20×1년 1월 1일 û허권을 제비용 포ýÝí 1,000,000원에 현® ɯÝì 취ý


ÝÆ다.
 내용연Ú : 5년  상­방½ : 정액½
 잔존¬Þ : 0원  ¾장방½ : ÊÙ½

d 20×1년 결산Þ ÇÆ외비용 200,000원÷ À생한다.


e 20×2년 1월 1일 û허권의 장부®액은 600,000원÷다.
f 20×1년 결산 후 재무상Ü표에 표Þ되는 û허권은 600,000원÷다.
g 20×1년 결산 후 손ø계산Ý에 표Þ되는 무형×산상­비는 200,000원÷다.

10. 다음 거래의 분개Þ 차변 계정과»을 투××산으ü 분류할 수 Æ는 것은?


d 거래처에 현® 100,000원을 대íÝì, 4¼월 후에 ¿¾ü Ý다.
e 거래은Þ에 2년 만¾의 정¾예®을 ¬ÈÝì, 현® 1,000,000원을 예ÈÝ다.
f 투×를 »É으ü 대É 500평을 500,000,000원에 취ýÝì, Ú표를 ÀÞÝí É
¯Ý다.
g 3년 만¾의 사Ì 10,000,000원을 만¾까É üç할 »É으ü 당ØÚ표를 ÀÞÝ
í 취ýÝ다.

11. 다음 거래의 내용 중 투××산으ü 분류할 수 Æ는 거래는?


d 거래은Þ에 2년 만¾의 정¾예®을 ¬ÈÝì 현® 1,000,000원을 예ÈÝ다.
e 거래처에 현® 500,000원을 대íÝì, 10¼월 후에 ¿¾ü Ý다.
f 투×»É으ü 대É 100평을 50,000,000원에 취ýÝì, Ú표를 ÀÞÝí ɯÝ다.
g 만¾까É üç할 »É으ü ㈜ù름ç통 ÀÞ의 사Ì 7,000,000원을 취ýÝì, Ú
표를 ÀÞÝí ɯÝ다.

19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2. 다음 거래를 회계처리(분개)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ü 옳은 것은?

㈜½ù는 3년 만¾ 정¾예® 10,000,000원과 ÷× 500,000원을 현®으ü Ú령Ýí


대® 중 일부인 8,000,000원은 ÊÞ ü통예®에 È®ÝÆ다

d 현®계정 대변에 2,500,000원÷ ¾È된다.


e ÷×비용계정 ì변에 500,000원÷ ¾È된다.
f ü통예®계정 ì변에 8,000,000원÷ ¾È된다.
g 정¾예®계정 ì변에 10,000,000원÷ ¾È된다.

192
Chapter 09. 무형자산과 투자자산

기초
회계원리

19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10 |

부채

1 부채

1) 부Ì의 의의

부Ì란 ¾Æ÷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ü 장래 다른 ¾Æ에 재Ö나 용î을 제공Ýíý
Ý는 현재의 의무ü부터 À생Ý는 미래의 경제É 효ø의 희생을 말한다. 부Ì는 ­ 부̬
상환될 때까É ÍÖ¾간을 ¾준으ü ç동부Ì와 비ç동부Ìü í분한다.

2) 유동부Ì

ç동부Ì란 재무상Ü표일ü부터 1년 또는 정상É인 ÇÆ순환주¾ ÷내에 상환¾한÷ ÷래


Ý는 부Ì를 말한다. ç동부Ì에는 단¾ìÈ®, 매ÈÌ무(외상매È®. ɯõ음), 미ɯ®,
선Ú®, 예Ú®, ç동성장¾부Ì 등÷ Ï다.

단기차È® 상환¾간÷ 1년 ÷내인 ìÈ®


매È 외상매È® 상품매ÈÞ 외상거래에Ý À생한 Ì무
채무 ɯ어음 상품매ÈÞ õ음을 ÀÞÝÆ거나 인ÚÝÆ을 경우
미 É ¯ ® 상품매매거래 ÷외에Ý À생한 미ɯ Ì무

194
Chapter 10. 부채

선 수 ® 상품 등을 매출ݾü Ýì 계þ®을 미리 ¿은 ®액
예 수 ® 상품 매매거래 ÷외에Ý çÞ üçÝì Ï는 ®전
유동성장기부채 비ç동부Ì 중 상환¾간÷ 1년 ÷내에 ÷래되는 부Ì

3) 비유동부Ì

비ç동부Ì란 재무상Ü표일ü부터 1년 또는 정상É인 ÇÆ순환주¾ ÷후에 상환¾한÷


÷래Ý는 장¾É인 부Ì를 말한다. 비ç동부Ì에는 장¾ìÈ®, 사Ì, 퇴ʯí충당부Ì 등
÷ Ï다.

장 기 차 È ® 상환¾일÷ 1년 ÷후인 ìÈ®


사 채 상환¾일÷ 1년 ÷후에 ÷래Ý는 Þ사Ì ÀÞ ®액
퇴ʯ여충당부채 º든 사용인÷ 퇴Ê할 때 ɯ할 퇴Ê® 에상액

2 사채

1) 사Ì의 의의

사Ì란 주ßÞ사¬ Ð인으ü부터 거액의 ×®을 장¾간 ø달ݾ 위Ýí ×정Ì무Ç을


표ÞÝ는 증권을 ÀÞÝì 일정 ¾간ù다 일정한 ÷×를 ɯÝì 원®을 상환Ý는 ø건으ü
ìÈÝ는 경우에 À생Ý는 비ç동부Ì÷다.
사Ì는 원리®É¯에 대한 öü의 ç뮤에 따ÿÝ öü부사Ì와 부öü부사Ì, 사Ì권×의
성명을 사Ì원부와 사Ì권면에 표Þ í부에 따ÿ ¾명사Ì와 무¾명사Ì, 주ß으ü의 전환¬
·성 ç무에 따ÿ 전환사Ì와 ü통사Ìü 나누õ진다.

19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2) 사Ì의 À행

사Ì는 사Ì권면에 표Þ된 액면÷×율과 Þ장÷×율 간의 ì÷에 의õÝ 액면®액과 ÀÞ


®액의 ì÷¬ À생할 Ú Ï다. 때문에 사Ì의 ÀÞ은 액면ÀÞ, 할인ÀÞ, 할증ÀÞ으ü
í분한다. 액면ÀÞ은 사Ì권에 ¾재된 액면¬액으ü ÀÞ되는 것÷며, 할인ÀÞ은 사Ì의
액면¬액ü다 낮은 ¬액으ü ÀÞ된 것, 할증ÀÞ은 액면¬액ü다 ³은 ¬액으ü ÀÞ된
것을 말한다. 또한 사ÌÀÞÞ À생Ý는 사ÌÀÞ비용은 별÷의 사ÌÀÞ비용계정을 사용Ý
는 것÷ Å니ÿ 사Ì할인ÀÞì®에 ¬산Ýì, 사Ì할증ÀÞì®에Ý ì¼Ýí 표Þ한다.
회계처리
À행방법 내용
차변 대변
액면¬액 = ÀÞ¬액
액면ÀÞ 당 Ì 예 ® ××× 사 Ì ×××
(액면÷×율 = Þ장÷×율)

액면¬액 > ÀÞ¬액 당 Ì 예 ® ×××


할인ÀÞ 현 ® ×××
(액면÷×율 < Þ장÷×율) 사Ì할인ÀÞì® ×××

액면¬액 < ÀÞ¬액 현 ® ×××


할증ÀÞ 당 Ì 예 ® ×××
(액면÷×율 > Þ장÷×율) 사Ì할증ÀÞì® ×××

10-1 사채의 발행

㈜½마는 20×1년 1월 1일에 액면 ₩100,000(액면÷×율 10%)의 사채를 À행하고 대


®은 당좌예®하다. 단, ÷×ɯ일은 매년 12월 31일, 만기일은 3년÷다.

(1) 액면 ₩100,000의 사Ì를 ₩100,000에 평¬ÀÞÝ다.


(2) 액면 ₩100,000의 사Ì를 ₩92,000에 할인ÀÞÝ다.
(3) 액면 ₩100,000의 사Ì를 ₩108,000에 할증ÀÞÝ다.

196
Chapter 10. 부채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당 Ì 예 ® 100,000 사 Ì 100,000
당 Ì 예 ® 92,000 사 Ì 100,000
(2)
사Ì할인ÀÞì® 8,000
당 Ì 예 ® 108,000 사 Ì 100,000
(3)
사Ì할증ÀÞì® 8,000

3) 사Ì의 ÷×ɯ

사Ì를 ÀÞ한 Þ사는 사Ì를 íÈ한 투××에게 일정¾간ù다 일정액의 ÷×를 ɯõý
Ý는데, 3¼월, 6¼월 1년 등 정õ진 ÷×ɯ일에 현®으ü ɯ할 ÷×는 액면¬액에 액면
÷×율을 곱한 ®액÷ 된다.
사Ì를 할인ÀÞ÷나 할증ÀÞÝÆ을 경우에는 ÷×를 ɯ할 때에 사ÌÀÞì®을 ç효
÷×율½에 의Ýí 상­Ýíý 한다. ç효÷×율½은 사Ì의 실제잔액(액면¬액에Ý 사Ì할
인ÀÞì®을 ì¼한 ®액)에 Þ장÷×율(ç효÷×율)을 곱Ýí 계산된 ÷×비용과 실제ü
사Ì권×에게 ɯÝ는 ÷×액(액면¬액에 표Þ÷×율을 곱한 ®액)과의 ì액을 상­Ý는
방½÷다.

À행방법 차변 대변
액면ÀÞ ÷ × 비 용 ××× 현 ® ×××
현 ® ×××
할인ÀÞ ÷ × 비 용 ×××
사Ì할인ÀÞì® ×××
÷ × 비 용 ×××
할증ÀÞ 현 ® ×××
사Ì할증ÀÞì® ×××

19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0-2 사채의 발행, ÷×ɯ, 만기상환 거래

㈜½마는 20×1년 1월 1일에 액면 ₩100,000(액면÷×율 10%)의 사채를 ₩88,584에


À행하고 대®은 당좌예®하다. 단, ÷×ɯ일은 매년 12월 31일, 만기일은 3년, Þ장÷
×율은 15%÷다.

(1) ç효÷×율½에 의Ýí 사Ì할인ÀÞì®상­표를 Ø성ÝÞæ.


(2) 사ÌÀÞ일의 분¼를 ÝÞæ.
(3) 20×1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4) 20×2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5) 20×3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6) 만¾ 사Ì상환Þ의 분¼를 ÝÞæ.

(1)

사채할인À행차®상­표
유효÷자(A) 액면÷자(B) 차®상­액(C) 장부¬액(E)
회계연도 차®잔액(D)
(Et-1×Þ장÷자율) (액면¬액×표Þ÷자율) (A-B) (액면¬-D)
20×1. 1. 1
20×1.12.31
20×2.12.31
20×3.12.31

(2) ~ (6)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2)

(3)

(4)

(5)

(6)

198
Chapter 10. 부채

(1)
사채할인À행차®상­표

유효÷자(A) 액면÷자(B) 차®상­액(C) 장부¬액(E)


회계연도 차®잔액(D)
(Et-1×Þ장÷자율) (액면¬액×표Þ÷자율) (A-B) (액면¬-D)
20×1. 1. 1 11,416 88,584
20×1.12.31 13,288 10,000 3,288 8,128 91,872
20×2.12.31 13,781 10,000 3,781 4,348 95,652
20×3.12.31 14,348 10,000 4,348 0 100,000

(2) ~ (6)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당 Ì 예 ® 88,584 사 Ì 100,000
(2)
사Ì할인ÀÞì® 11,416
÷ × 비 용 13,288 현 ® 10,000
(3)
사Ì할인ÀÞì® 3,288
÷ × 비 용 13,781 현 ® 10,000
(4)
사Ì할인ÀÞì® 3,781
÷ × 비 용 14,348 현 ® 10,000
(5)
사Ì할인ÀÞì® 4,348
(6) 사 Ì 100,000 현 ® 100,000

4) 사Ì의 상환

사Ì는 만¾일에 상환Ý는 것÷ 일반É÷나 만¾일 ÷전에÷ 상환할 Ú Ï다. 전×를


만¾상환, 후×를 ø¾상환÷ÿì 한다. 만¾일에 상환Ý는 경우에는 장부상의 사Ì®액과
액면®액÷ 정×Ý게 일Þݾ 때문에 상환에 따른 손ø은 À생ÝÉ 않는다. 반면, 사Ì를
ø¾에 상환Ý는 경우에는 대체ü 상환손ø÷ À생Ý게 된다.
사̬ ø¾에 상환되는 경우에는 최종 ÷×ɯ일에 계산된 사Ì의 장부®액에 최종
÷×ɯ일ü부터 상환일까É의 ÷×비용을 더한 ®액과 상환®액과의 ì÷를 상환손ø으ü
계상한다.

구분 상환손ø 거래상황 차변 대변
만¾상환 - 액면¬액으ü 상환 사 Ì ××× 현 ® ×××
현 ® ×××
상환÷ø 매Ȭ액<장부®액 사 Ì ×××
사Ì상환÷ø ×××
ø¾상환
사 Ì ×××
상환손실 매Ȭ액>장부®액 현 ® ×××
사Ì상환손실 ×××

19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0-3 사채의 상환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½ù는 íç×®÷ ÏõÝ [예제 ]의 사Ì를 20×3년 1월 1일에 ₩96,000에 현®으
ü 매ÈÝí ø¾상환Ý다.
(2) 액면ÀÞ한 사Ì ₩300,000÷ 만¾¬ 되õ 현®으ü 상환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사 Ì 100,000 현 ® 96,000
(1)
사Ì상환손실 348 사Ì할인ÀÞì® 4,348
(2) 사 Ì 300,000 현 ® 300,000

* 사채 상환액 96,000 - 사채 장부¬액 95,652 = 사채상환손실 348

3 퇴ʯ여충당부채

퇴ʯí는 1년 ÷상 근무한 종Æ원÷ 퇴Ê할 때에 ¾Æ은 종Æ원에게 과거에 근무용î에


대한 대¬ü 퇴Ê®을 ɯ한다. 퇴ʯí는 종Æ원÷ 퇴Ê할 때 ɯõý 할 Ì무÷므ü
¾Æ÷ 종Æ원에 대õ Éì Ï는 부Ì÷다. 퇴ʯí제÷에는 퇴Ê일Þ®제÷와 ÷를 대체Ý
ì Ï는 퇴Ê연®제÷¬ Ï다.

1) 퇴Ê일Þ®제도

퇴Ê일Þ®제÷를 ÌÝ한 ¾Æ의 경우 결산 때 현재 ÇÊ원에 대õ ɯ의무¬ Ï는 퇴Ê


®을 퇴ʯí충당부Ìü 계상õý 한다. 실제 ÇÊ원의 퇴Ê÷ À생Ýí ɯÝ는 퇴Ê®은
퇴ʯí충당부Ì를 상환Ý는 것으ü Þ계처리Ýì, 매 결산¾에 계산된 퇴Ê® 중에Ý 퇴Ê
¯í충당부Ì 부ù액을 계산Ýí 결산정리를 통Ýí 퇴ʯíü 인ß한다.

200
Chapter 10. 부채

구 분 차변 대변
결산Þ 퇴ʯí충당부Ì 설정Ý면 퇴ʯí ××× 퇴ʯí충당부Ì ×××
퇴Ê® É¯Þ 퇴ʯí충당부Ì ××× 현 ® ×××

10-4 퇴ʯ여충당부채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½ù는 20×1년 결산Þ 퇴ʯí충ö부Ì ₩3,000,000을 설정Ý다.


(2) 20×2. 6. 1 종Æ원÷ 퇴Êý에 따ÿ 퇴Ê® ₩200,000을 Ú표를 ÀÞÝí É¯ÝÆ다.
(3) 20×3. 12. 31 º든 종Æ원÷ 퇴Ê할 경우 퇴Ê® Ý계액은 ₩5,000,000÷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퇴 Ê ¯ í 3,000,000 퇴ʯí충당부Ì 3,000,000
(2) 퇴ʯí충당부Ì 200,000 당 Ì 예 ® 200,000
(3) 퇴 Ê ¯ í 2,200,000 퇴ʯí충당부Ì 2,200,000
* 퇴ʯí충당부채 ݬ 설정액 = 퇴Ê® Ý계액 - 기말 퇴ʯí충당부채 잔액
5,000,000 - (3,000,000-200,000)
= 2,200,000

2) 퇴Ê연®제도

퇴Ê연®제÷는 퇴Ê®을 연®형Üü ¿을 Ú Ï는 퇴Ê®제÷÷다. 퇴Ê연®은 Þ사의


부ö®, 근ü×의 ݬ부ö®을 퇴Ê연® 사Æ×에게 제공Ýì ý 운용을 Þ사¬ Ý는 ×정¯
í제÷(defined benefit plan, DB)와 근ü׬ 운용Ý는 ×정¾í제÷(defined contribution
plan, DC)¬ Ï다.
×정¾í제÷는 ¾Æ의 부ö®÷ 사전에 정õÉì 근ü׬ ¾®의 운용을 ÍÇÉ며 ¾®
의 운용결과에 따ÿ ÇÊ원÷ ¿게 되는 퇴Ê®÷ 결정되는 방ß÷다. 반면, ×정¯í제÷는

20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근ü×의 ×정연®÷ 사전에 정õÉì ¾Æ÷ 매년 부ö®을 ®융Þ사에 ɾÝí ÍÇÉì


운용Ý며, 운용 결과와 관계Ç÷ 근ü×는 사전에 정õ진 Ú준의 퇴ʯí를 Ú령Ý게 된다.

구 분 차변 대변
×정¾í제÷(DC)에Ý 사외É¾Þ 퇴 Ê ¯ í ××× 현 ® ×××
×정¯í제÷(DB)에Ý 사외É¾Þ 퇴Ê연®운용×산 ××× 현 ® ×××

10-5 퇴ʯ여충당부채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DC제÷(×정¾í제÷) 퇴Ê연®에 ¬ÈÝì 퇴Ê연®부ö® ₩1,000,000을 우리


은Þ에 현®으ü ½ÈÝ다.
(2) DB제÷(×정¯í제÷) 퇴Ê연®에 ¬ÈÝì 퇴Ê연®부ö® ₩1,000,000을 우리
은Þ에 현®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퇴 Ê ¯ í 1,000,000 현 ® 1,000,000
(2) 퇴Ê연®운용×산 1,000,000 현 ® 1,000,000
* DC제도 퇴Ê연®의 불È액은 비용인 퇴ʯíü, DB제도 퇴Ê연®의 불È액은 ×산인 퇴Ê연®운용×산으ü 회계
처리한다.

202
Chapter 10. 부채

연습문제

01. ㈜용마는 20×1년 1월 1일에 액면 ₩300,000(액면÷×율 10%)의 사채를 À행하고 사


채À행비 ₩20,000을 차¼한 잔액은 당좌예®하다. 단, ÷×ɯ일은 매년 12월 31일,
만기일은 3년÷다.

(1) 액면 ₩300,000의 사Ì를 ₩300,000에 평¬ÀÞÝ다.


(2) 액면 ₩300,000의 사Ì를 ₩250,000에 할인ÀÞÝ다.
(3) 액면 ₩300,000의 사Ì를 ₩360,000에 할증ÀÞ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02. ㈜용마는 20×1년 1월 1일에 액면 ₩200,000(액면÷×율 10%)의 사채를 ₩177,168에


할인À행하고 대®은 당좌예®하다. 단, ÷×ɯ일은 매년 12월 31일, 만기일은 3년, Þ

장÷×율은 15%÷다.

(1) ç효÷×율½에 의Ýí 사Ì할인ÀÞì®상­표를 Ø성ÝÞæ.


(2) 사ÌÀÞ일의 분¼를 ÝÞæ.
(3) 20×1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20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4) 20×2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5) 20×3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6) 만¾ 사Ì상환Þ의 분¼를 ÝÞæ.

(1)

사채할인À행차®상­표
유효÷자(A) 액면÷자(B) 차®상­액(C) 장부¬액(E)
회계연도 차®잔액(D)
(Et-1×Þ장÷자율) (액면¬액×표Þ÷자율) (A-B) (액면¬-D)
20×1. 1. 1
20×1.12.31
20×2.12.31
20×3.12.31

(2) ~ (6)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2)

(3)

(4)

(5)

(6)

03. ㈜용마는 20×1년 1월 1일에 액면 ₩100,000(액면÷×율 10%)의 사채를 ₩105,154에


할증À행하고 대®은 당좌예®하다. 단, ÷×ɯ일은 매년 12월 31일, 만기일은 3년, Þ

장÷×율은 8%÷다.

(1) ç효÷×율½에 의Ýí 사Ì할증ÀÞì®상­표를 Ø성ÝÞæ.


(2) 사ÌÀÞ일의 분¼를 ÝÞæ.
(3) 20×1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4) 20×2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5) 20×3년 12월 31일의 분¼를 ÝÞæ.
(6) 만¾ 사Ì상환Þ의 분¼를 ÝÞæ.

204
Chapter 10. 부채

(1)

사채할인À행차®상­표
유효÷자(A) 액면÷자(B) 차®상­액(C) 장부¬액(E)
회계연도 차®잔액(D)
(Et-1×Þ장÷자율) (액면¬액×표Þ÷자율) (A-B) (액면¬-D)
20×1. 1. 1
20×1.12.31
20×2.12.31
20×3.12.31

(2) ~ (6)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2)

(3)

(4)

(5)

(6)

04.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용ù는 íç×®÷ ÏõÝ [연습문제 2]의 사Ì를 20×3년 1월 1일에 ₩190,000에
현®으ü 매ÈÝí ø¾상환Ý다.
(2) ㈜용ù는 íç×®÷ ÏõÝ [연습문제 3]의 사Ì를 20×3년 1월 1일에 ₩102,000에
현®으ü 매ÈÝí ø¾상환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20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5.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½ù는 20×1년 결산Þ 퇴ʯí충ö부Ì ₩5,000,000을 설정Ý다.


(2) 20×2. 6. 1 종Æ원÷ 퇴Êý에 따ÿ 퇴Ê® ₩600,000을 Ú표를 ÀÞÝí É¯ÝÆ다.
(3) 20×3. 12. 31 º든 종Æ원÷ 퇴Ê할 경우 퇴Ê® Ý계액은 ₩8,000,000÷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06. 다음의 연Î된 거래를 분개하Þ오.

(1) DC제÷(×정¾í제÷) 퇴Ê연®에 ¬ÈÝì 퇴Ê연®부ö® ₩3,000,000을 우리


은Þ에 현®으ü ½ÈÝ다.
(2) DB제÷(×정¯í제÷) 퇴Ê연®에 ¬ÈÝì 퇴Ê연®부ö® ₩3,000,000을 우리
은Þ에 현®으ü ½È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01. 다음 중 유동부채¬ 아닌 것은?


d 매ÈÌ무 e 단¾ìÈ®
f 선Ú® g 장¾ìÈ®

206
Chapter 10. 부채

02. 다음 중 유동부채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 외상매È® 나. 장¾ìÈ®
다. 단¾ìÈ® ÿ. 미ɯ세®
ù. ɯõ음 ¼. 퇴ʯí충당부Ì
Å. 선ÚÚø 사. 미ɯ비용

d ¬, ù e 다, 사
f ÿ, Å g 나, ¼

03. ㈜½마의 운용×® 차È과 관련된 대Ö÷다. ÷에 나타난 내용을 분개하는 경우, 대변에
나타나는 계정과»과 동일한 부채의 분류에 Î하는 계정과»은?

[정부장] 김 대리, 일주일 전에 거래은Þ에 운용 ×® 대출 신청한 일은 잘 처리¬


되É습니까?
[김대리] 네. õ제 50,000,000원을 3년 후에 ¾¾ü Ýì ìÈÝí ü통예®계Ì에
È®된 것을 ×인ÝÆ습니다.

d 대손충당® e 외상매출®
f 단¾ìÈ® g 퇴ʯí충당부Ì

04. 다음 중 유동부채에 해당하는 ®액을 º두 þ하면 Ā마인¬?

 외상매È® : 50,000원  퇴ʯí충당부Ì : 100,000원


 단¾ìÈ® : 160,000원  선Ú® : 120,000원

d 430,000원 e 330,000원
f 310,000원 g 210,000원

20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5. 기Å의 ×®운용과 관련된 기사÷다. ÷에 나타난 부채와 분류항»÷ 같은 계정과»을 <ü
기>에Ý 고른 것은?

최근 현®×름÷ ÆÖ된 미î㈜는 단¾×® 운용에 대한 부ö을 느끼ì Ï다. û히


올õ 상반¾까É 만¾¬ 돌Åæ는 î내 ®융권 단¾ìÈ®÷ 3,000,000,000원에 ÷르
는 것으ü 나Ð나 ÷런 부Ì 부ö÷ ç동성 위¾ü ÷õ질É 주»된다.

<ü¾>
ㄱ. ¬É¯® ㄴ. 미ɯ® ㄷ. 외상매È® ㄹ. 퇴ʯí충당®

d ㄱ, ㄴ e ㄱ, ㄷ f ㄴ, ㄷ g ㄷ, ㄹ

06. 다음 항»들 중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ü 표Þ될 ®액으ü 올바른 것은?

 매ÈÌ무 300,000원  장¾ìÈ® 500,000원


 퇴ʯí충당부Ì 400,000원  선ÚÚø 200,000원
 단¾ìÈ® 200,000원  미ɯ비용 100,000원

ç동부Ì 비ç동부Ì ç동부Ì 비ç동부Ì


d 1,300,000원 400,000원 e 1,200,000원 500,000원
f 1,000,000원 700,000원 g 800,000원 900,000원

07. 다음 중 비유동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d ¬É¯® e 장¾ìÈ® f 선¯® g 미ɯ®

08. 다음 중 재무상Ü표상 비유동부채ü 분류되는 것은?


d 단¾ìÈ® e 미ɯ® f 선Ú® g 사Ì

09. 다음의 거래를 분개할 때 대변에 기È할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½ù는 A은Þ과 2년 만¾ 대출계þ을 맺ì 50,000,000원을 ü통예®으ü ¿다.

d 미ɯ® e 장¾ìÈ® f 선Ú® g 단¾ìÈ®

208
Chapter 10. 부채

10. 다음 중 비유동부채의 ¼Í를 ¬져오는 거래ü 옳은 것은?


d 2년 후 상환þ정인 은Þ대출® 2,000,000원을 ø¾상환Ý다.
e ¾계장Þ를 1,000,000원에 íÈÝì 대®은 3¼월 후에 ɯݾü Ý다.
f ¿을õ음 3,000,000원을 은Þ에 할인매­ÝÆ다.
g 사무실 Çì계þ¾간÷ 만료되õ Çìü증® 600,000원을 Ç대인으ü부터 돌¼
¿다.

11. ½마상사는 액면총액 10,000,000원(단위당 10,000원)의 사채를 단위당 8,000원에 À행


하고, ¹È®은 전액 당좌예®으ü È®하Æ다. 분개ü 맞는 것은?

d (ì) 당Ì예® 8,000,000원 (대) 사Ì 10,000,000원


사Ì할인ÀÞì® 2,000,000원
e (ì) 당Ì예® 8,000,000원 (대) 사Ì 10,000,000원
사ÌÀÞ비 2,000,000원
f (ì) 당Ì예® 8,000,000원 (대) 사Ì 10,000,000원
미Ú® 2,000,000원
g (ì) 당Ì예® 8,000,000원 (대) 사Ì 8,000,000원

12. 다음은 ㈜백마의 퇴ʯ여충당부채 계정 관련 ×료이다. (가)의 ®액으로 옳은


것은?

 ¾Í : 퇴ʯí충당부Ì 잔액 3,000,000원
 ¾중 : 퇴ÊÝ는 종Æ원에게 ɯ한 퇴Ê® 1,700,000원
 ¾말 : 결산 ÞØ 퇴ʯí충당부Ì액으ü 계상할 ®액은 (¬)÷다.
따ÿÝ Å래와 ½은 결산분¼를 Ý다.
(ì) 퇴ʯí 2,100,000 (대) 퇴ʯí충당부Ì 2,100,000

d 900,000원 e 1,300,000원
f 3,400,000원 g 3,800,000원

20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11 |

자본

1 개인기업의 ×본 및 세®

1) ×본®

×본®계정은 ¾Æ주¬ ¾Æ에 출×한 ×본®액의 증¼을 처리Ý는 계정÷다. ×본®계정의


대변에는 원Þ출×액과 ݬ출×액, 당¾순÷ø을 ¾ýÝ며, ì변에는 인출액과 당¾순손실을
¾ý한다. ×본®계정은 ×본계정으üÝ 대변에 생긴 잔액은 ×본®의 현재액을 표Þ한다.

구분 차변 대변
현® 등을 출×Ýí ÇÆ을 ¼Þ한 경우 현 ® ××× ×본® ×××
현® 등을 ݬü 출×Ý는 경우 현 ® ××× ×본® ×××
결산결과 당¾순÷ø÷ À생한 경우 손 ø ××× ×본® ×××
결산결과 당¾순손실÷ À생한 경우 ×본® ××× 손 ø ×××

2) 인출®

인출®은 ¾Æ주¬ ¼인É으ü 현®, 상품 등을 Í비Ý는 경우 ÷것을 ÇÞü 인출®계정


ì변에 ¾ýÝÆ다¬ 결산Þ ×본®계정에 대체한다. 인출®은 ¾중에는 ×본®의 ¬¼É
평¬계정÷다.

210
Chapter 11. 자본

구분 차변 대변
¾Æ주¬ 현®을 인출한 경우 인출® ××× 현 ® ×××
결산Þ 인출®을 ×본®에 대체Ý는 경우 ×본® ××× 인출® ×××

11-1 개인기업의 ×본®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현® ₩3,000,000을 출×Ýí 사Æ을 ÞØ한다.


(2) ¾Æ주¬ ¼인É 용÷ü ₩300,000을 인출Ý다.
(3) ¾Æ주의 인출® 중 ₩300,000을 환ÈÝ다.
(4) ¾Æ주¬ 외상매출® ₩200,000을 ÞÚÝí ¼인É으ü 사용Ý다.
(5) ¾말의 당¾순÷ø÷ ₩80,000으ü 계산되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현 ® 3,000,000 × 본 ® 3,000,000
(2) 인 출 ® 300,000 현 ® 300,000
(3) 현 ® 300,000 인 출 ® 300,000
(4) 인 출 ® 200,000 외상매출® 200,000
(5) 손 ø 80,000 × 본 ® 80,000
× 본 ® 200,000 인 출 ® 200,000

3) 개인기업의 세®

¾Æ주에 부과되는 사ÆÍý세(종þÍý세)와 É방Íý세(Íý분)는 ¾Æ주 ¼인의 부ö

21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므ü ¾Æ주 ¼인의 인출®계정으ü 처리ÝÆ다¬ ¾말 결산Þ ×본®계정 ì변으ü 대체


정리한다.

¾Æ의 ÇÆ활동과 관계Ï는 재산세, ×동ì세, 사ÆÍ세, ÷Þ계ß세, 종þ토É세 등과


상공Þ의Í Þ비, Éï×Þ비, 협Þ비, øþ비 등의 공과®을 þ한 것으ü 한다.

건물, 토É, ì량운반í 등 ç형×산을 íÈÞ 부öÝ는 세®으ü ×산의 취ý부대비용으


ü 분류Ýí ç형×산의 취ý원¬에 포ý한다.

종Æ원의 ¯íÉ¯Þ 원천징Ú한 근üÍý세는 부Ì인 예Ú®계정으ü 처리ÝÆ다¬ 관할


세무Ý에 신ì 및 ¹부한다.

구분 차변 대변

¾Æ주의 사ÆÍý세 ¹부 인 출 ® ××× 현 ® ×××


취ý세, 등ý세 ¹부 ç형×산 ××× 현 ® ×××
재산세 등 ¹부 세®과공과 ××× 현 ® ×××
예Ú® ×××
¯í É¯Þ 근üÍý세 원천징Ú ¯ í ×××
ü통예® ×××
원천징Ú한 Íý세의 ¹부 예 Ú ® ××× 현 ® ×××

11-2 개인기업의 세®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½ù상사는 사ÆÍý세 ×정신ì를 Ýì 사ÆÍý세 ₩500,000을 현®으ü ¹부Ý다.


(2) Æ무용 토É를 취ýÝì 취ý세 ₩300,000을 현®으ü ¹부Ý다.
(3) 건물에 대한 재산세 ₩200,000을 현®으ü ¹부Ý다. 단, ÷중 ₩50,000은 ¾Æ주

212
Chapter 11. 자본

¼인의 주Ý에 대한 것÷다.


(4) 종Æ원 ¯í ₩1,000,000을 ɯÝ며 Íý세 ₩50,000을 ì¼Ýì ü통예®통장에
Ý ÷체Ýí ɯÝ다.
(5) Þ사 Æ무용 ì량에 대한 ×동ì세 ₩150,000과 ¾Æ주 ¼인 ì량에 대한 ×동ì세
₩200,000을 현®으ü ¹부Ý다.
(6) 종Æ원 ¯í É¯Þ 원천징Ú한 Íý세 ₩50,000을 현®으ü ¹부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인 출 ® 500,000 현 ® 500,000
(2) 토 É 300,000 현 ® 300,000
세®과공과 150,000
(3) 현 ® 200,000
인 출 ® 50,000
¯ í 1,000,000 예 Ú ® 50,000
(4)
ü통예® 950,000
세®과공과 150,000 현 ® 350,000
(5)
인 출 ® 200,000
(6) 예 Ú ® 50,000 현 ® 50,000

2 주ß회사의 ×본

주ßÞ사는 1인 ÷상의 À¾인÷ 상½의 규정에 따ÿ ÀÞ할 주ß의 총Ú, 1주당 액면®액,
ÀÞ주ß 총Ú 등을 ¾재한 정관을 Ø성Ýì 정관에 따ÿ 주ß을 ÀÞÝì ½원에 등¾ý으ü
써 설¾÷ 된다.

21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 주ß의 À행

주ßÞ사의 ×본®은 항상 ÀÞ주ßÚ에 주ß의 1주당 액면을 곱한 ®액으ü ×본®계정


에 ¾È한다. 주ß의 ÀÞ은 ÀÞ®액÷ 주ß의 액면®액인 경우의 평¬ÀÞ과 액면®액
미만으ü ÀÞÝ는 할인ÀÞ 및 액면®액을 Í과Ýí ÀÞÝ는 할증ÀÞ÷ Ï다.

회계처리
À행방법 내용
차변 대변
평¬ÀÞ 액면¬액 = ÀÞ¬액 당 Ì 예 ® ××× × 본 ® ×××
× 본 ® ×××
할증ÀÞ 액면¬액 < ÀÞ¬액 당 Ì 예 ® ×××
주ßÀÞÍ과® ×××
당 Ì 예 ® ×××
할인ÀÞ 액면¬액 > ÀÞ¬액 × 본 ® ×××
주ß할인ÀÞì® ×××

* 설립Þ 신주발행비용은 창업비계정으로 처리하고, 신주발행(증×)Þ 주ß발행비용은 주ß할인발행차금에 ¬산하고,


주ß발행초과금에Ý 차감하여 처리한다.

11-3 주ß발행, 현물출×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주ßÞ사 ㈜½ù를 설¾Ý면Ý Ú권주ß의 일부인 1,000주를 1주당 ₩5,000(액면


®액 @₩5,000)에 ÀÞÝì 주® 전액을 ¹È¿Å 당Ì예ÈÝ다. 단, 주ßÀÞ비용
₩30,000은 현®으ü ɯÝ다.
(2) ㈜½ù는 ÷사Þ 결의ü 신주 1,000주(@5,000)를 1주당 @₩6,000에 ÀÞÝì ¹È
®은 전액 당Ì예ÈÝ다. ý리ì 주ßÀÞ비용 ₩30,000은 현®으ü ɯÝ다.
(3) ㈜½ù는 ÷사Þ 결의ü 신주 1,000주(@5,000)를 1주당 @₩4,000에 ÀÞÝì ¹È
®은 전액 당Ì예ÈÝ다. ý리ì 주ßÀÞ비용 ₩30,000은 현®으ü ɯÝ다.

214
Chapter 11. 자본

(4) ㈜½ù는 설¾을 위Ýí À¾인으ü부터 공정¬Þ ₩6,000,000의 토É를 현물출×


¿ì ü통주ß 1,000주(액면 @₩5,000)를 ÀÞÝí 교부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당 Ì 예 ® 5,000,000 × 본 ® 5,000,000
(1)
주ß할인ÀÞì® 30,000 현 ® 30,000
당 Ì 예 ® 6,000,000 × 본 ® 5,000,000
(2) 주ßÀÞÍ과® 970,000
현 ® 30,000
당 Ì 예 ® 4,000,000 × 본 ® 5,000,000
(3)
주ß할인ÀÞì® 1.030.000 현 ® 30,000
토 É 6,000,000 × 본 ® 5,000,000
(4)
주ßÀÞÍ과® 1,000,000
* ×본금 = 발행주ß수 × 액면금액

2) ×본의 분류

일반¾ÆÞ계¾준에 따르면 주ßÞ사의 ×본은 ×본®, ×본Ðí®, ×본ø정, ¾Ð포괄손


ø누계액, ÷øÐí®으ü í분한다.2)

분류 계 정 과 » 내 용
¼인¾Æ의 출×액 또는 ½인¾Æ의 총ÀÞ주ß의 액면
×본® × 본 ®
¬액
주ßÀÞÍ과® 주ß 할증ÀÞÞ 액먄¬액을 Í과한 ®액
×본Ðí® ×¾주ß처분÷ø ×¾Þ사 주ß을 일Þ 취ý한 후 처분Þ À생Ý는 ÷ø
¼ × ì ø ×본을 ¼ÍÞ킬 때 À생Ý는 ìø

2) 한î채Ýî제회계기준(K-IFRS)에서는 자본®, ÷øÐ여®, 기타 자본í성요소ü í분한다. 기타 자본í성요소는 일반기


Å회계기준의 자본Ð여®과 자본조정 및 기타포괄손ø누계액에 해당한다.

21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분류 계 정 과 » 내 용
주ß할인ÀÞì® 주ß할인ÀÞÞ 액면¬액에 미달한 ®액
×¾주ß처분손실 ×¾Þ사 주ß을 일Þ 취ý한 후 처분Þ À생Ý는 손실
×본ø정
¼ × ì 손 ×본을 ¼ÍÞ킬 때 À생Ý는 ì손
× ¾ 주 ß 일Þ 취ý한 ×¾ Þ사¬ ÀÞ한 주ß의 취ý¬액
매÷¬·증권평¬손ø 결산Þ에 매÷¬·증권을 평¬Ýì 나Ð내는 평¬손ø
¾Ð포괄손
ø누계액 õ외사Æ환산손ø õ외사Æ 재무제표를 원Öü 환산할 때 나Ð나는 ì손ø

÷ ø 준 비 ® 상½에 의한 ®전¼당액의 10% ÷상 ɾ액


¾Ð½정ɾ® 상½ ÷외의 ½률에 의한 ɾ®(재무íø¼선ɾ®)
÷øÐí®
Ç 의 É ¾ ® Ðí® 처분Þ Þ사¬ Ç의의 »É으ü ɾ한 ®액
미처분÷øÐí® Ðí®을 처분Ýì ¸은 잔액으ü ì¾ü ÷월된 ®액

×본®은 ü통주×본®과 우선주×본®으ü í분한다. ü통주와 우선주는 ¼당®과 의결


권 및 청산Þ의 권리¬ Ýü 다르¾ 때문에 í분Ýí 표Þ한다.

×본Ðí®은 증×나 ¼× 등의 주주와의 거래에Ý À생Ý는 ×본의 증¬액으ü 주ßÀÞ


Í과®, ×¾주ß처분÷ø, ¼×ìø 등÷ 포ý된다.

×본ø정은 ×본거래에 õ당되É만 최종 ×본의 ¹È으ü 볼 Ú Ç거나, ×본에 ¬¼되는


성­으ü ×본®과 ×본Ðí®으ü 분류할 Ú Ç는 항»÷다. ×¾주ß과 ¾Ð×본ø정으ü
í분한다. ¾Ð×본ø정에는 주ß할인ÀÞì®, ¼×ì손, ×¾주ß처분손실 등÷ Ï으며
¾Ð×본ø정으ü 통þÝí 표Þ할 Ú Ï다.

¾Ð포괄손ø누계액은 일정¾간동안 주주와의 ×본거래를 제외한 º든 거래와 사건으ü


À생한 ×본의 변동÷ 포괄손ø÷다. 포괄손ø에Ý 손ø계산Ý의 당¾순÷ø을 í성Ý는

216
Chapter 11. 자본

손ø을 제외한 손ø을 ¾Ð포괄손ø÷ÿ 한다. ¾Ð포괄손ø은 미실현손ø÷ 생¾는 것을


방Éݾ 위Ýí 재무상Ü표의 ×본에 표ÞÝ는 것÷며, 매÷¬·증권평¬손ø, õ외사Æ환
산ì손ø, ×산재평¬Ðí® 등÷ 포ý된다.

÷øÐí®은 ¾Æ÷ 벌õø인 ÷ø 중 ¼당®÷나 다른 Ðí®으ü 처분되É 않ì ¸Å


Ï는 ÷ø을 말한다. 결손®은 ¾Æ÷ 결손®을 üì한 경우 üì된 결손® 중 다른 Ðí®으
ü ü전되É 않ì ÷월된 부분을 말한다. ÷øÐí®은 ÷ø준비®3), ¾Ð½정ɾ®, Ç의
ɾ® 및 미처분÷øÐí®(또는 미처리결손®)으ü í분한다.

3) 상법 제458조에 의하여 회사는 매 결산기마다 ®전에 의한 배당®의 10% ÷상을 자본®의 ½에 도달할 때까지 ÷ø
준비®으ü 적립하여야 한다. ÷ø준비®은 결손보전과 자본®으ü 전입 ÷외에는 사용할 수 Æ다.

21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연습문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무½상사는 사ÆÍý세 ×정신ì를 Ýì 사ÆÍý세 ₩300,000을 현®으ü ¹부Ý


다.
(2) Æ무용 건물을 취ýÝì 취ý세 ₩200,000을 현®으ü ¹부Ý다.
(3) 건물에 대한 재산세 ₩250,000을 현®으ü ¹부Ý다. 단, ÷ 중 ₩100,000은 ¾Æ주
¼인의 주Ý에 대한 것÷다.
(4) 종Æ원 ¯í ₩1,500,000을 ɯÝ며 Íý세 ₩150,000을 ì¼Ýì ü통예®통장
에Ý ÷체Ýí ɯÝ다.
(5) Þ사 Æ무용 ì량에 대한 ×동ì세 ₩200,000과 ¾Æ주 ¼인 ì량에 대한 ×동ì세
₩250,000을 현®으ü ¹부Ý다.
(6) 종Æ원 ¯í É¯Þ 원천징Ú한 Íý세 ₩150,000을 현®으ü ¹부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218
Chapter 11. 자본

02.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주ßÞ사 ㈜설봉을 설¾Ý면Ý Ú권주ß의 일부인 2,000주를 1주당 ₩5,000(액면


®액 @₩5,000)에 ÀÞÝì 주ßÀÞ비용 ₩50,000을 ì¼한 주® 전액을 ¹È¿
Å 당Ì예ÈÝ다.
(2) ㈜ù름은 ÷사Þ 결의ü 신주 2,000주(@5,000)를 1주당 @₩6,000에 ÀÞÝì 주ß
ÀÞ비용 ₩50,000을 ì¼한 주® 전액을 ¹È¿Å 당Ì예ÈÝ다.
(3) ㈜ùí는 ÷사Þ 결의ü 신주 2,000주(@5,000)를 1주당 @₩4,000에 ÀÞÝì 주ß
ÀÞ비용 ₩50,000을 ì¼한 주® 전액을 ¹È¿Å 당Ì예ÈÝ다.
(4) ㈜미î은 설¾을 위Ýí À¾인으ü부터 공정¬Þ ₩10,000,000의 건물을 현물출
׿ì ü통주ß 1,500주(액면 @₩5,000)를 ÀÞÝí 교부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01. 인출®계정을 사용하는 거래¬ 아닌 것은?


d ¾Æ주 ¼인의 의료비 É출
e ¾Æ주 ¬ù의 ü장성ü험료 ¹부
f 사Æ과 관련된 건물재산세 ¹부
g ¾Æ주 É인의 경ø사비 É출

21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2. 다음 거래에 대한 분개ü 옳은 것은?

¼인¾Æ인 무½¬íØ은 사Æ용 건물에 대한 재산세 100,000원과 사장 ×Ý의 재산세


20,000원을 당ÌÚ표를 ÀÞÝí 은Þ에 ¹부Ý다.

d (ì변) 재 산 세 120,000 (대변) 당Ì예® 120,000


e (ì변) 인 출 ® 120,000 (대변) 당Ì예® 120,000
f (ì변) 세®과공과 100,000 (대변) 당Ì예® 120,000
인 출 ® 20,000
g (ì변) 세®과공과 20,000 (대변) 당Ì예® 120,000
인 출 ® 100,000

03. ×본에 대한 설명으ü 틀린 것은?


d ×본은 ×본®, ×본Ðí®, ×본ø정, ¾Ð포괄손ø누계액, ÷øÐí®으ü í
분한다.
e 액면을 Í과Ýí 주ß을 ÀÞ할 때 주ß할인ÀÞì®÷ À생한다.
f ÷ø준비®, ¾Ð½정ɾ®, Ç의ɾ®, 미처분÷øÐí®은 ÷øÐí®을 í
성한다.
g 주ßÀÞÍ과®, ¼×ìø, ×¾주ß처분ø은 ×본Ðí®을 í성한다.

04. 다음 중 ×본에 대한 설명으ü 틀린 것은?


d ½정×본®은 ÀÞ주ß 총Ú에 주당 액면¬액을 곱한 ®액÷다.
e ÷øÐí®은 ÇÆ활동에 의Ýí ßý한 ÷ø 중 사외ç출 되É 않ì 사내에
çüÝì Ï는 ÷ø÷다.
f 주ß할인ÀÞì®은 ÀÞ할 당Þ ÷미 계상되õ Ï는 주ßÀÞÍ과®과 우선
상계Ýì 잔액을 3년 ÷내 ¾간에 매¾ 균등상­한다.
g ¼×ì손은 ç상¼×Þ ¼ÍÝ는 ×본®ü다 ɯÝ는 대¬¬ É을 때 À생한다.

220
Chapter 11. 자본

05. 다음 중 주ß회사 설립Þ에 À행한 주ßÀ행비의 회계처리ü 올바른 것은?


d ýÆ비(무형×산)의 계정으ü 처리한다.
e 세®과공과(판매비와관리비) 계정으ü 처리한다.
f 주ßÀÞÍ과®에Ý ì¼Ý거나 주ß할인ÀÞì®에 ¬산한다.
g ×본®과 상계처리한다.

06. 다음 ( )에 해당하는 계정으ü만 ÞÉ어진 것은?

¾ÆÞ계¾준에 의Ý면 주ßÞ사의 ×본은 ×본®, ( ), ÷øÐí® 및 ×본ø정으


ü 분류Ýì Ï다.

d ü통주×본®, 사Æ×장ɾ®, ¼Ìɾ®


e 주ßÀÞÍ과®, 사Æ×장ɾ®, ¼Ìɾ®
f 주ßÀÞÍ과®, ¼×ìø, þ병ìø
g Ç의ɾ®, ÷ø준비®, ì¾÷월÷øÐí®

07. 다음 <ü기>중 ÷øÐí®으ü 분류하는 항»을 º두 고른 것은?

ㄱ. 사Æ ×장을 위한 »É으ü 순÷ø의 일부를 çü한 ®액


ㄴ. 액면을 Í과Ýí 주ß을 ÀÞ할 때 ý 액면을 Í과Ý는 ®액
ㄷ. ×본을 ¼ÍÝì 주주에게 반환되É 않ì ½È×본으ü ¸ÅÏ는 ®액
ㄹ. ®전에 의한 ÷ø¼당액의 1/10÷상을 ×본®에 1/2에 달할 때까É É¾õý Ý는
®액

d ㄱ e ㄴ
f ㄱ, ㄷ g ㄱ, ㄹ

08. 주ß을 À행할 때 액면®액을 초과하는 ®액은?


d 주ß할인ÀÞì® e 주ßÀÞÍ과®
f ×¾주ß처분÷ø g ×산Ú증÷ø

22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9. 다음 ×료에Ý 액면®액을 초과하í À행한 차액에 대해 알맞은 ×본항»은 무Ç인¬?

㈜½ù는 ×본®을 증¬Þ키¾ 위Ýí 신주 100,000주(액면 1주당 5,000원)를 1주당


6,000원에 ÀÞÝì ¹È®은 당Ì예®Ý다.

d ×본ø정 e ½정ɾ®
f ×본Ðí® g ÷ø준비®

10. ㈜½마는 증×하기ü 결정하고 신주 100주(액면 @5,000원)를 1주당 7,000원에 À행하


고 ¹È®은 전액 현®으ü ¿고 주ßÀ행비 30,000원을 현®으ü ɯ한 경우 À행 당

Þ 주ßÀ행초과®계정에 기È되는 ®액은 Ā마인¬?

d 30,000원 e 170,000원
f 200,000원 g 700,000원

11. 다음 중 ×본Ðí® í성항»÷ 아닌 것은?


d 주ßÀÞÍ과® e ¼×ìø
f ÷ø준비® g ×¾주ß처분÷ø

12. ㈜½마¬ 20×1년 3월 10일 주주총회에Ý 주주들에게 현®¼당을 결의한 ÞØ의 분개ü
올바른 것은?(단, ¼당®은 주주총회일 ø일에 ɯ될 예정÷다)

d (ì) 미처분÷øÐí® ××× (대) 미 É ¯ ¼ 당 ® ×××


e (ì) × 본 Ð í ® ××× (대) 현 ® ×××
f (ì) 미처분÷øÐí® ××× (대) 현 ® ×××
g (ì) ¼ 당 ® ××× (대) 미 É ¯ ¼ 당 ® ×××

13. 다음 중 ÷øÐí®에 해당하는 것은?


d 주ß할인ÀÞì® e ×¾주ß처분÷ø
f ÷ø준비® g 매÷¬·증권평¬÷ø

222
Chapter 11. 자본

14. 다음 항»들 중 당기순÷ø에 Ç향을 주는 항»은 몇 개인¬?

1. ç형×산처분÷ø 2. 주ßÀÞÍ과®
3. ×¾주ß처분÷ø 4. ¼×ìø

d 1¼ e 2¼
f 3¼ g 4¼

15. 다음은 ㈜½마의 20×1년도말 재무상Ü표에 기È된 내용의 일부÷다. ÷를 ×료ü ÷øÐ
í®의 þ계를 계산한 ®액은?

 ÷ø준비® 500,000원  Ç의ɾ® 350,000원


 ¼×ìø 50,000원  주ßÀÞÍ과® 600,000원

d 350,000원 e 500,000원 f 850,000원 g 1,100,000원

16. 주ß회사를 설립하기 위해Ý는 주ß을 À행해ý 한다. 다음의 경우 ×본®으ü 계상하íý
할 ®액은?

주당 액면¬액÷ 5,000원인 주ß을 주당 10,000원에 1,000주 ÀÞÝÆ다.

d 5,000,000원 e 10,000,000원 f 15,000,000원 g 50,000,000원

17. 3월 2일 주주총회에Ý 100,000원의 현®¼당® ɯ을 의결하고 3월 20일 실제 ɯ할


경우, ¼당® É¯Þ 분개는 무Ç인¬?

d (ì) × 본 ® 100,000원 (대) 현 ® 100,000원


e (ì) 미 É ¯ ¼ 당 ® 100,000원 (대) 현 ® 100,000원
f (ì) 당 ¾ 순 ÷ ø 100,000원 (대) 현 ® 100,000원
g (ì) × 본 Ð í ® 100,000원 (대) 현 ® 100,000원

22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8. 다음 ½마상사㈜의 주주총회의 당기순÷ø에 대한 처분사항÷ 반Ç된 후 ÷ø준비®은 Ā


마인¬?

 20××년 Þ계연÷ 당¾순÷ø : 9,500,000원


 ®전에 의한 ÷ø ¼당® : 2,000,000원
 ÷ø준비® : ½정최Í한÷(×본®은 5,000,000원÷며, õ당용÷의 ÷ø준비®
ɾ전 잔액은 2,000,000원Ç)

d 150,000원 e 200,000원 f 400,000원 g 950,000원

224
Chapter 11. 자본

기초
회계원리

22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 Chapter 12 |

수익과 비용

1 수익

1) 수ø의 의의

Úø은 ¾Æ의 경Ç활동으üÝ의 재Ö의 생산 및 판매, 용î의 제공 등에 따른 경제É


효ø의 çÈ으üÝ ×산의 증¬ 또는 부Ì의 ¼Í에 따ÿ ¾Æ주의 몫인 ×본 증¬의 원인÷
된다. Úø은 ÇÆ활동에Ý À생Ý는 매출액과 투× 및 재무활동에Ý À생Ý는 ÇÆ외Úø으
ü í분할 Ú Ï다.

2) 수ø의 인ß

Úø은 ×산의 증¬나 부Ì의 ¼Í와 관련Ýí 미래경제É 효ø÷ 증¬Ýì ÷를 신뢰성
Ï게 측정할 Ú Ï을 때 손ø계산Ý에 인ß한다. Úø인ß의 í체É인 ¾준에는 진Þ¾준,
완성¾준, 인÷¾준, ÞÚ¾준 등÷ Ï다.

구 분 내 용
일반매출 상품 등을 인÷한 날(인÷¾준)
할부매출(단¾, 장¾) 인÷¾준

226
Chapter 12. 수ø과 비용

구 분 내 용
위 Ñ 매 출 ÚÑ׬ 위Ñ품을 제3×에게 판매한 ÞØ
Þ 용 매 출 매È׬ í매의사 표Þ한 날 또는 반품¾간의 종료ÞØ
공 사 Ú ø 진Þ¾준에 따ÿ 인ß
용 î 매 출 진Þ¾준에 따ÿ 인ß
상 품 권 매 출 물품 등을 제공Ýì 상품권을 ÞÚ한 때에 인ß

12-1 수ø인ß

다음 중 수ø인ß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

d 용î의 제공으ü 인한 Úø은 진Þ¾준에 따ÿ 실현되는 것으ü 한다.


e 위Ñ판매의 경우는 ÚÑ׬ õ당 상품을제3×에게 판매한 ÞØ에 Úø을 인ß한다.
f Þ용판매는 í매×의 í매의사 표현 ÞØ 또는 반품¾간 종료ÞØ에 인ß한다.
g 할부매출의 경우는 할부®÷ ÞÚ되는 ÞØ에 Úø을 인ß한다.

g 할부매출은 회수ÞØ÷ 아니고 판매ÞØ에 수ø을 인ß한다.

3) 수ø의 분류

매출액은 ¾Æ의 주된 ÇÆ활동에Ý À생한 상품, 제품의 순매출액÷다. 순매출액은 총매


출액에Ý 매출에누리와 환È 및 매출할인을 ì¼Ýí í한다.

계정과» 내 용
상 품 매 출 ì½에게 상품을 판매Ý는 경우
매출액
제 품 매 출 ì½에게 제품을 판매Ý는 경우

ÇÆ외Úø은 ¾Æ의 주된 ÇÆ활동÷ Å닌 재무활동÷나 투×활동에Ý À생한 Úø과

22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ìø으ü ÷×Úø, ¼당®Úø, Ç대료, ÚÚ료Úø, 단¾매매증권평¬÷ø, 단¾매매증권


처분÷ø, ç형×산처분÷ø, è÷ø, ×산Ú증÷ø, Ì무면제÷ø 등÷ Ï다.

계정과» 내 용
÷ × Ú ø ®융상품(예®), 대í®, Ì권에Ý À생Ýí ¿는 ÷×
¼ 당 ® Ú ø 주ß 등의 투×ü 인한 ÷ø분¼를 현®으ü ¿는 경우, ý ®액
Ç 대 료 부동산 등을 빌¼주ì ý 대¬ü ¿는 ®액
Ú Ú 료 Ú ø 용î(Ý비스)의 제공으ü ¿는 ÚÚ료 ®액
결산일에 단¾매매증권의 공정¬¬ 장부¬ü다 클 경우, ý ì÷에 õ
단¾매매증권평¬÷ø
당Ý는 ®액
단¾매매증권처분÷ø 단¾매매증권을 장부¬ ÷상으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ø®액
ç형×산처분÷ø ç형×산을 장부¬ ÷상으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ø®액
è ÷ ø ÇÆ활동 ÷외에Ý À생Ý는 ÷ø으ü ý ®액÷ É은 경우, ý ®액
× 산 Ú 증 ÷ ø ×본ü전 등을 위Ýí 주주 등÷ 무상으ü ½È한 ®액
Ì 무 면 제 ÷ ø ×본ü전 등을 위Ýí 주주 등에 의õ Ì무를 면제¿은 ®액

12-2 수ø거래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상품 ₩300,000을 무½상사에 판매Ýì 대®은 전액 외상으ü Ý다.


(2) 은Þ으ü부터 ü통예®÷× ₩50,000을 현®으ü ¿다.
(3) 본사 건물의 일부를 ¼인에게 빌¼주ì 월세 ₩150,000을 현®으ü ¿다.
(4) 상품매매의 중¼ÚÚ료 ₩30,000을 ×¾앞Ú표ü ¿다.
(5) 사용중÷던 Æ무용 승용ì(장부¬액 ₩3,000,000)를 ₩3,500,000에 처분Ýì 대®
은 1¼월 후에 ¿¾ü 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228
Chapter 12. 수ø과 비용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외 상 매 출 ® 300,000 상 품 매 출 300,000
(2) 현 ® 50,000 ÷ × Ú ø 50,000
(3) 현 ® 150,000 Ç 대 료 150,000
(4) 현 ® 30,000 Ú Ú 료 Ú ø 30,000
미 Ú ® 3,500,000 ì 량 운 반 í 3,000,000
(5)
ç형×산처분÷ø 500,000

2 비용

1) 비용의 의의

비용은 ¾Æ의 경Ç활동과 관련된 재Ö의 판매, 용î의 제공 등에 따ÿ À생Ý는 ×산의


ç출÷나 사용 또는 부Ì의 증¬ü 결과É으ü ×본의 ¼Í를 ¬져æ는 것÷다. 비용은 ¾Æ
의 주된 ÇÆ활동에Ý À생Ý는 매출원¬ 및 판매비와관리비, 투×나 재무활동에Ý À생Ý는
ÇÆ외비용, ½인세비용으ü í분한다.

2) 비용의 인ß

비용인ß에 Ïõ É용되는 일반원ß은 Úø·비용대응의 원ß÷다. ÷는 경제É 효ø의


사용은 ý 사용으ü 인õ ßý되는 Úø÷ 인ß될 때 비용으ü 인ß한다는 것÷다. Ê, 비용은
ý 비용÷ ¾í한 Úø÷ ¾ý되는 동일한 ¾간의 비용으ü ¾ý한다.

구 분 내 용
ÊÙ 대응 비용 매출원¬, 판매원Ú당 등
¾간별 대응 비용 ¯í, ý리후생비, 광ì선전비 등
þ리É÷ì 체계É인 ¼분 비용 ¼¬상­비, 무형×산상­비 등

22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매출원¬는 판매된 상품 등의 매È원¬ü 매출액에 대응한다.

상품매출원¬ = ¾Í상품재ì액 + 당¾상품순매È액 - ¾말상품재ì액

* 순매È액 = 총매È액 – (매È에누리 + 매È환출 + 매È할인)

판매비와관리비는 매출원¬에 ÎÝÉ 않으면Ý 상품 등의 판매활동 및 관리활동에Ý À생


Ý는 비용÷다. ¯í, 퇴ʯí, ý리후생비, Çì료, Ù대비, ¼¬상­비, 무형×산상­비,
세®과공과, 광ì선전비, 연í비, 경상¼À비, 대손상­비 등÷ Ï다.

계 정 과 » 내 용
¯ í 종Æ원에게 ɯ되는 월¯ 등 인건비
퇴 Ê ¯ í 종Æ원 퇴ÊÞ É¯ 되는 ¯í
ý리후생비 종Æ원의 ý리후생을 위Ýí É출Ý는 비용
Ç ì 료 Ð인의 건물÷나 토É를 사용Ý면Ý É¯한 사용료
Ù 대 비 ÇÆ의 »É으ü 거래처와의 관계를 çÉݾ 위한 É출
¼¬상­비 결산Þ 계상되는 ç형×산 등의 ¬Þ¼Í분
무형×산상­비 결산Þ 계상되는 무형×산 등의 ¬Þ¼Í분
재산세, ×동ì세, 면허세, 상공Þ의ÍÞ비 등
세®과공과
예외)취ý세는 õ당×산의 취ý원¬에 ¬산(ì량운반í 등)
광ì선전비 ½û정다Ú인을 대상으ü 제품 등의 판매Î진을 위õ É출되는 비용
í비교통비 버스ㆍÝÞÖ®을 ɯÝ거나 버스카ü 충전 및 승ì권 íÈ비용, 출장비 등
통 신 비 우표 및 엽Ý를 íÈÝ거나 전ÖÖ®, 휴대폰Ö®, 인터넷Ö® 등
Ú÷광열비 전¾Ö®, Ú÷Ö®, ¬스Ö®, 난방용 ç류대® 등
ü 험 료 ü험에 ¬ÈÝì ¹부Ý는 ü험료(Ö재ü험료, ì량ü험료 등)
상품ㆍ제품 매출Þ É¯한 운Ç(상품 등의 매È과정에Ý À생Ý면 재ì×산의
운 반 비
매È원¬에 ¬산)
Ú 선 비 Æ무용 건물, 비품 등 ç형×산의 Ú리를 위한 비용
종Æ원 교è훈련에 관련된 비용, 외부¾관에Ý 실ÞÝ는 교è, 세미나 참Þ비용,
교è훈련비
Þ사내의 ×체교è비, ý 외 ¾Ð교è비
ì량çÉ비 Þ사ì량의 çÉㆍüÚ에 관련된 비용(주ç비, 주ì비, 통Þ료 등)
÷장, ì무인, ­종 문Ý 및 Ý류의 ý사, 사원Ú첩, 달½, 연Ý장, ­종 Æ무용
÷Ý인쇄비
÷ÝíÈ비, 신문, èÉ, 정¾간Þ물의 íø비 등
연 í 비 연í단계에Ý À생된 비용

230
Chapter 12. 수ø과 비용

계 정 과 » 내 용
경상¼À비 ¼À단계에Ý À생된 비용 중 ×산성을 충ùÝÉ 못한 비용
대손상­비 결산Þ 계상되는 대손예상액과 매출Ì권 ÞÚ½·액
용î을 제공¿ì ɯÝ는 ÚÚ료(¾장ÚÚ료, 은ÞÚÚ료, ü증 ÚÚ료, 제증명
ɯÚÚ료
À¯ÚÚ료 등)
Í º 품 비 Æ무활동과 관련Ýí ­종 ͺ성으ü É출되는 비용
è 비 ®액É 중Ö성÷ Ç는 비용으ü æ물, 분뇨Ú거비, TV Ú신료 등

3) 영업외비용

ÇÆ외 비용은 ¾Æ의 주된 ÇÆ활동÷ Å닌 재무활동과 투×활동에Ý À생한 비용 또는


ì손으üÝ ÷×비용, ¾Ð의 대손상­비, 단¾매매증권평¬손실,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재
ì×산¼º손실, ¾부®, ç형×산처분손실, 매출Ì권처분손실, 재õ손실, è손실 등÷ Ï다.

계 정 과 » 내 용
÷ × 비 용 ìÈ®, 사Ì에 대한 ÷× É¯Þ À생Ý는 비용
¾Ð의 대손상­비 매출Ì권 ÷외의 Ì권(대í®, 미Ú® 등)에Ý À생Ý는 대손상­비
단¾매매증권평¬손실 결산Þ 단¾매매증권의 공정¬액÷ 장부¬액ü다 É을 때의 손실
단¾매매증권처분손실 단¾매매증권을 장부¬액 ÷Ý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손실
재ì×산의 실제Ú량÷ 파손, 훼손, ÷난 등의 ÷çü 장부상의 Ú량ü
재ì×산¼º손실
다 부ù한 경우ü 원¬성÷ Ç는 경우에 À생Ý는 손실
¾ 부 ® 사Þ단체나 종교단체 등에 ¹부한 성®(Æ무와 관련Ç÷ É출)
ç형×산처분손실 ç형×산을 장부¬액 ÷Ýü 처분ÝÆ을 때 À생Ý는 손실
매출Ì권처분손실 ¿을õ음의 할인Þ À생Ý는 할인료
è 손 실 ÇÆ÷외의 활동에Ý 생¾는 ®액÷ É은 손실
재 õ 손 실 Ö재, Úõ 등 재õü 인한 손실

4) 법인세비용

½인¾Æ÷ 경Ç활동에Ý 번 Íý에 대õ î¬에 ¹부Ýíý 할 ½인세(Íý할 주민세


포ý)를 말한다.

231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2-3 비용거래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½우÷웃돕¾성®으ü 한울Ð리재단에 ₩1,000,000을 현®으ü 전달Ý다.


(2) 신문íø료 ₩20,000을 빠르다신문사에 현®으ü ɯÝ다.
(3) 거래처 용ù상사의 ÇÆ부 사원 결혼 Þ의® ₩100,000을 현®으ü ɯÝ다.
(4) Æ무용 Ö물ì의 ×동ì세 ₩120,000을 현®으ü ¹부Ý다.
(5) ÇÆ용 Ö물ì의 엔진æ일을 잘ì쳐카센Ð에Ý 교체Ýì ₩80,000을 비í카üü
결제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¾ 부 ® 1,000,000 현 ® 1,000,000
(2) ÷Ý인쇄비 20,000 현 ® 20,000
(3) Ù 대 비 100,000 현 ® 100,000
(4) 세®과공과 120,000 현 ® 120,000
(5) ì량çÉ비 80,000 미ɯ® 80,000

232
Chapter 12. 수ø과 비용

연습문제

01.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상품 ₩500,000을 무½상사에 판매Ýì 대®은 동ØÀÞ Ú표ü ¿다.


(2) õ룡상사에 대í한 대í®의 ÷× ₩100,000을 현®으ü ¿다.
(3) ÍçÝì Ï던 단¾매매증권(장부¬액 ₩300,000)을 ₩400,000에 처분Ýì 주ß대
®을 ü통예®통장으ü È®¿다.
(4) 본사 건물의 일부를 Ç대Ýì 월세 ₩300,000을 현®으ü ¿다.
(5) 상품매매의 중¼ÚÚ료 ₩30,000을 ×¾앞Ú표ü ¿다.
(6) 사용중÷던 Æ무용 승용ì(장부¬액 ₩3,000,000)를 ₩3,500,000에 처분Ýì 대®
은 1¼월 후에 ¿¾ü Ý다.
(7) 거래처 Öí상사에 대한 단¾대í® ₩10,000,000과 ÷× ₩300,000을 당사 ü통예
®계Ì를 통Ýí ÞÚÝì Þ계처리를 Ý다.
(8) ㈜무½ 주ß에 대한 ¼당® ₩200,000을 현®으ü ¿다.
(9) 정¾예®÷ 만¾되õ ₩2,000,000과 ÷× ₩80,000을 현®으ü Ú령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233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7)

(8)

(9)

02.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용ù상사에 상품 10,000,000원을 외상으ü 판매Ýì, 판매한 상품의 운반비 50,000


원은 당사¬ 부öÝí 현®으ü É¯ÝÆ다.
(2) 본사건물의 Ö재ü험을 삼성Ö재에 ¬ÈÝì ü험료 200,000원을 현® ɯÝ다.
(3) 사무실에Ý 사용할 사무용 ͺ품 300,000원을 Íý문í에Ý íÈÝì 대®은
외상으ü Ý다.(비용으ü 처리할 것)
(4) 거래처에 선물ݾ 위õÝ 한우셋ú 800,000원을 íÈÝì Ý나카üü 결제ÝÆ다.
(5) ÇÆ부 Ê원의 결혼으ü Þ의® 100,000원을 현®으ü ɯÝ다.
(6) 매장 인터넷Ö® 53,000원과 전¾Ö® 147,000원을 ü통예® 계Ì에Ý 인출Ýí
¹부Ý다.
(7) 판매Ê 사원의 ¯í 2,500,000원을 ɯÝ면Ý 근üÍý세와 주민세 110,000원,
건½ü험료 90,000원을 ì¼한 잔액을 ü통예® 통장에Ý 종Æ원의 통장으ü ×동
÷체Ý다.
(8) 사무실에Ý 사용Ý는 FAX¾¾ 250,000원, FAXÐ크 1¼ 50,000원을 íÈÝì 현®
으ü 결제Ý다. FAX¾¾는 비품으ü FAX Ð크는 ͺ품비ü 처리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234
Chapter 12. 수ø과 비용

03. 다음 거래를 분개하Þ오.

(1) î제íþ단체인 사랑나눔Þ에 현® 2.000,000원을 ¾부Ý다.


(2) 결산Þ 현®출¹장의 잔액과 비교Ýí 실제 현®÷ 30,000원 많은데 ý 원인을
파Æ할 Ú ÇõÝ, è÷ø으ü 처리Ý다.
(3) 상품¼송용 Ö물ì에 대한 ×동ì종þü험을 부천Ö재에 ¬ÈÝì 1년분 ü험료
650,000원을 현®으ü ɯÝ다.(단, ü험료 ɯ은 비용으ü 처리할 것)
(4) 당사의 장부¾장을 의뢰Ýì Ï는 세무사사무Í에 장부¾장ÚÚ료 500,000원을
ü통예®계Ì에Ý ÷체Ýí ɯÝ다.
(5) 사무실에Ý 사용할 ý사용É 100,000원을 îí완í에Ý 외상으ü íÈÝ다.(비용
처리할 것)
(6) ÇÆ용 Ö물ì의 ×동ì세 60,000원과 사장 ¼인 승용ì의 ×동ì세 80,000원을
현®으ü ¹부Ý다.(단, ¾Æ주의 ¼인É É출은 인출® 계정으ü 처리ý)
(7) 우편물 À송료 ₩6,000을 우체î에Ý 현®으ü ɯ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0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주Ö 경Ç활동으üÝ의 재Ö의 생산, 판매, 용î의 제공 등에 따른 경제É 효ø의


çÈ으üÝ ×산의 증¬ 또는 부Ì의 ¼Í 및 ý 결과에 따ÿ ×본의 증¬ü 나Ð나는
것을 의미한다.

d ×산 e 부Ì f 비용 g Úø

235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02. 거래처ü부터 7월 15일에 제품 350,000원을 매È하겠다는 전Ö 주문을 ¿고, 8월 16일


에 제품을 거래처에 인도하Æ으며, 10월 30일에 거래처ü부터 제품판매대®을 ¿았다면

÷ 거래와 관련된 수ø은 언제 인ß하는 것÷ ¬장 타당한¬?

d 7월 15일 e 8월 16일 f 10월 30일 g 12월 31일

03. Í유하고 Ï는 (¬)주ß에 대한 현®¼당®과 (나)채권에 대한 ÷×를 ¿았을 때 기È하는


계정과»으ü 바르게 연결된 것은?

d (¬) ¼당®Úø, (나) ÷×Úø


e (¬) ¼당®Úø, (나) Ì무면제÷ø
f (¬) ÷×Úø, (나) ÷×비용
g (¬) ¼당®÷×, (나) ÚÚ료Úø

04. 다음에Ý 설명하는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¾Æ÷ 경Ç활동에Ý ì½에게 재Ö나 용î을 제공Ýì ¿은 대¬ü ×본의 증¬를


¬져æ게 Ý는 원인

d 미ɯ® e 미Ú® f 매출액 g 선ÚÚø

05. 수ø인ß기준을 설명한 것 중 올바르É 않은 것은?


d Þ용매출 : 현® ÞÚÞØ
e 상품매출 : 상품인÷ÞØ
f 위Ñ판매 : ÚÑ׬ 위Ñ품을 판매한 ÞØ
g 할부매출 : 상품인÷ÞØ

06. 다음 중 ÇÅ외수ø에 해당하는 것은 몇 개인¬?

¬. ÷×Úø 나. 미ÚÚø 다. ¼당®Úø ÿ. 선Ú®

d 1¼ e 2¼ f 3¼ g 4¼

236
Chapter 12. 수ø과 비용

07. 다음 거래를 분개할 때 대변 계정과»으ü 옳은 것은?

㈜½ù는 정부ü부터 컴퓨터 5대(공정¬액 1대당 700,000원)를 증í¿았다.

d è÷ø e ü험ìø f Ì무면제÷ø g ×산Ú증÷ø

08. 다음 중 ÇÅ외수ø에 해당하É 않는 것은?


d ÷×Úø e ¼당®Úø
f Ì무면제÷ø g ×¾주ß처분÷ø

09. 다음에Ý ÇÅ÷ø을 증¬Þ킬 수 Ï는 거래ü 옳은 것을 º두 고른 것은?

ㄱ. 체è대Þ 등 사내Þ사를 ÞÍ 운Ç한다.


ㄴ. ç상증×를 통Ýí ×본®을 증¬Þ킨다.
ㄷ. 사무실의 ͺ품 및 전¾ 절þ 운동을 전¼한다.
ㄹ. 건물 등 ç형×산을 처분Ýí 현® üç액을 늘린다.

d ㄱ, ㄴ e ㄱ, ㄷ f ㄴ, ㄷ g ㄴ, ㄹ

10. 다음 중 상품의 판매ü 인해 매출수ø÷ 실현되는 ÞØ을 옳게 나타낸 것은?


d 상품을 인÷Ý는 ÞØ
e 상품의 견본품을 À송Ý는 ÞØ
f 상품을 판매ݾü 계þ을 체결한 ÞØ
g 상품을 판매ݾü Ýì 계þ®을 ¿은 ÞØ

11. 다음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8세®과공과9계정으ü 처리할 수 Ï는 것은?

 ¬. 본사건물의 재산세 나. 본사 ÇÆ부의 Æ무용ì량 ×동ì세


 다. 공장건물 취ý세 ÿ. 근ü×ü부터 원천징Ú한 근üÍý세

d ¬, 나 e ¬, 나, 다
f ¬, 나, 다, ÿ g 나, 다

237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12. 아무런 대¬ Æ÷ 무상으ü ɯ하는 ®전, 기타×산 ¬액으ü Å무와 관련 Æ÷ É출한


경우 처리해ý 할 계정과»은?

d Ù대비 e 통신비 f ¾부® g ÷×비용

13. 다음 판매비와관리비 항»의 계정과»과 ý 내용÷ 바르게 ÞÉ어진 것은?


d ÚÚ료비용-Æ무관련 우편 등¾비용
e 대손상­비-거래처 선물대®
f Ù대비-Ê원 경ø사비
g í비교통비-출장비용

14. 다음 중 ÇÅ÷ø에 Ç향을 미Þ는 계정과»으ü만 ÞÉ어진 것은?


d ü험료, è손실, Ú÷광열비 e Çì료, ÷×비용, ÚÚ료비용
f ÷Ý인쇄비, ¾부®, 광ì선전비 g 통신비, í비교통비, 세®과공과

15. 비용인ß에 É용되는 원ß으ü ¬장 올바른 것은?


d 현®주의 e 순액주의
f Úø·비용 대응의 원ß g 실현주의

16. 다음의 ×료ü 상기Å인 세무상사의 판매비와 관리비ü 계상할 ®액은 Ā마인¬?

 ý리후생비 300,000원  광ì선전비 100,000원


 ¾부® 50,000원  ç형×산처분손실 200,000원

d 50,000원 e 150,000원 f 400,000원 g 600,000원

19. 다음 중 판매비와관리비에 해당되É 않는 것은?


d 퇴ʯí
e Ù대비
f ý리후생비
g 비정상É으ü À생한 재ì×산 ¼º손실

238
Chapter 12. 수ø과 비용

17. 다음 ×료에 의하í 당기순÷ø을 계산하Þ오.

 매출액 800,000원  매출원¬ 450,000원


 ¯í 120,000원  Çì료 비용 130,000원
 ÷×Úø 10,000원  ¼×ì손 10,000원

d 100,000원 e 110,000원 f 120,000원 g 250,000원

18. 다음의 ×료ü 손ø계산Ý에 ÇÅ외비용으ü 계상할 ®액은?

 í비교통비 20,000원  ¾부® 50,000원


 외Ö환산손실 40,000원  Ù대비 30,000원

d 140,000원 e 90,000원 f 80,000원 g 50,000원

20. 다음 중 유형×산의 ¼¬상­에 대한 ÷론É 근거를 ¬장 잘 설명하고 Ï는 것은?


d 계Î성 e 비교¬·성
f Úø·비용의 대응 g ÉÞ성

21. 기Å의 ÇÅ활동의 결과 ×본을 ¼ÍÞ키는 것으ü ÞÉ어진 것은?


d 외상매출®, 당Ì예® e 장¾ìÈ®, ¼À비
f 프랜ì÷É, ÈØ권 g ¾부®, Ù대비

22. 다음 거래를 분개할 때 차변 계정과»÷ 세®과공과인 거래를 º두 고른 것은?

ㄱ. Æ무용 승용ì를 íÈÝ면Ý 취ý세 70,000원을 현®으ü ¹부Ý다.


ㄴ. 사무실 전Ö Ö® 50,000원을 현®으ü ¹부Ý다.
ㄷ. ÇÆ용 건물에 대한 재산세 100,000원을 현®으ü ¹부Ý다.

d ㄱ e ㄴ f ㄱ, ㄴ g ㄷ

239
| Part 02 | 계정과»별 회계처리

240
Chapter 12. 수ø과 비용

241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 Chapter 13 |

결산

1 결산의 의의 및 절차

¾Æ은 경Ç활동에 따ÿ À생Ý는 거래를 분¼장에 분¼Ýì 총계정원장에 전¾Ýì Ï다.


ý러나 ÷것만으ü는 ¾Æ의 재무상Ü와 경Ç성과를 명×Ý게 파ÆÝ¾ 곤란ݾ 때문에
인위É으ü Þ계¾간을 정Ýì Þ계¾말에 ­종 장부를 정리Ýì ù¼Ýí 알¾ 쉽게 체계Ö
할 필Ö¬ Ï다. ÷와 ½÷ Þ계¾말에 장부를 ù¼Ýí ×산, 부Ì, ×본의 상Ü를 정리Ýì,
À생한 Úø과 비용을 비교Ýí 경Ç성과를 체계É으ü 파ÆÝ는 일련의 절ì를 결산(closin
g)÷ÿì 한다.
결산의 의의와 절ì, Þ산표와 정산표의 의의와 Ø성, 장부의 ù¼에 대Ýí는 앞Ý 제4장
에Ý ÷미 설명ÝÆ다. 따ÿÝ 본장에Ý는 ×산·부Ì계정 및 Úø·비용계정의 결산정리분
¼에 대Ýí ¾술한다. 또한 경산정리분¼를 반Ç한 정산표 Ø성과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
Ø성에 대Ýí ¾술한다.

242
Chapter 13. 결산

2 결산정리

1) 결산정리의 의의

결산일에 ¾Æ의 재무상Ü와 경Ç성과를 정×Ý게 파ÆÝ¾ 위õÝ ÷미 ¾ý된 Þ계ÚÞ


의 일부를 Ú정Ý거나 ݬü ¾ýõ주õý Ý는데 ÷를 결산정리사항÷ÿ 한다. 또 결산정
리사항을 분¼Ýí 원장에 전¾Ý는 것을 결산정리¾È÷ÿ 한다.
결산정리사항은 ­ ¾Æ의 ÇÆ성­에 따ÿ 다르É만 일반É으ü ×산에 관한 결산정리와
손ø에 관한 결산정리ü í분할 Ú Ï다.

2) ×산에 관한 결산정리

×산에 관한 결산정리는 현®계정의 정리, ç¬증권의 공정¬평¬, Ú취Ì권에 대한 대손


충당® 설정, 재ì×산의 매출원¬ 계상, 비ç동×산의 상­비 계상, ¬É¯®과 ¬Ú®의
정리, ͺ품계정의 정리, 비ç동부Ì의 ç동성대체 등÷ Ï다.

재ì×산은 상품계정에Ý 매출원¬를 산정Ý는 방½과 3분½에 의Ýí 매출원¬를 산정Ý


는 방½÷ Ï다.

구분 차변 대변
2분½ 상품매출원¬ ××× 상 품 ×××
¾Í 매 È ××× ÷ 월 상 품 ×××
3분½
¾말 ÷ 월 상 품 ××× 매 È ×××

현®은 장부잔액과 실제잔액÷ 일ÞÝíý ÝÉ만 í러 ¬É 원인에 의Ýí ì÷¬ À생할 Ú


Ï다. 만þ 결산Þ까É 원인을 Á히É 못한 경우에는 è손실 또는 è÷ø으ü 대체Þ켜ý 한다.

243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장부잔액 > 실제잔액 장부잔액 < 실제잔액


구분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과부ù
현®과부ù ××× 현 ® ××× 현 ® ××× 현®과부ù ×××
À생Þ
원인 ×인Þ ×인된 계정 ××× 현®과부ù ××× 현®과부ù ××× ×인된 계정 ×××
결산Þ
è 손 실 ××× 현®과부ù ××× 현®과부ù ××× è ÷ ø ×××
미×인분의 정리
결산Þ 과부ù의
è 손 실 ××× 현 ® ××× 현 ® ××× è ÷ ø ×××
À생

ü통예®통장별ü 잔액×인 및 거래내î을 øÞÝí ü통예®의 거래내î과 일ÞÝ는É를


비교Ýí 누Ā되는 일÷ Ç÷ý 한다. ü통예®의 (-)잔액÷나 당Ìì월의 경우 ¾중에는
(-)잔액으ü 표ÞÝÆ다¬ 결산Þ <단¾ìÈ®=으ü 대체한다.

구분 차변 대변
ü통예®의 (-)잔액 ü 통 예 ® ××× 단 ¾ ì È ® ×××
당Ìì월계정 잔액 당 Ì ì 월 ××× 단 ¾ ì È ® ×××

¬É¯®, ¬Ú®은 계정과»÷나 ®액을 ×인할 Ú Ç을 때 사용Ý는 ÇÞ계정으ü 결산


Þ 반üÞ 정리õý 한다.

구분 차변 대변
¬É¯®의 정리 õ당 계정과» ××× ¬ É ¯ ® ×××
¬Ú®의 정리 ¬ Ú ® ××× õ당 계정과» ×××

ç¬증권은 결산Þ ¾말의 공정¬Þ(Þ¬)ü 평¬Ý며, ÷때 Þ¬는 재무상Ü표일 현재의


종¬에 의한다. 다만, 재무상Ü표일 현재의 종¬¬ Ç는 경우에는 Ê전 거래일의 종¬에 의한다.

장부잔액 > 공정¬치 장부잔액 < 공정¬치


구분
차변 대변 차변 대변
단¾매매증권평¬ 단¾매매증권평¬
단¾매매증권 단¾매매증권 ××× 단¾매매증권 ×××
손실 ××× ÷ø ×××
매÷¬·증권평¬ 매÷¬·증권평¬
매÷¬·증권 매÷¬·증권 ××× 매÷¬·증권 ×××
손실 ××× ÷ø ×××

244
Chapter 13. 결산

결산Þ 매출Ì권의 내용을 검토Ýí 전혀 ÞÚ¬·성÷ Ç는 Ì권÷나, 전액 ÞÚ¬ õ¼


운 Ì권은 Í정의 절ì를 밟ì 장부¬액을 대손처리Ý든¬(대손상­비) 또는 필Ö한 ¼위내
에Ý 대손충당®을 설정Ýíý 한다. ÷ 경우에 일반É인 상거래에Ý À생한 매출Ì권에
대한 대손상­은 판매비와 관리비(대손상­비)ü ¾ýÝì, ¾ÐÌ권에 대한 대손상­은 Ç
Æ외비용(¾Ð의 대손상­비)으ü ¾ý한다.

대손충당금 설정액 : (매출채권 등 잔액 × 대손추정율) - 대손충당금 잔액 = 추¬설정액

구분 차변 대변
대손충당® 잔액÷ Ç을 경우 대 손 상 ­ 비 ××× 대손충당® ×××
대손예상액 > 대손충당® 잔액 대 손 상 ­ 비 ××× 대손충당® ×××
대손예상액 = 대손충당® 잔액 분¼Ç음
대손예상액 < 대손충당® 잔액 대 손 충 당 ® ××× 대손충당®환È ×××

결산Þ ç형×산과 무형×산에 대Ýí 당¾ 상­¼위액을 계산Ýí 결산에 반Ç한다.

구분 차변 대변
ç형×산의 ¼¬상­ (간Ù½) ¼¬상­비 ××× ¼¬상­누계액 ×××
무형×산의 상­ (ÊÙ½) 무형×산상­비 ××× 무 형 × 산 ×××

결산Þ Íº품(×산) 또는 ͺ품비(비용)에 대한 재ìø사를 Ýí ×산인 ͺ품으ü


¾ý한 경우에는 사용분을 비용인 ͺ품비ü 대체Ýì, 비용인 ͺ품비ü ¾ý한 경우에는
미사용분÷ Ï으면 ×산인 ͺ품에 ¸÷ý 대체한다.

구분 차변 대변
íÈÞ Í º 품 ××× 현 ® ×××
×산으ü ¾ý한 경우
결산Þ Íº품비 ××× Í º 품 ×××
íÈÞ Íº품비 ××× 현 ® ×××
비용으ü ¾ý한 경우
결산Þ Í º 품 ××× Íº품비 ×××

245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결산Þ 장¾ìÈ®, 사Ì 중에Ý 1년 ÷내에 상환되õý 할 부분은 ç동성장¾부Ìü 대체


한다.
(ì) 장¾ìÈ® ××× (대) ç동성장¾부Ì ×××

3) 손ø에 관한 결산정리

손ø에 대한 결산정리ü Úø·비용의 ÷연과 예상÷ õ당된다.

당¾에 ÎÝ는 Úø÷ 결산일까É ÅÊ ÚÈ되É Å니한 ®액은 õ당 Úø계정 대변에


¾ÈÝí 당¾의 Úø에 포ýÞ키ì, 미ÚÚø계정 ì변에 ¾ÈÝí ì¾ü ÷월한다. ÷것
을 8Úø의 예상9÷ÿ 한다. Úø의 예상에는 미Ú÷×, 미ÚÇ대료 등÷ Ï다.

구분 차변 대변
¾중 Þ계처리 분¼Ç음
결산정리분¼ 미ÚÚø(×산증¬) ××× ÷×Úø(ÚøÀ생) ×××

당¾에 ÎÝ는 비용÷ 결산일까É ÅÊ É¯되É 않은 ®액은 õ당 비용계정의 ì변에


¾ÈÝí 당¾ 비용으ü 계상Ýì 동일 ®액을 미ɯ비용계정의 대변에 ¾ÈÝí ì¾ü
÷월Ýíý 한다. ÷것을 8비용의 예상9÷ÿ 한다. ÷러한 미ɯ비용에는 미ɯ÷×, 미ɯ
Çì료, 미ɯ세®과공과®, 미ɯÚÚ료 등÷ Ï다.

구분 차변 대변
¾중 Þ계처리 분¼Ç음
결산정리분¼ ÷×비용(비용À생) ××× 미ɯ비용(부Ì증¬) ×××

당¾ 중 ÷미 ¿은 Úø 중 ì¾분에 ÎÝ는 ®액은 당¾의 Úø에Ý ì¼Ýí 선ÚÚø계

246
Chapter 13. 결산

정 대변에 대체Ýí ì¾ü ÷월Ý는 것을 8Úø의 ÷연9÷ÿ한다. ÷러한 Úø의 선Ú분은


8선ÚÚø9에 표¾한다. 선ÚÚø에는 선ÚÇ대료, 선Ú÷×, 선ÚÚÚ료 등÷ Ï다.

구분 차변 대변
¾중 Þ계처리 현 ®(×산증¬) ××× Ç 대 료(ÚøÀ생) ×××
결산정리분¼ Ç대료(ÚøÍ멸) ××× 선ÚÚø(부Ì증¬) ×××

당¾ 중 ÷미 ɯ한 비용중 ì¾에 ÎÝ는 ®액은 당¾ 비용에Ý ì¼Ýí ×산계정인


선¯비용계정 ì변에 대체Ýí ì¾ü ÷월Ýíý Ý는데 ÷것을 8비용의 ÷연9÷ÿì 한다.
선¯비용은 ì¾의 첫 날짜에 õ당비용계정 ì변에 다Þ 대체Ýíý 한다. 선¯비용에 ÎÝ
는 것은 선¯Çì료, 선¯ü험료, 선¯÷× 등÷ Ï다.

구분 차변 대변
¾중 Þ계처리 ü 험 료(비용À생) ××× 현 ®(×산¼Í) ×××
결산정리분¼ 선¯비용(×산증¬) ××× ü험료(비용Í멸) ×××

½인세비용은 ½인세비용ì¼전순손ø에 ½인세½ 등의 ½령에 의Ýí 과세할 세율을 É


용Ýí 계산한 ®액으ü Ý며 ½인세에 부¬Ý는 세액을 포ý한다. 중;Æ은 일반¾ÆÞ계
¾준의 중;Æû례규정에 의õ ½인세비용÷ Å닌 <½인세등= 과»으ü Þ계처리한다. ¾
말결산Þ ½인세Ý산액÷ 선¹세®ü다 큰 경우에는 선¹세®을 ½인세 등으ü 대체Ýì
나머É는 미ɯ세®으ü 처리한다.
구분 차변 대변
½ 인 세 중 간 예 ¹ 액 선¹세® ××× 현 ® ×××
½ 인 세 원 천 징 Ú 액 선¹세® ××× 현 ® ×××
결 산 Þ ½인세등 ××× 선¹세® ×××
½인세 계상액 - 선¹세® ½인세등 ××× 미ɯ세® ×××

247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13-1 결산정리분개

다음 수정전 잔액Þ산표의 일부를 ×료ü 하í 결산정리분개하Þ오.

잔액Þ산표
½ù상사 20×1년 12월 31일 (단위:원)
차변 계정과» 대변
4.000.000 외 상 매 출 ®
대 손 충 당 ® 18,000
300,000 단 ¾ 매 매 증 권
20,000 현 ® 과 부 ù
8,000,000 상 품
3,000,000 비 품
¼ ¬ 상 ­ 누 계 액 1,500,000
Ç 대 료 1,200,000
120,000 ü 험 료
250,000 Í º 품 비

(1) ¾말상품재ì액은 ₩2,000,000÷다.


(2) 외상매출®잔액에 대Ýí 1%의 대손충당®을 설정Ý다.
(3) 단¾매매증권 ¾말공정¬액은 ₩350,000÷다.
(4) 현®과부ù계정을 정리Ý다.
(5) 비품 당¾ ¼¬상­비 계상액은 ₩300,000÷다.
(6) 결산Þ Íº품 미사용액은 ₩100,000÷다.
(7) 20×1년 10월 1일에 Æ무용 ì량의 1년분(20×1년 10월~20×2년 9월) ×동ì종þü
험료 ₩120,000을 É¯ÝÆ다.
(8) 단¾ìÈ®에 대한 ¾간경과분 ÷× ₩60,000÷ 장부에 미계상되É다.
(9) Ç대료에는 내년÷분 Ç대료 ₩400,000÷ 포ý되õ Ï다.
(10) 단¾대í®에 대한 ÷× 미Ú ₩15,000을 장부에 계상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248
Chapter 13. 결산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9)
(10)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상 품 매 출 원 ¬ 6,000,000 상 품 6,000,000
(2) 대 손 상 ­ 비 22,000 대 손 충 당 ® 22,000
(3) 단 ¾ 매 매 증 권 50,000 단¾매매증권평¬÷ø 50,000
(4) è 손 실 20,000 현 ® 과 부 ù 20,000
(5) ¼ ¬ 상 ­ 비 300,000 ¼ ¬ 상 ­ 누 계 액 300,000
(6) Í º 품 100,000 Í º 품 비 100,000
(7) 선¯ü험료(선¯비용) 90,000 ü 험 료 90,000
(8) ÷ × 비 용 60,000 미 É ¯ 비 용 60,000
(9) Ç 대 료 400,000 선ÚÇ대료(선ÚÚø) 400,000
(10) 미Ú÷×(미ÚÚø) 15,000 ÷ × Ú ø 15,000

* (1) Þ산표상 상품잔액 8,000,000 – 기말재고액 2,000,000 = 상품매출원¬ 6,000,000


(2) 기말 외상매출® 잔액 4,000,000×대손률 1%-기 설정 잔액 18,000=ݬ설정액 22,000
(3) 장부¬액 300,000 < 기말공정¬액 350,000 = 단기매매증권평¬÷ø 50,000

3 기말결산정리 종합예제

½마상사의 20×1년도말 총계정원장 계정잔액과 결산정리사항은 다음과 같다. 결산정리분


개를 한 후 8위ß 정산표를 Ø성하고 재무제표를 Ø성하Þ오.

<총계정원장 계장잔액>
현 ® 200,000 당Ì예® 130,000 외상매출® 700,000
단¾매매증권 450,000 상 품 800,000 건 물 1,200,000
¼¬상­누계액 400,000 외상매È® 500,000 É ¯ õ 음 200,000
× 본 ® 1,000,000 상 품 매 출 1,500,000 Ç 대 료 240,000
÷ × Ú ø 120,000 ¯ í 300,000 Ç ì 료 120,000
ü 험 료 24,000 è 비 16,000

249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결산정리사항>
(1) ¾말상품재ì액 ₩200,000
(2) 건물¼¬상­(내용연Ú 20년, 잔존¬액 ₩0, 정액½)
(3) 매출Ì권잔액의 2% 대손예상
(4) 단¾매매증권의 공정¬Þ ₩500,000
(5) ü험료 ¾간미경과액 ₩10,000
(6) ÷×선Ú액 ₩4,000
(7) ¯í 미ɯ액 ₩30,000
(8) Ç대료 미Ú액 ₩20,000
위의 결산정리사항에 대õ 결산정리분¼를 Ý면 다음과 ½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상 품 매 출 원
¬ 600,000 상 품 600,000
(2) ¼ ¬ 상 ­ 비 60,000 ¼ ¬ 상 ¬ 누 계 액 60,000
(3) 대 손 상 ­ 비 14,000 대 손 충 당 ® 14,000
(4) 단 ¾ 매 매 증
권 50,000 단¾매매증권평¬÷ø 50,000
(5) 선 ¯ ü 험 료 10,000 ü 험 료 10,000
(6) ÷ × Úø 4,000 선 Ú ÷ × 4,000
(7) ¯ í 30,000 미 É ¯ ¯ í 30,000
(8) 미 Ú Ç 대 료 20,000 Ç 대 료 20,000

총계정원장의 계정잔액과 결산정리분¼를 토대ü 정산표를 다음과 ½은 절ìü Ø성


한다.

 1단계(잔액Þ산표의Ø성) : 잔액Þ산표의 계정과»과 ®액을 정산표 왼쪽 잔


액Þ산표란에 옮¬ É는다.
 2단계(결산정리분¼의 ¾È) :결산정리사항별ü 분¼Ýí 결산정리분¼(Ú정
분¼)란에 ¾È한다. 결산정리분¼ 과정에Ý Èü ݬ된 계정과»÷ Ï으면
계정과» Ý단의 빈칸에 ݬü ¾재한다.
 3단계(정리후Þ산표의 Ø성) 잔액Þ산표란의 ®액에 결산정리분¼란의 ®액을
¬¼Ýí 정리후Þ산표란에 ¾È한다. 만þ에 8위ß 정산표를 Ø성할 경우는
3단계의 정리후Þ산표는 생략한다.
 4단계(정리후Þ산표 잔액을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에 옮¾¾) : 정리후Þ산
표에Ý Úø과 비용계정은 손ø계산Ý란에 옮¬ Éì, ×산, 부Ì, ×본계정은
재무상Ü표란에 옮¬ É는다.
 5단계(손ø계산Ý에Ý 당¾순손ø 계산) : 손ø계산Ý의 ì변의 비용 þ계와
대변의 Úø þ계 간의 ì÷는 당¾순손ø÷다. Úø Ê 대변 þ계¬ 비용인

250
Chapter 13. 결산

ì변의 þ계ü다 크면 당¾순÷ø÷ì, 반대의 경우에는 당¾순손실÷다.


 6단계(재무상Ü표에Ý 당¾순손ø 계산) : 재무상Ü표 ì변의 ×산®액을 þ
계Ýì 대변의 부Ì 및 ×본®액을 þ계한다. ì변과 대변 ®액의 ì액을 í
Ýí 5단계에Ý í한 ì액과 일ÞÝ는É ×인한다.
 7단계(당¾순손ø의 ¾ý) : 손ø계산Ý에Ý í한 당¾순손ø과 재무상Ü표에
Ý í한 당¾순손ø÷ 일ÞÝ면 동액을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의 ì변과 대
변에 ¾ýÝí ­ ì변 þ계액과 대변 þ계액을 일ÞÞ킨다.

정 산 표
½ù상사 (단위:원)
잔액Þ산표 결산정리분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계정과»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 200,000 200,000
당 Ì 예 ® 150,000 150,000
외 상 매 출 ® 700,000 700,000
단 ¾ 매 매 증 권 450,000 g 50,000 500,000
상 품 800,000 d600,000 200,000
건 물 1,200,000 1,200,000
¼¬상­누계액 400,000 e 60,000 460,000
외 상 매 È ® 500,000 500,000
É ¯ õ 음 200,000 200,000
× 본 ® 1,000,000 1,000,000
상 품 매 출 1,500,000 1,500,000
Ç 대 료 240,000 k 20,000 260,000
÷ × Ú ø 120,000 i 4.000 116,000
¯ í 300,000 j 30,000 330,000
Ç ì 료 120,000 120,000
ü 험 료 24,000 h 10,000 14,000
è 비 16,000 16,000
3,960,000 3,960,000
상 품 매 출 원 ¬ d600,000 600,000
¼ ¬ 상 ­ 비 e 60,000 60,000
대 손 상 ­ 비 f 14,000 14,000
대 손 충 당 ® f 14,000 14,000
단¾매매증권평¬÷ø g 50,000 50,000
선 ¯ ü 험 료 h 10,000 10,000
선 Ú ÷ × i 4,000 4,000
미 É ¯ ¯ í j 30,000 30,000
미 Ú Ç 대 료 k 20,000 20,000
( 당 ¾ 순 ÷ ø ) 772,000 772,000
þ 계 788,000 788,000 1,926,000 1,926,000 2,980,000 2,980,000

251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정산표의 Ø성÷ 완료되면 정산표에 ¾ý된 것을 ý대ü ÷용Ýí 재무상Ü표와


손ø계산Ý를 Ø성할 Ú Ï다. 계정과»의 명칭, ¼열순Ý 등을 일부 ø정Ýì ×
본® 계정은 ¾Í잔액과 당¾순손ø을 þ계한 ®액으ü ¾ýÝíý 한다. 예컨대
계정과»의 통þ Ê, 현® 등의 통þ, 외상매출®과 ¿을õ음의 통þ, 외상매È®과
ɯõ음의 통þ, Úø·비용의 ÷연 및 예상항»의 통þ 등을 õý할 경우¬ Ï
다.
예제에Ý Ø성된 정산표를 토대ü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를 Ø성Ý면 다음과 ½다.

손ø계산서
½ù상사 20×1.1.1 ~ 20×1.12.31 (단위:원)
1. 상품매출액 1,500,000
2. 상품매출원¬
¾Í상품재ì액
당¾상품매È액 800,000
¾말상품재ì액 (200,000) (600,000)
3. 매출총÷ø 900,000
4. 판매비와관리비
¯í 330,000
Çì료 120,000
ü험료 14,000
¼¬상­비 60,000
대손상­비 14,000
è비 16,000 (554,000)
5. ÇÆ외Úø
Ç대료 260,000
÷×Úø 116,000
단¾매매증권평¬÷ø 50,000 426,000
6. ÇÆ외비용 -
7. 당¾순÷ø 772,000

재무상태표
½ù상사 20×1.12.31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ç동×산 부Ì
현®및현®성×산 350,000 매ÈÌ무 700,000
매 출 Ì 권 700,000 선ÚÚø 4,000
대 손 충 당 ® (14,000) 686,000 미ɯ비용 30,000
단 ¾ 매 매 증 권 500,000 부Ìþ계 734,000

252
Chapter 13. 결산

선 ¯ 비 용 10,000 ×본
미 Ú Ú ø 20,000 ×본® 1,772,000
상 품 200,000 ×본þ계 1,772,000
ç 동 × 산 þ 계 1,766,000
비ç동×산
건 물 1,200,000
¼¬상­누계액 (460,000) 740,000
비ç동×산þ계 740,000
×산þ계 2,506,000 부Ì와 ×본þ계 2,506,000

253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연습문제

01. 다음의 수정전 þ계잔액Þ산표를 ×료ü 결산정리분개를 수행하Þ오.

합계잔액Þ산표(수정전)
㈜½ù 20×1년 12월 31일 (단위:원)
차변 대변
계정과»
잔액 합계 합계 잔액
84,000 204,000 현 ® 120,000
30,000 180,000 당 Ì 예 ® 150,000
200,000 300,000 외 상 매 출 ® 100,000
대 손 충 당 ® 3,000 3,000
100,000 100,000 단 ¾ 매 매 증 권
110,000 110,000 미 Ú ®
450,000 450,000 상 품
400,000 400,000 건 물
¼ ¬ 상 ­ 누 계 액 80,000 80,000
100,000 100,000 ì 량 운 반 í
¼ ¬ 상 ­ 누 계 액 20,000 20,000
외 상 매 È ® 100,000 100,000
미 É ¯ ® 130,000 130,000
× 본 ® 700,000 700,000
상 품 매 출 537,000 537,000
÷ × Ú ø 60,000 60,000
76,000 76,000 ¯ í
36,000 36,000 Ç ì 료
24,000 24,000 ü 험 료
20,000 20,000 Í º 품 비
1,630,000 2,000,000 þ 계 2,000,000 1,630,000

<결산정리사항>
(1) 단¾매매증권의 ¾말 공정¬액 ₩80,000
(2) 매출Ì권잔액에 대Ýí 2% 대손예상

254
Chapter 13. 결산

(3) ¾말상품재ì액 ₩150,000


(4) 건물 ¼¬상­비(내용연Ú 20년, 잔존¬액 ₩0, 정액½)
(5) ì량운반í ¼¬상­비(내용연Ú 5년, 잔존¬액 ₩0, 정액½)
(6) 종Æ원¯í 미ɯ액 ₩8,000
(7) ü험료 중 선¯액 ₩15,000
(8) ÷×Úø 중 선Ú액 ₩20,000
(9) 퇴ʯí Ý계액 ₩25,000
(10) ͺ품 미사용액 ₩6,000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9)
(10)

02. 다음의 수정전 잔액Þ산표를 ×료ü 결산정리분개를 수행하Þ오.

잔액Þ산표(수정전)
현 ® 334,000 대 손 충 당 ® 6,000
외 상 매 출 ® 500,000 ( 건물) ¼¬상­누계액 600,000
단 ¾ 매 매 증 권 400,000 외 상 매 È ® 324,000
미 Ú ® 150,000 단 ¾ ì È ® 570,000
단 ¾ 대 í ® 300,000 × 본 ® 1,000,000
Í º 품 60,000 상 품 매 출 800,000
상 품 500,000 Ç 대 료 200,000
건 물 1,000,000
¯ í 200,000
ü 험 료 36,000
÷ × 비 용 20,000
3,500,000 3,500,000

255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결산정리사항>

(1) 단¾매매증권의 ¾말 공정¬액은 ₩350,000÷다.


(2) ¾말상품재ì액은 ₩150,000÷다.
(3) 매출Ì권잔액에 대Ýí 2% 대손을 예상Ý다.
(4) ͺ품 사용액은 ₩45,000÷다.
(5) 건물 ¼¬상­은 취ý원¬의 연 5%를 계상Ý다.
(6) ÷×미ɯ액은 ₩5,000÷다.
(7) ü험료 미경과액은 ₩12,000÷다.
(8) Ç대료 선Ú분은 ₩60,000÷다.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03. 다음 무½상사의 20×1년 12월 31일 수정전 잔액Þ산표를 ×료ü 결산정리분개하고, 8


위ß 정산표와 재무제표를 Ø성하Þ오.

잔액Þ산표(수정전)
현 ® 120,000 ¬ Ú ® 70,000
외 상 매 출 ® 600,000 외상매출® 대손충당® 10,000
¿ 을 õ 음 200,000 건물¼¬상­누계액 600,000
단 ¾ 매 매 증 권 150,000 비품¼¬상­누계액 80,000
현 ® 과 부 ù 6,000 외 상 매 È ® 256,000
¬ É ¯ ® 60,000 × 본 ® 1,000,000
상 품 300,000 상 품 매 출 900,000
건 물 1,000,000 Ç 대 료 36,000
비 품 200,000 Ú Ú 료 Ú ø 18,000
¯ í 250,000
Í º 품 비 30,000
ü 험 료 12,000
Ç ì 료 24,000
÷ × 비 용 18,000
2,970,000 2,970,000

256
Chapter 13. 결산

<결산정리사항>
(1) 단¾매매증권의 ¾말 공정¬액은 ₩180,000÷다.
(2) ¾말상품재ì액은 ₩80,000÷다.
(3) 매출Ì권잔액에 대Ýí 2% 대손을 예상Ý다.
(4) ¬É¯®은 í비교통비ü 판명되다.
(5) ¬Ú®은 외상매출® ÞÚ액으ü 판명되다.
(6) 현®과부ù계정을 정리Ý다.
(7) ͺ품 미사용액은 ₩12,000÷다.
(8) 건물 ¼¬상­은 취ý원¬의 연 5%를 계상Ý다.
(9) 비품 ¼¬상­은 취ý원¬의 연 10%를 계상Ý다.
(10) ÷×미ɯ액은 ₩6,000÷다.
(11) Çì료 미경과액은 ₩8,000÷다.
(12) ÚÚ료 미Ú액은 ₩5,000÷다.
(13) Ç대료 선Ú분은 ₩8,000÷다.

1) No 차변과» ®액 대변과» ®액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2) 정 산 표
무½상사 (단위:원)
잔액Þ산표 결산정리분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계정과»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
외상 매출 ®
대손 충당 ®
¿ 을 õ 음
단¾매매증권
현® 과부 ù

257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 É ¯ ®
상 품
건 물
¼¬상­누계액
비 품
¼¬상­누계액
¬ Ú ®
외상 매È ®
× 본 ®
상 품 매 출
Ç 대 료
ÚÚ 료Ú ø
¯ í
Í º 품 비
ü 험 료
Ç ì 료
÷ × 비 용

þ 계
손ø계산서
무½상사 20×1.1.1 ~ 20×1.12.31 (단위:원)
1. 상 품 매 출 액
2. 상 품 매 출 원 ¬
¾ Í 상 품 재 ì 액
당 ¾ 상 품 매 È 액
¾ 말 상 품 재 ì 액
3. 매 출 총 ÷ ø
4. 판 매 비 와 관 리 비
¯ í
Ç ì 료
ü 험 료
¼ ¬ 상 ­ 비
대 손 상 ­ 비
Í º 품 비
í 비 교 통 비
5. Ç Æ 외 Ú ø
Ç 대 료
Ú Ú 료 Ú ø
단¾매매증권평¬÷ø
6. Ç Æ 외 비 용
÷ × 비 용
è 손 실
7. 당 ¾ 순 ÷ ø

258
Chapter 13. 결산

재무상태표
무½상사 20×1.12.31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01. 다음 중 결산의 본 절차와 거리¬ 먼 것은?


d 총계정원장의 ù¼ e 분¼장 ù¼
f ¾Ð장부의 ù¼ g 재ìø사표 Ø성

02. 다음 내용에Ý 결산 절차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A. 분¼장 Ø성
 B. 총계정원장 ­ 계정 ù¼
 C. 손ø계산Ý와 재무상Ü표 Ø성

d A→B→C e A→C→B
f B→A→C g B→C→A

259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03. 다음은 ㈜세무의 회계 ö당׬ 행한 결산 Å무의 일부÷다. ÷에 나타난 회계 순환 과정


Å무 내용으ü 옳은 것은?

결산 Þ Þ계 ö당׬ 분¼장의 내용과 원장으ü의 전¾¬ 정×Ý게 ÷루õ졌는É


를 ×인Ý는 Ú계표÷다. ì변에는 ×산, 비용 ý리ì 대변에는 부Ì, ×본, Úø을
¾ý한다.

d Þ산표의 Ø성 e 분¼장의 ù¼
f 재무상Ü표 Ø성 g 총계정원장의 ù¼

04. 다음 중 Þ산표를 Ø성할 때 À견할 수 Ï는 오류ü 옳은 것은?


d 한 ¼의 거래를 íæü 누Ā한 경우
e 한 ¼의 거래를 중ýõÝ ¾ý한 경우
f ì변 또는 대변 õ느 한쪽만 전¾한 경우
g ì변과 대변 계정과»을 ¼꾸õ 전¾한 경우

05. 다음 ü험료와 관련된 결산 오류 내용을 정정하É 않았을 경우 결산Þ 손ø계산Ý에 표Þ


되는 ÇÅ÷ø에 미Þ는 Ç향으ü 옳은 것은? (단, 회계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É÷며, 제Þ된 ×료 외에는 고려하É 않는다.)

 3월 1일 : Æ무용건물에 대한 Ö재ü험료 1년분 120,000원을 현®으ü ɯ(비


용처리)
 12월 31일 : 위 ü험료에 대한 결산 정리 분¼를 ÝÉ 않ì 결산을 ÚÞ

d 10,000원 과대계상 e 10,000원 과Í계상


f 20,000원 과대계상 g 20,000원 과Í계상

06. 당기순÷ø 100,000원÷ 계산되È으나 다음과 같은 누Ā 및 오류 사항÷ À견되È다. 수


정 후의 정×한 당기순÷ø을 계산하면 Ā마인¬?

 Çì료 선¯분 7,000원  대í® ÷× 선Ú분 3,000원

d 90,000원 e 96,000원 f 104,000원 g 110,000원

260
Chapter 13. 결산

07. 다음 ×료는 세무상사의 결산×료÷다. 결산ø정 후 당기순÷ø은 Ā마인¬?

 결산ø정 전 당¾순÷ø 400,000원


 미인ß된 미Ú÷× 200,000원
 ü험료 É¯Þ 전액 비용 처리한 선¯ü험료 300,000원

d 300,000원 e 500,000원 f 600,000원 g 900,000원

08. 다음 ×료에 따ÿ 12월 31일 결산 분개ü 옳은 것은? (단, 월할계산으ü ¬정ý)

 10월 1일에 1년분 ü험료 1,200,000원을 당ÌÚ표를 ÀÞÝí ɯÝì 다음


과 ½÷ 분¼ÝÆ다.
(ì변) ü험료 1,200,000원 (대변) 당Ì예® 1,200,000원

d (ì) 선¯ü험료 900,000원 (대) ü험료 900,000원


e (ì) 선¯ü험료 300,000원 (대) ü험료 300,000원
f (ì) ü험료 900,000원 (대) 미ɯü험료 900,000원
g (ì) ü험료 300,000원 (대) 미ɯü험료 300,000원

09. 다음 중 기말 결산 Þ É절한 대체 분개를 하í 재무상Ü표에 나타나É 않아ý 되는 항»은?


d 선Ú® e 선¯® f 예Ú® g ¬É¯®

10. 회사는 ͺ품 íÈ Þ 전액 비용으ü 처리한 후 기말 ͺ품 실사를 통해 잔액을 ͺ품


계정으ü 대체하는 회계처리를 수행하고 Ï다. 다음 계정을 통해 당기 ͺ품비를 í하면

Ā마인¬?

ͺ품비
3/1 미ɯ® 350,000 12/31 ͺ품 100,000

d 100,000원 e 450,000원 f 350,000원 g 250,000원

261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 Chapter 14 |

재무제표

1 재무제표의 의의와 종류

1) 재무제표의 의의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는 주주, 투××, Ì권×, 정부 등 다양한 ÷õ관계×들에게


기Å의 경제É 정ü를 전달Ý는 ö심É인 ü고수단을 말한다.

2) 재무제표의 종류

재무제표는 재무ü고의 ö심수단÷다. 재무제표는 일정ÞØ의 재무상태를 나Ð내는 재무


상태표와 일정기간의 경Ç성과를 나Ð내는 손ø계산Ý 그리고 같은 기간 동안의 현®흐름정
ü를 나Ð내는 현®흐름표 및 ×본변동내î을 나Ð내는 ×본변동표, 주Þ으ü í성된다.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란 û정ÞØ의 기Å에 대한 재무상태를 나Ð내


는 정태É ü고Ý를 말한다. 재무상태표는 기Å÷ Í유Ý고 Ï는 경제É ×원(×산), 그 경제É
×원에 대한 의무(부Ì) 및 Í유주É분(×본)에 관한 정ü를 제공한다. û히 Þ계정ü÷용×들

262
Chapter 14. 재무제표

÷ 기Å의 유동성, 재무É 탄력성, 수ø성과 위험 등을 평¬Ý는 데 유용한 정ü를 제공한다.


재무상태표의 차변인 ×산은 기Å÷ ø달한 ×본을 어떻게 운용ÝÆ는¬를 üí주며, 대변
인 부Ì와 ×본은 기Å÷ 어떻게 ×본을 ø달ÝÆ는¬를 üí준다.

손ø계산Ý(statement of income)는 일정기간 동안의 기Å의 경Ç성과를 ü고Ý는 동태É


ü고Ý를 말한다. 손ø계산Ý는 재무상태표와 ý께 ¬장 중요한 재무제표 중의 Ý나ü써
일정기간 동안의 기Å의 경Ç성과 즉, ÇÅ활동결과ü 얻어진 손ø에 대한 정ü를 표ÞÝí
주는 Þ계ü고Ý÷다. 손ø계산Ý는 기Å의 경Ç성과를 평¬할 수 Ï는 정ü 중에Ý û히
수ø성 평¬에 Ï어Ý ¬장 중요한 É표¬ 되는 당기순÷ø을 나Ð내주는 Þ계ü고Ý÷다.

현®흐름표(statement of cash flow)는 일정기간 동안 기Å의 ÇÅ활동 및 투×활동, 재무


활동으ü 인한 현®및현®성×산의 변동내용을 나Ð내는 동태É ü고Ý를 말한다. 현®흐름
표는 기Å실체의 현®É¯능력, 수ø성 및 위험을 평¬Ý는 데 유용Ý다. 아울러 í러 기Å실
체의 미래현®흐름의 현재¬Þ를 비교Ýí 기ŬÞ를 평¬Ý는데 필요한 기초×료를 제공
한다. 현®흐름표는 현®주의 È장에Ý Ø성Ý는 Þ계ü고Ý÷다.

×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 in equity)란 Þ계기간 동안 À생한 Í유주É분의 변동을


표ÞÝ는 재무ü고Ý를 말한다. ×본변동표는 ×본을 í성Ý고 Ï는 ×본®, ×본Ðí®,
×본ø정, 기Ð포괄손ø누계액, ÷øÐí®을 ­ 항»별ü 기초잔액과 변동사항, 기말잔액을
표Þ한다. ×본변동표를 Ø성Ý는 »É은 Þ계기간 동안 À생한 ×본®, ×본Ðí®, ×본ø
정, 기Ð포괄손ø누계액, ÷øÐí®의 변동에 관한 정ü를 포괄É으ü 제공ý으ü써 재무정
ü의 유용성을 높÷기 위한 것÷다.

주Þ(footnote)÷란 재무제표의 õ당과» 또는 ®액에 기호를 붙÷고 재무제표의 난외 또는


별É에 동일한 기호를 표ÞÝí 그 과» 또는 ®액에 대한 Þ계내용을 기ÈÝ는 것을 말한다.

263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3) 재무제표정보의 특성과 한계

재무제표를 통õ 제공되는 다양한 정ü는 다음과 같은 û성과 한계를 ¬É고 Ï다.


 재무제표는 Ö폐단위ü 측정된 정ü를 주ü 제공한다.
 재무제표는 대부분 과거에 À생한 거래나 사건에 관한 정ü를 제공한다.
 재무제표는 추정에 의한 측정Þ를 포ýÝ고 Ï다.
 재무제표는 û정기Å실체에 관한 정ü를 제공Ý며 산Å 또는 경제 전반에 관한 정
ü를 제공ÝÉ 않는다.

2 재무제표작성과 표시의 일반원칙

1) 계속기업

경Ç진÷ 기Å을 청산Ý거나 경Ç활동을 중단할 의도를 ¬É고 ÏÉ 아니Ý거나 청산


또는 경Ç활동을 중단 외에 다른 현실É 대안÷ Æ는 경우¬ 아니면 계Î기Å을 전제ü
재무제표를 Ø성한다.

2) 재무제표의 작성 책임과 공정한 표Þ 및 주Þ

재무제표의 Ø성과 표Þ에 대한 ÍÇ은 경Ç진에 Ï으며 경제É 사실과 거래의 실질을
반ÇÝí 공정Ý게 표ÞÝí야 Ý며, 일반기ÅÞ계기준에 의Ýí Ø정Ý게 Ø성된 재무제표
는 공정Ý게 표Þ된 재무제표ü 본다.

3) 재무제표 항목의 구분과 통합표Þ

중요한 항»은 재무제표의 본문÷나 주Þ에 그 내용을 ¬장 잘 나Ð낼 수 Ï도ý í분Ýí

264
Chapter 14. 재무제표

표ÞÝ며 중요ÝÉ 않은 항»은 유사한 항»과 통þÝí 표Þ할 수 Ï다.

4) 비교재무제표의 작성

기간별 비교¬능성을 제고Ý기 위Ýí 전기 재무제표의 계량정ü와 비계량정ü를 당기와


비교Ý는 형ß으ü 표Þ한다.

5) 재무제표 항목의 표Þ와 분류의 계속성

재무제표의 기간별 비교¬능성을 제고Ý기 위Ýí 재무제표 항»의 표Þ와 분류는 원ßÉ
으ü 매기 동일Ýí야 한다.

6) 재무제표의 보고양ß

재무제표는 ÷õÝ기 쉽도ý 간단Ý고 명료Ý게 표ÞÝí야 Ý며, 일반기ÅÞ계기준에


예Þ된 재무제표의 양ß을 참øÝí Ø성한다.
­ 재무제표에는 재무제표의 명칭과 ý께 기Å명, ü고기간 종료일 또는 Þ계기간, ü고통
Ö 및 ®액단위를 기재Ýí야 한다.

3 재무상태표

1) 재무상태표의 의의

재무상태표는 기Å의 재무상태를 나Ð내는 ü고Ýü 결산일 현재에 기Å÷ ü유Ý고 Ï는


×산, 부Ì, ×본의 í성상태를 üí주는 정태É ü고Ý÷다.

265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2) 재무상태표의 작성기준

재무상태표의 항»은 ×산, 부Ì, ×본으ü í분Ý고, ×산과 부Ì는 유동항»과 비유동항
»으ü í분한다. ×산과 부Ì는 유동성÷ 큰 항»부터 ¼열Ý는 것을 원ß으ü 한다.

×산은 ü고기간 종료일ü부터 1년 또는 정상É인 ÇÅ주기를 기준으ü 유동×산과 비유


동×산으ü í분한다. 부Ì는 1년 또는 정상É인 ÇÅ주기를 기준으ü 유동부Ì와 비유동부
Ìü í분한다. 정상É인 ÇÅ주기¬ 명×Ý게 ×인되É 않는 경우에는 1년으ü 추정한다.

×산과 부Ì는 원ßÉ으ü 상계Ýí 표ÞÝÉ 않는다. 매출Ì권에 대한 대손충당® 등은


õ당 ×산÷나 부Ì에Ý ÊÙ ¬¼Ýí 표Þ할 수 Ï다. ÷ 경우 ¬¼한 ®액을 주Þ으ü
기재한다.

×산, 부Ì, ×본 중 중요한 항»은 재무상태표 본문에 별도 항»으ü í분Ýí 표Þ한다.


중요ÝÉ 않은 항»은 성격 또는 기능÷ 유사한 항»에 통þÝí 표Þ할 수 Ï으며 통þ할
É절한 항»÷ Æ는 경우에는 기Ð항»으ü 표Þ할 수 Ï다. ÷ 경우 세부내용은 주Þ으ü
기재한다.

3) 재무상태표의 양ß

재무상태표의 양ß은 ü고ß과 계정ß÷ Ï다. 재무상태표는 ü고ß Ø성을 원ß으ü Ý며


계정ß으ü도 Ø성할 수 Ï다.

266
Chapter 14. 재무제표

[계정ß] 재무상태표
㈜××× 20××년 ×월 ××일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산 부Ì
유동×산 ××× 유동부Ì ×××
비유동×산 ××× 비유동부Ì ×××
부Ì총계 ×××
×본
×본® ×××
×본총계 ×××
×산총계 ××× 부Ì와 ×본총계 ×××

[ü고ß] 재무상태표
㈜××× 20××년 ×월 ××일 현재 (단위:원)
제×(당)기 제×(전)기
과 목
® 액 ® 액
×산
유동×산 ××× ×××
비유동×산 ××× ×××
×산총계 ××× ×××
부Ì
유동부Ì ××× ×××
비유동부Ì ××× ×××
부Ì총계 ××× ×××
×본
×본® ××× ×××
×본총계 ××× ×××
부Ì와 ×본총계 ××× ×××

4) 재무상태표의 유용성과 한계

유용성 한 계
d 일정ÞØ의 기Å의 재무상태에 관한 정ü제공 d î사É 원¬에 따른 평¬의 한계
e 기Å의 장·단기 ɯ능력에 관한 정ü제공 e 대체É인 Þ계처리방법에 따른 한계
f 기Å의 재무íø에 관한 정ü제공 f Þ계담당×의 주관É 판단에 따른 평¬의 한계
g Ö폐표Þ 정ü의 한계

267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4 손익계산서

1) 손익계산Ý의 의의

손ø계산Ý는 일정기간 동안에 기Å의 경Ç성과를 나Ð내는 ü고Ýü 기Å활동을 통한


수ø, 비용, ÷ø, 손실을 ü고Ý는 동태É ü고Ý÷다.

2) 손익계산Ý의 작성기준

º든 수ø과 비용은 그것÷ À생한 기간에 정당Ý게 ¼분되도ý 처리õ야 한다.

비용은 관련 수ø÷ 인ß될 때 비용으ü 인ß한다는 원ß÷다. 즉, 비용은 그 비용÷ 기í한


수ø÷ 기ý되는 동일한 기간의 비용으ü 기ý한다.

수ø과 비용은 총액에 의Ýí 기재ý을 원ß으ü Ý고 수ø항»과 비용항»을 ÊÙ 상계ý


에 따라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손ø계산Ý에Ý 제외ÝíÝ는 안된다.

손ø계산Ý에 손ø은 매출총손ø, ÇÅ손ø, 법인세차¼전순손ø, 당기순손ø, 주당순손ø


으ü í분Ýí 표Þ한다.

268
Chapter 14. 재무제표

3) 손익계산Ý의 양ß

[ü고ß] 손ø계산서
20××년 ×월 ×일부터
㈜××× 20××년 ×월 ××일까É (단위:원)
제×(당)기 제×(전)기
과 목
® 액 ® 액
매 출 액 ××× ×××
매 출 원 ¬
기초상품재고액 ××× ×××
당기상품매È액 ××× ×××
기말상품재고액 (×××) (×××) (×××) (×××)
매 출 총 ÷ ø ××× ×××
판 매 비 와 관 리 비 (×××) (×××)
Ç Å ÷ ø ××× ×××
Ç Å 외 수 ø ××× ×××
Ç Å 외 비 용 (×××) (×××)
법인세비용차¼전순÷ø ××× ×××
법 인 세 비 용 (×××) (×××)
당 기 순 ÷ ø ××× ×××
주 당 ÷ ø ××× ×××

4) 손익계산Ý의 유용성과 한계

유용성 한 계
d 일정기간 동안의 경Ç성과에 관한 정ü제공 d Þ계÷ø의 진실성
e 기Å의 미래 수ø성 예측에 관한 정ü제공 e ÷ø의 질에 관한 문제
f 경Ç×의 경Ç능력 평¬에 관한 정ü제공 f 동일기간의 수ø과 비용의 대응문제
g ÷ø계ß 등 경Ç정Í수립에 관한 정ü제공

269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연습문제

01. ½마상사의 20×1년도말 총계정원장 계정잔액은 다음과 같다. 다음 ×료에 의하여 계정ß
재무상태표를 Ø성하Þ오.

<총계정원장 계장잔액>
현 ® 200,000 당좌예® 130,000 외 상 매 출 ® 700,000
단기매매증권 450,000 상 품 800,000 투 × 부 동 산 150,000
토 É 200,000 건 물 800,000 ¼¬상­누계액 400,000
개 À 비 100,000 외상매È® 500,000 É ¯ 어 음 100,000
단기차È® 400,000 × 본 ® 2,000,000 당 기 순 ÷ ø 130,000

재무상태표
½마상사 20×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270
Chapter 14. 재무제표

02. ½마상사의 20×1년도말 총계정원장 계정잔액은 다음과 같다. 다음 ×료에 의하여 보고ß
손ø계산서를 Ø성하Þ오.

<총계정원장 계장잔액>
상 품 매 출 액 6,000,000 매 È 액 3,500,000 기 초 상 품 재 고 액 200,000
기말상품재고액 300,000 ¯ í 350,000 ý 리 후 생 비 120,000
¼ ¬ 상 ­ 비 100,000 광고선전비 80,000 Í º 품 비 60,000
÷ × 비 용 70,000 수수료수ø 50,000 기 부 ® 100,000
÷ × 수 ø 60,000 법인세비용 450,000 유형×산처분÷ø 20,000

손ø계산서
20×1년 1월 1일부터
½마상사 20×1년 12월 31일까É (단위:원)
과목 ®액

01. 다음 중 기본 재무제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재무상태표 나. 현®흐름표 다. ×본변동표 라. 제ø원¬명세Ý

d ¬ e 나 f 다 g 라

271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02. 다음 중 재무제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d 재무상태표 e ÷øÐí® 처분계산Ý
f 손ø계산Ý g ×본변동표

03. 다음 중 재무상태표의 Ø성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d ×산, 부Ì, ×본 중 중요한 항»에 대õÝ는 재무상태표 본문에 별도 항»으ü
í분Ýí 표ÞÝí야 한다.
e ×산과 부Ì는 순액으ü 기재ý을 원ß으ü 한다.
f ×산과 부Ì는 유동성÷ 큰 항»부터 ¼열Ý는 것을 원ß으ü 한다.
g ¬É¯®과 ¬수® 등의 미결산 계정은 그 내용을 나Ð내는 É절한 계정으ü
표Þ한다.

04. 다음 ×산항목을 유동성 ¼열법에 따라 위에서 아래의 순서로 나열한 것을 <보기>에서 고


른 것은?

ㄱ. 무형×산 ㄴ. 투××산 ㄷ. 당좌×산 ㄹ. 재고×산

d ㄴ→ㄷ→ㄹ→ㄱ e ㄴ→ㄷ→ㄱ→ㄹ
f ㄷ→ㄹ→ㄴ→ㄱ g ㄷ→ㄴ→ㄹ→ㄱ

05.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에 의한 손ø계산서의 Ø성기준÷ 아닌 것은?


d À생주의 : º든 수ø과 비용은 À생한 기간에 정당Ý게 ¼분되도ý 처리한다.
e 순액주의 : º든 수ø과 비용은 ÊÙ 상계Ýí 순액으ü 기재Ý는 것을 원ß으
ü 한다.
f 실현주의 : 수ø은 실현Þ기를 기준으ü 계상Ý고 미실현수ø은 당기의 손ø계
산에 산ÈÝÉ 않는다.
g 수ø비용대응 : 수ø항»과 ÷에 관련되는 비용항»을 대응 표ÞÝí야 한다.

272
Chapter 14. 재무제표

06. 재무상태표의 작성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d 일정기간의 기Å의 재무 상태를 나Ð내는 Þ계ü고Ý÷다.
e 결산 후 절차(결산 ü고Ý의 Ø성)에 õ당한다.
f 외상매È®과 ɯ어음을 <매ÈÌ무=ü 통þ표Þ한다.
g 재무상태표 등ß은 [×산 = 부Ì + ×본 ]÷다.

07. 다음 개인기업인 세무상점의 재무상태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손ø계산서
매 출 총 ÷ ø 1,500,000
판 매 비 와 관 리 비 △××××
손ø계산Ý Ç Å ÷ ø ( A )
Ç Å 외 수 ø ××××
Ç Å 외 비 용 △××××
법인세비용차¼전순÷ø ( B )
 Ù대비 150,000원  기부® 200,000원
관련 ×료  단기매매증권처분÷ø 100,000원  ÷×비용 70,000원
 차량유É비 50,000원  잡÷ø 30,000원

재무상태표

세무상Ø 20××. 12. 31 (단위 : 원)

현®및현®성×산 100,000 매 È Ì 무 600,000


매 출 Ì 권 400,000 장 기 차 È ® 100,000
상 품 600,000 × 본 ® 900,000
토 É 500,000
1,600,000 1,600,000

d ×본þ계액÷ 부Ì þ계액ü다 많다.


e 당좌×산 þ계액÷ 재고×산 þ계액ü다 많다.
f 유동×산 þ계액÷ 비유동×산 þ계액ü다 É다.
g 유동부Ì þ계액÷ 비유동부Ì þ계액ü다 É다.

273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08. 다음 중 손ø계산서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d 손ø계산Ý란 일정ÞØ의 기Å실체의 재무성과에 대한 정ü를 ü고Ý는 재무제
표÷다.
e 손ø계산Ý의 í성요Í는 수ø과 비용÷다.
f 손ø계산Ý의 등ß은 [수ø – 비용 = 순÷ø] ÷다.
g 손ø계산Ý의 비용은 수ø비용대응의 원ß에 따라 인ß한다.

09. 다음 중 손ø계산서 상의 비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d 상품 매출원¬ e 주주 ¼당® f 종Å원 ¯í g 사무실 Ç차료

10. 다음 ×료에 의하면 매출총÷ø은 얼마인가?

 당기매출액 2,500,000원  기초상품재고액 600,000원


 당기상품매È액 700,000원  기말상품재고액 400,000원
 매È운Ç 200,000원

d 1,800,000원 e 1,600,000원 f 1,400,000원 g 1,300,000원

11. 다음 ×료에 ÷용하여 영업÷ø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 당기순매출액 4,700,000원  매출원¬ 1,700,000원


 ý리후생비 400,000원  Ù대비 300,000원
 ÷×비용 600,000원  무형×산상­비 300,000원

d 1,400,000원 e 2,000,000원 f 2,200,000원 g 2,500,000원

12. 다음의 ×료로 손ø계산서에 매출액으로 계상할 ®액은?

 총매출액 700,000원  판매수수료 30,000원


 매출에누리 40,000원  매출할인 50,000원

d 580,000원 e 610,000원 f 650,000원 g 660,000원

274
Chapter 14. 재무제표

13. 다음 ×료를 ÷용하여 세무상사의 영업÷ø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 상품매출 3,000,000원  상품매출원¬ 2,000,000원


 ¯í 300,000원  ÷×비용 100,000원

d 600,000원 e 700,000원 f 1,000,000원 g 1,100,000원

14. 다음은 예지상사의 20××년 손ø계산서와 관련한 ×료÷다. (A), (B)에 들어갈 ®액으로
옳은 것은?(단, 제Þ된 ×료 ÷외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손ø계산Ý
매 출 총 ÷ ø 1,500,000
판 매 비 와 관 리 비 △××××
손ø계산Ý Ç Å ÷ ø ( A )
Ç Å 외 수 ø ××××
Ç Å 외 비 용 △××××
법인세비용차¼전순÷ø ( B )
 Ù대비 150,000원  기부® 200,000원
관련 ×료  단기매매증권처분÷ø 100,000원  ÷×비용 70,000원
 차량유É비 50,000원  잡÷ø 30,000원

(A) (B) (A) (B)


d 1,300,000 1,160,000 e 1,300,000 1,060,000
f 1,100,000 1,160,000 g 1,100,000 1,060,000

15. 다음 ×료에 의하여 영업÷ø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 당기매출액 : 2,000,000원 ● 기초상품재고액 : 500,000원


 당기상품매È액 : 800,000원 ● 기말상품재고액: 700,000원
 ÷×비용: 300,000원 ● ü험료: 30,000원
 Ç차료: 100,000원 ● ÷×수ø: 40,000원
 Ù대비: 50,000원

d 1,160,000원 e 1,220,000원 f 1,640,000원 g 1,260,000원

275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16. 다음 (가)와 관련된 É절한 내용은?

 ÇÅ÷ø = 매출총÷ø - ( ¬ )

d 기부®, ÷×비용 등 기Å의 관리에Ý À생Ý는 비용


e 상품 등의 판매활동에Ý À생Ý는 비용
f 재õ손실 등 비경상É으ü À생Ý는 비용
g ÇÅ활동 중 À생한 수ø

276
참고문헌

참고문헌

 A-smart 연íÍ(2011), <Þ계원리3¯=, 나눔A&T


 김권중(2010), <K-IFRS NEW Þ계원리=, 창민사
 김달곤, 박상규, 전태Ç, 정호웅, 최진현 공È(2005), 무î경Ç사
 김Ç일(2009), <Þ계원리=, 세Þ사
 김완희, 김문현, ÷성엽, ¼성규 공È(2014), <K-IFRS Þ계원리=, 명경사
 김준, ø동필, ø동수 공È(2014),<Þ계원리=, 나눔A&T
 김준, ø동필, ø동수 공È(2014),<Þ계기초=, 나눔A&T
 나눔 편집기ß실(2019), <스마ú Þ계원리=, 나눔 A&T
 반선섭, 박종성, 강경ü, ÷은철 공È(2009), <K-IFRS Þ계원리=, 명경사
 신홍철, 정Ç기 공È(2012), <IFRS Þ계Þ원론=, 청람
 원광진(2011), <Þ계Þ개론=, 나눔A&T
 ÷기호, 박종진, 정재Ñ(2006), <Þ계원리=, 무î경Ç사
 ÷성노(2013), <알기쉬운 Þ계원리=, 경Ç과Þ계
 ÷수ü(2011), <Þ계의 ÷õ=, 신Ç사
 차동준(2008), <기초Þ계원리=, 경Ç과Þ계
 최우근(2005), <Þ계원리=, 한올출판사
 최웅용(2014), <K-IFRS Þ계원리=, 명경사
 한î세무사Þ î¬공인×격Þ험 홈페÷É(http://license.kacpta.or.kr/) <기ÅÞ계 3¯ 기출
문제=
 홍윤표, 김광용 공È(2019), <FATÞ계실무 1¯=, 나눔 A&T

277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연습문제 답안

12. (1) ₩160,000 (2) ₩90,000 (3) ₩60,000


Chapter 01

1. 회계 1. g 2. g 3. g 4. g 5. d 6. f 7. e
2. 의사결정 8. d 9. f 10. g 11. e 12. e 13. d
3. 재무회계, 관리회계 14. g 15. g 16. d 17. e 18. e 19. e
4. 전산회계 20. f 21. g 22. f
5. 회계단위, 회계기간(회계연도)

Chapter 03

1.f 2.e 3.d 4.f 5.g 6.g 7.g 8.d


1.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현 ® 3,000,000 × 본 ® 3,000,000
Chapter 02 (2) 비 품 200,000 현 ® 200,000
(3) 상 품 500,000 외 상 매 È ® 500,000
외상매출® 600,000 상 품 300,000
(4)
상품매출÷ø 300,000
1. (1) ₩15,000 (2) ₩25,000 (3) ₩15,000 (5) 현 ® 1,000,000 단 기 차 È ® 1,000,000
(4) ₩26,000 (5) ₩11,000 (6) 광고선전비 100,000 현 ® 100,000
(7) 외상매È® 300,000 현 ® 300,000
2. ₩5,000,000
(8) 현 ® 500,000 외 상 매 출 ® 500,000
3. ₩167,000 (9) ¯ í 200,000 현 ® 200,000
4. ₩1,600,000 (10) 수도광열비 70,000 현 ® 70,000
5. ₩90,000
2.
6. ₩110,000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7. ₩7,000,000
현 ® 5,000,000 단기차È® 1,000,000
8. ₩110,000 (1)
건 물 3,000,000 × 본 ® 7,000,000
9. (1) ₩1,330,000 (2) ₩450,000 (2) 차량운반í 300,000 미 É ¯ ® 300,000
10. ₩920,000 (3) 상 품 800,000 현 ® 800,000
11. (1) ₩12,000 (2) ₩11,500 (3) ₩14,500 (4) 단기대í® 300,000 현 ® 300,000
현 ® 500,000 상 품 400,000
(4) ₩6,500 (5) ₩26,000 (6) ₩11,500 (5)
외상매출® 300,000 상품매출÷ø 400,000
(7) ₩14,500 (8) ₩12,000 (9) ₩18,000
(6) 비 품 200,000 현 ® 200,000
(10) ₩11,500 (7) 현 ® 300,000 외상매출® 300,000

278
연습문제 답안

(8) Ç 차 료 100,000 현 ® 100,000 (4) 상품 ₩500,000(원가 ₩300,000)을 외상으로


현 ® 310,000 단기대í® 300,000 판매하다.
(9)
÷×수ø 10,000 (5) 외상매입® ₩400,000을 현®으로 지¯하다.
(10) ¯ í 200,000 현 ® 200,000 (6) 종업원 ¯여 ₩200,000을 현®으로 지¯하다.

3. 5.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5월 2일 현 ® 800.000 × 본 ® 800,000
5월 2일 현 ® 2,000,000 × 본 ® 2,000,000 10일 상 품 300,000 외상매È® 300,000
3일 현 ® 1,500,000 단기차È® 1,500,000 15일 비 품 50,000 현 ® 50,000
6일 비 품 300,000 현 ® 300,000 현 ® 300,000 상 품 200,000
9일 상 품 700,000 외상매È® 700,000 20일
상품매출÷ø 100,000
외상매출® 500,000 상 품 300,000 25일 외상매È® 200,000 현 ® 200,000
12일
상품매출÷ø 200,000 30일 ¯ í 50,000 현 ® 50,000
15일 Ç 차 료 100,000 현 ® 100,000
20일 현 ® 500,000 외상매출® 500,000
25일 외상매È® 400,000 현 ® 400,000
30일 ¯ í 200,000 현 ® 200,000 1. g 2. f 3. d 4. f 5. f 6. e 7. e 8.
e 9. g 10. g 11. f 12. f 13. g
현®
14. g 15. e 16. f
5/2 ×본® 2,000,000 5/6 비품 300,00
3 단기차È® 1,500,000 15 Ç차료 100,000
20 외상매출® 500,000 25 외상매È® 400,000
30 ¯í 200,000
Chapter 04
외상매출®
5/12 제좌 500,000 5/20 현® 500,000
상품
5/9 외상매È® 700,000 5/12 외상매출® 300,000
1.
비품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5/6 현® 300,000 현 ® 2,000,000 단 기 차 È ® 500,000
5/ 2
× 본 ® 1,500,000
외상매È®
5 비 품 200,000 현 ® 200,000
5/25 현® 400,000 5/9 상품 700,000
10 상 품 600,000 외 상 매 È ® 600,000
단기차È® 외상매출® 800,000 상 품 400,000
12
5/3 현® 1,500,000 상품매출÷ø 400,000
단기차È® 200,000 현 ® 210,000
15
자본® ÷×비용 10,000
5/2 현® 2,000,000 20 현 ® 500,000 외 상 매 출 ® 500,000
23 외상매È® 400,000 현 ® 400,000
상품매출÷ø
25 ¯ í 100,000 현 ® 100,000
5/12 외상매출® 200,000
30 Ç 차 료 100,000 현 ® 100,000
¯여
총 계 정 원 장
5/30현® 200,000
현®
Ç차료
5/2 제좌 2,000,000 5/5 비품 200,000
5/15 현® 100,000 15 제좌 210,000
20 외상매출® 500,000 23 외상매È® 400,000
25 ¯í 100,000
4. (1) 현® ₩3,000,000을 출×하여 사업을 ÞØ하다 30 Ç차료 100,000
(2) 상품 ₩600,000을 구입하고 ₩200,000은 현
외상매출®
®으로 지¯하고 잔액은 외상으로 하다.
5/12 제좌 800,000 5/20 현® 500,000
(3) 현® ₩800,000을 단기차입하다.

279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상품 단기차È® 200,000 200,000


5/10 외상매È® 600,000 5/12 외상매출® 400,000 × 본 ® 1,000,000 1,000,000
상품매출÷ø 300,000 300.000
비품
¯ í 100,000 100.000
5/5 현® 200,000
ü 험 료 100,000 100.000
외상매È® 당기순÷ø 100,000 100,000
5/23 현® 400,000 5/10 상품 600,000 þ 계 1,900,000 1,900,000 300,000 300,000 1,700,000 1,700,000

단기차È®
5/15 현® 200,000 5/2 현® 500,000

×본® 1. d 2. d 3. d 4. g 5. f 6. f 7. e
5/2 현® 1,500,000 8. e 9. g 10. d 11. f 12. g

상품매출÷ø
5/12 외상매출® 400,000

÷×비용 Chapter 05
5/15 현® 10,000

¯í
5/15 현® 100,000
1.
Ç차료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5/15 현® 100,000
(1) 현 ® 과 부 ù 50,000 현 ® 50,000
합 계 잔 액 시 산 표 (2) í 비 교 통 비 27,000 현 ® 과 부 ù 27,000
(3) 잡 손 실 23,000 현 ® 과 부 ù 23,000
차변 대변
계정과목
잔액 합계 합계 잔액 2.
1,490,000 2,500,000 현 ® 1,010,000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300,000 800,000 외 상 매 출 ® 500,000
(1) Í 액 현 ® 300,000 당 좌 예 ® 300,000
200,000 600,000 상 품 400,000
Í º 품 비 80,000 Í 액 현 ® 210,000
200,000 200,000 비 품
(2) í 비 교 통 비 100,000
400,000 외 상 매 È ® 600,000 200,000
통 신 비 30,000
200,000 단 기 차 È ® 500,000 300,000
(3) Í 액 현 ® 210,000 현 ® 210,000
× 본 ® 1,500,000 1,500,000
상품매출÷ø 400,000 400,000 3.
10,000 10,000 ÷ × 비 용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00,000 100,000 ¯ í (1) 정 기 예 ® 1,000,000 현 ® 1,000,000
100,000 100,000 Ç 차 료 당 좌 예 ® 1,100,000 정 기 예 ® 1,000,000
2,400,000 4,910,000 4,910,000 2,400,000 (2)
÷ × 수 ø 100,000
2. 단기®융상품 20,000,000 ü 통 예 ® 19,500,000
(3)
÷ × 수 ø 500,000
정 산 표 (4) ü 통 예 ® 20,000,000 단기®융상품 20,000,000
½마상사 20×1. 12. 31.
잔액시산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4.
계정과목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현 ® 600,000 600,000
당좌예® 500,000 상 품 매 출 1,000,000
외상매출® 250,000 250,000 (1)
외상매출® 500,000
¿을어음 250,000 250,000
상 품 800,000 당 좌 예 ® 600,000
상 품 400,000 400,000 (2)
당 좌 차 월 200,000
비 품 200,000 200,000
당좌차월 200,000 외상매출® 500,000
외상매È® 250,000 250,000 (3)
미ɯ® 150,000 150,000 당좌예® 300,000

280
연습문제 답안

5. 5.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당 좌 예 ® 1,000,000 현 ® 1,000,000 12/ 8 매 È 800,000 외상매È® 800,000
당좌예® 300,000 12/12 외상매È® 20,000 매 È 20,000
(2) 상 품 500,000
외상매È® 200,000 12/16 외상매출® 700,000 매 출 700,000
(3) 당 좌 예 ® 800,000 상 품 매 출 800,000 12/22 매 출 21,000 외상매출® 21,000
매 È 50,000 ÷월상품 50,000
6. 12/31
÷월상품 392,000 매 È 392,000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손 ø 438,000 매 È 438,000
12/31 상 품 매 출 679,000 손 ø 679,000
단기매매증권 24,000,000 현 ® 24,050,000
(1)
수 수 료 비 용 50,000 6.
현 ® 5,000,000 단 기 매 매 증 권 6,000,000
(2)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단기매매증권처분손실 1,000,000
5/ 6 상 품 500,000 현 ® 500,000
현 ® 7,500,000 단 기 매 매 증 권 6,000,000
(3) 외상매È® 450,000
단기매매증권처분÷ø 1,500,000 5/10 상 품 550,000 현 ® 100,000
(4) 단기매매증권평¬손실 2,000,000 단 기 매 매 증 권 2,000,000 5/13 외상매È® 30,000 상 품 30,000
7. 매 È장
(단위:원)
번호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일자 송장번호 적 요 ®액
단 기 매 매 증 권 7,200,000 당 좌 예 ® 7,250,000
(1) 5 6 506 (마름상사) (현®)
수 수 료 비 용 50,000
A상품 500개 @₩1,000 500,000
ü 통 예 ® 2,170,000 단 기 매 매 증 권 2,400,000
(2) 10 510 (정광상사) (외상)
단기매매증권처분손실 230,000
B상품 300개 @₩1,500 450,000
ü 통 예 ® 3,860,000 단 기 매 매 증 권 3,600,000
(3) 운Çɯ 100,000 550,000
단기매매증권처분÷ø 260,000
13 반-13 (정광상사) (환출)
(4) 현 ® 30,000 ÷ × 수 ø 30,000
B상품 20개 @₩1,500 30,000
총매È액 1,050,000
환출액 30,000
순매È액 1,020,000
1. g 2. g 3. d 4. d 5. g 6. d 7. g
7.
8. f 9. d 10. e 11. e 12. f 13. g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4. d 15. f 16. e 6/10 현 ® 3,000,000 상 품 매 출 3,000,000
6/12 외 상 매 출 ® 3,000,000 상 품 매 출 3,000,000
6/15 상 품 매 출 30,000 외 상 매 출 ® 30,000

매출 장
Chapter 06
(단위:원)
일자 송장번호 적 요 ®액
6 10 610 (Ö담상사) (현®)
A상품 300개 @₩10,000 3,000,000
12 612 (õ룡상사) (외상)
1. ₩400,000 B상품 200개 @₩15,000 3,000,000
2. ₩420,000 15 반-15 (õ룡상사) (에누리)
3. ₩760,000 B상품 10개 @₩3,000 30,000
총매출액 6,000,000
4.
에누리액 30,000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순매출액 5,970,000
12/ 8 상 품 800,000 외상매È® 800,000 상 품재고 장
12/12 외상매È® 20,000 상 품 20,000 선È선출법 품명 : A상품 (단위:원)
12/16 외상매출® 700,000 상 품 매 출 700,000 인 수 인 도 잔 액
일자 적 요
12/22 상 품 매 출 21,000 외상매출® 21,000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수량 단¬ ®액

12/31 상품매출원¬ 438,000 상 품 438,000 7 1 전 월 ÷ 월 20 500 10,000 20 500 10,000


손 ø 438,000 상품매출원¬ 438,000 6매 È 50 600 30,000 20 500 10,000
12/31 50 600 30,000
상 품 매 출 679,000 손 ø 679,000

281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20 500 10,000 3.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8환 출 △5 600 △3,000 45 600 27,000 (1) 대손상­비 60,000 대 손 충 당 ® 60,000
12 매 출 20 500 10,000 35 600 21,000 (2) 대손상­비 30,000 대 손 충 당 ® 30,000
10 600 6,000
(3) 분개Æ음
15 환 È △3 600 △1,800 38 600 22,800
(4) 대손충당® 20,000 대손충당®환È 20,000
20 매 È 50 800 40,000 38 600 22,800
50 800 40,000
4.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25 매 출 38 600 22,8001,600 48 800 38,400
2 800 (1) 대손상­비 300,000 외상매출® 300,000
31 차 월 ÷ 월 48 800 38,400 (2) 대손충당® 200,000 외상매출® 300,000
대손상­비 100,000
115 . 77,000 115 77,000
(3) 대손충당® 300,000 외상매출® 300,000
8 1 전 월 ÷ 월 48 800 38,400 48 800 38,400

d 순매출액 : 30×1,000 – 3×1,000 + 5.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단기대í® 5,000,000 현 ® 5,000,000
40×1,200 = 75,000
e 매출원가 : 77,000 – 38,400 = 38,600
(2) 현 ® 60,000 ÷×수ø 60,000
(3) 선 ¯ ® 300,000 현 ® 300,000
f 매출총÷ø : 75,000 – 38,600 = 36,400 (4) 상 품 3,000,000 선 ¯ ® 300,000
외상매È® 2,700,000
9.
(5) 미 수 ® 200,000 비 품 200,000
(6) 현 ® 200,000 미 수 ® 200,000
구분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7) ¬É¯® 300,000 현 ® 300,000
(1) 재고×산¼º손실 100,000 상 품 100,000
(8) í비교통비 270,000 ¬É¯® 300,000
(2) 재고×산평¬손실 475,000 재고×산평¬충당® 475,000 현 ® 30,000
¯ í 1,000,000 예 수 ® 80,000
(9) 현 ® 920,000
(10) 예 수 ® 30,000 현 ® 30,000
(11) ü 통 예 ® 200,000 ¬ 수 ® 200,000
1. f 2. g 3. f 4. f 5. d 6. e 7. d (12) ¬ 수 ® 200,000 외상매출® 200,000
8. d 9. f 10. g 11. f 12. d 13. d
14. e 15. d 16. d 17. g 18. e

1. f 2. d 3. e 4. g 5. f 6. g 7. f
8. d 9. f 10. f 11. f 12. e 13. g
Chapter 07 14. d 15. f 16. d 17. d 18. e 19. e
20. e 21. d 22. g

1.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Chapter 08


상 품 500,000 당 좌 예 ® 200,000
(1) 외상매È® 300,000
(2) 현 ® 300,000 상 품 매 출 600,000 1.
외상매출® 300,000
(3) 상품매출 30,000 외상매출® 30,000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4) 당좌예® 270,000 외상매출® 270,000 비 품 800,000 현 ® 100,000
(5) 외상매È® 300,000 현 ® 300,000
(1)
미ɯ® 700,000
토 É 51,100,000 당 좌 예 ® 50,000,000
2.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2)
(1) ¿ 을 어 음 1,00,000 상 품 매 출 1,000,000
현 ® 1,100,000
(2) 당 좌 예 ® 1,000,000 ¿ 을 어 음 1,000,000 차량운반í 21,000,000 현 ® 1.000.000
(3)
(3) 상 품 800,000 É ¯ 어 음 800,000 미ɯ® 20.000.000
(4) 외 상 매 È ® 500,000 É ¯ 어 음 500,000 현 ® 21,500,000
(4) 건 물 81,500,000
(5) ¿ 을 어 음 700,000 외상매출® 700,000 미ɯ® 60,000,000
(6) 외 상 매 È ® 700,000 ¿ 을 어 음 700,000 (5) 비 품 300,000 ü 통 예 ® 300,000
(7) É ¯ 어 음 800,000 당 좌 예 ® 800,000
당 좌 예 ® 950,000 ¿ 을 어 음 1,000,000 2.
(8) 매출Ì권처분손실 50,000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¼¬상­비 100,000 ¼¬상­누계액 100,000
(2) ¼¬상­비 48,000 ¼¬상­누계액 48,000

282
연습문제 답안

(3) ¼¬상­비 2,250,000 ¼¬상­누계액 2,250,000 Chapter 10


3.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미 수 ® 5,000,000 토 É 3,000,000
(1) 1.
유형×산처분÷ø 2,000,000
현 ® 100,000 비 품 600,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2) ¼ ¬ 상 ­ 누 계 액 300,000 당 좌 예 ® 280,000 사 Ì 300,000
(1)
유형×산처분손실 100,000 사Ì할인À행차® 20,000
당 좌 예 ® 1,500,000 차 량 운 반 í 2,000,000 당 좌 예 ® 230,000 사 Ì 300,000
(3) (2)
¼ ¬ 상 ­ 누 계 액 800,000 유형×산처분÷ø 300,000 사Ì할인À행차® 70,000
현 ® 68000 건 물 1,000,000 당 좌 예 ® 340,000 사 Ì 300,000
(4) (3)
¼ ¬ 상 ­ 누 계 액 600,000 유형×산처분÷ø 280,000 사Ì할증À행차® 40,000
2. (1)
사채할인발행차®상­표
1. g 2. g 3. e 4. g 5. f 6. d 7. g 유효÷자(A) 액면÷자(B)
차®상­액(C) 장부¬액(E)
8. e 9. g 10. d 11. f 12. e 13. d 회계연도 (Et-1*× (액면¬액 차®잔액(D)
(A-B) (액면¬-D)
시장÷자율) ×표시÷자율)
14. e 15. d 16. g 17. f 18. e 19. f
À행Þ 22,832 177,168
20. f 20×1.12.31 26,575 20,000 6,575 16,257 183,743
20×2.12.31 27,561 20,000 7,561 8,695 191,305
20×3.12.31 28,696 20,000 8,696 0 200,000

Chapter 09 (2)~(6)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당 좌 예 ® 177,168 사 Ì 200,000
(2)
사Ì할인À행차® 22,832
1. ÷ × 비 용 현 ® 20,000
(3) 26,575
사Ì할인À행차® 6,575
날짜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 × 비 용 27,561 현 ® 20,000
(1) 개 À 비 2,000,000 당 좌 예 ® 2,000,000 (4)
사Ì할인À행차® 7,561
(2) 무형×산상­비 400,000 개 À 비 400,000
÷ × 비 용 28,696 현 ® 20,000
(3) 산 Å 재 산 권 500,000 현 ® 500,000 (5)
사Ì할인À행차® 8,696
(4) 무형×산상­비 100,000 산 Å 재 산 권 100,000
(6) 사 Ì 200,000 현 ® 20,000
2.
3. (1)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사채할증발행차®상­표
(1) 투 × 부 동 산 10,000,000 현 ® 10,000,000
(2) 장기®융상품 5,000,000 현 ® 5,000,000 유효÷자(A) 액면÷자(B)
차®상­액(C) 장부¬액(E)
(3) 장 기 대 í ® 3,000,000 현 ® 3,000,000 회계연도 (Et-1*× (액면¬액 차®잔액(D)
(A-B) (액면¬-D)
시장÷자율) ×표시÷자율)
3. À행Þ 5,154 105,154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20×1.12.31 8,412 10,000 1,588 3,566 103,566
Ç차ü증® 10,000,000 20×2.12.31 8,285 10,000 1,715 1,852 101,852
(1) 현 ® 10,200,000 20×3.12.31 8,148 10,000 1,852 0 100,000
Ç 차 료 200,000
(2) 장기¿을어음 800,000 상 품 매 출 800,000 (2)~(6)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당 좌 예 ® 105,154 사 Ì 100,000
(2)
사Ì할증À행차® 5,154
1. d 2. d 3. f 4. f 5. d 6. g 7. f
÷ × 비 용 8,412 현 ® 10,000
8. e 9. g 10. d 11. e 12. f (3)
사Ì할증À행차® 1,588
÷ × 비 용 8,285 현 ® 10,000
(4)
사Ì할증À행차® 1,715

283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 × 비 용 8,148 현 ® 10,000 주ßÀ행초과® 1,950,000


(5)
사Ì할증À행차® 1,852 당 좌 예 ® 7,950,000 × 본 ® 10,000,000
(3)
(6) 사 Ì 100,000 현 ® 100,000 주ß할인À행차® 2,050.000
4. 건 물 10,000,000 × 본 ® 7,500,000
(4)
주ßÀ행초과® 2,500,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사 Ì 200,000 현 ® 190,000
(1) 사Ì할인À행차® 8,695
사Ì상환÷ø 1,305 1. f 2. f 3. e 4. g 5. f 6. f 7. g
사 Ì 100,000 8. f 9. e 10. e 11. f 12. d 13. f
현 ® 102,000
(2) 사Ì할증À행차® 1,852 14. d 15. f 16. d 17. e 18. e
사Ì상환손실 148

5.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Chapter 12
(1) 퇴 Ê ¯ í 5,000,000 퇴ʯí충당부Ì 5,000,000
(2) 퇴ʯí충당부Ì 600,000 당 좌 예 ® 600,000
(3) 퇴 Ê ¯ í 3,600,000 퇴ʯí충당부Ì 3,600,000

6. 1.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퇴 Ê ¯ í 3,000,000 현 ® 3,000,000 (1) 현 ® 500,000 상 품 매 출 500,000
(2) 퇴Ê연®운용×산 3,000,000 현 ® 3,000,000 (2) 현 ® 100,000 ÷ × 수 ø 100,000
ü통예® 400,000 단 기 매 매 증 권 300,000
(3)
단기매매증권처분÷ø 100,000

(4) 현 ® 300,000 Ç 대 료 300,000


1. g 2. g 3. g 4. e 5. f 6. g 7. e 8.
e 9. g 10. d 11. d 12. f (5) 현 ® 30,000 수 수 료 수 ø 30,000

미 수 ® 3,500,000 차 량 운 반 í 3,000,000
(6)
유형×산처분÷ø 500,000
ü통예® 10,300,000 단 기 대 í ® 10,000,000
Chapter 11 (7)
÷ × 수 ø 300,000
(8) 현 ® 200,000 ¼ 당 ® 수 ø 200,000
현 ® 2,080,000 정 기 예 ® 2,000,000
(9)
÷ × 수 ø 80,000
1.
2.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인 출 ® 300,000 현 ® 300,000
외상매출® 10,000,000 상 품 매 출 10,000,000
(2) 건 물 200,000 현 ® 200,000 (1)
운 반 비 50,000 현 ® 50,000
세®과공과 150,000 현 ® 250,000 (2) ü 험 료 200,000 현 ® 200,000
(3)
인 출 ® 100,000
¯ í 1,500,000 예 수 ® 150,000 (3) Í º 품 비 300,000 미 É ¯ ® 300,000
(4)
ü통예® 1,350,000
세®과공과 200,000 현 ® 450,000 (4) Ù 대 비 800,000 미 É ¯ ® 800,000
(5)
인 출 ® 250,000
(6) 예 수 ® 150,000 현 ® 150,000 (5) ý 리 후 생 비 100,000 현 ® 100,000

통 신 비 53,000 ü 통 예 ® 200,000
2. (6)
수도광열비 147,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 í 2,500,000 예 수 ® 200,000
(7)
당 좌 예 ® 9,950,000 × 본 ® 10,000,000 ü 통 예 ® 2,300,000
(1) 비 품 250,000 현 ® 300,000
주ß할인À행차® 50,000 (8)
(2) 당 좌 예 ® 11,950,000 × 본 ® 10,000,000 Í º 품 비 50,000

284
연습문제 답안

3. (1) 단기매매증권 30,000 단 기 매 매 증 권 평 ¬ ÷ ø 30,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2) 상품매출원¬ 220,000 상 품 220,000
(1) 기 부 ® 2,000,000 현 ® 2,000,000 (외상매출®)대손충당® 600
(3) 대 손 상 ­ 비 4,600
(2) 현 ® 30,000 잡 ÷ ø 30,000 (¿을어음)대손충당® 4,000
(4) í 비 교 통 비 60,000 ¬ É ¯ ® 60,000
(3) ü 험 료 650,000 현 ® 650,000 (5) ¬ 수 ® 70,000 외 상 매 출 ® 70,000
(6) 잡 손 실 6,000 현 ® 과 부 ù 6,000
(4) 수수료비용 500,000 ü 통 예 ® 500,000 (7) Í º 품 12,000 Í º 품 비 12,000
(8) ¼ ¬ 상 ­ 비 50,000 ( 건 물 ) ¼ ¬ 상 ­ 누 계 액 50,000
(9) ¼ ¬ 상 ­ 비 20,000 ( 비 품 ) ¼ ¬ 상 ­ 누 계 액 20,000
(5) Í º 품 비 100,000 미 É ¯ ® 100,000
(10) ÷ × 비 용 6,000 미 É ¯ ÷ × 6,000
세®과공과 60,000 현 ® 140,000 (11) 선 ¯ Ç 차 료 8,000 Ç 차 료 8,000
(6)
인 출 ® 80,000 (12) 미 수 수 수 료 5,000 수 수 료 수 ø 5,000
(7) 통 신 비 6,000 현 ® 6,000 (13) Ç 대 료 8,000 선 수 Ç 대 료 8,000

2)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1) 단기매매증권평¬손실 20,000 단 기 매 매 증 권 20,000
1. g 2. e 3. d 4. f 5. d 6. e 7. g (2) 대 손 상 ­ 비 1,000 대 손 충 당 ® 1,000
(3) 상 품 매 출 원¬ 300,000 상 품 300,000
8. g 9. e 10. d 11. d 12. f 13. g
(4) ¼ ¬ 상 ­ 비 20,000 ¼ ¬ 상 ­ 누 계 액 20,000
14. g 15. f 16. f 17. g, 18. e 19. e (5) ¼ ¬ 상 ­ 비 20,000 ¼ ¬ 상 ­ 누 계 액 20,000
20. f 21. g 22. g (6) ¯ í 8,000 미 É ¯ ¯ í 8,000
(7) 선 ¯ ü 험 료 15,000 ü 험 료 15,000
(8) ÷ × 수 ø 20,000 선 수 ÷ × 20,000
(9) 퇴 Ê ¯ í 25,000 퇴ʯí충당부Ì 25,000
Chapter 13 (10) Í º 품 6,000 Í º 품 비 6,000

정 산 표
무½상사 (단위:원)
잔액시산표 결산정리분개 손ø계산서 재무상태표
계정과목
1.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 120,000 120,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외상매출® 600,000 j 70,000 530,000
(1) 단기매매증권평¬손실 20,000 단 기 매 매 증 권 20,000
대손충당® 10,000 f 600 10,600
(2) 대 손 상 ­ 비 1,000 대 손 충 당 ® 1,000
¿ 을 어 음 200,000 200,000
(3) 상 품 매 출 원 ¬ 300,000 상 품 300,000
단기매매증권 150,000 d 30,000 180,000
(4) ¼ ¬ 상 ­ 비 20,000 ¼ ¬ 상 ­ 누 계 액 20,000
현®과부ù 6,000 i 6,000
(5) ¼ ¬ 상 ­ 비 20,000 ¼ ¬ 상 ­ 누 계 액 20,000
¬ É ¯ ® 60,000 g 60,000
(6) ¯ í 8,000 미 É ¯ ¯ í 8,000
상 품 300,000 f220,000 80,000
(7) 선 ¯ ü 험 료 15,000 ü 험 료 15,000
건 물 1,000,000 1,000,000
(8) ÷ × 수 ø 20,000 선 수 ÷ × 20,000
¼¬상­누계액 600,000 k 50,000 650,000
(9) 퇴 Ê ¯ í 25,000 퇴ʯí충당부Ì 25,000
비 품 200,000 200,000
(10) Í º 품 6,000 Í º 품 비 6,000
¼¬상­누계액 80,000 l 20,000 100,000
2. ¬ 수 ® 70,000 h 70,000
외상매È® 256,000 256,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 본 ® 1,000,000 1,000,000
(1) 단기매매증권평¬손실 50,000 단 기 매 매 증 권 50,000 상 품 매 출 900,000 900,00
(2) 상 품 매 출 원 ¬ 350,000 상 품 350,000 Ç 대 료 36,000 p 8,000 28,00
(3) 대 손 상 ­ 비 4,000 대 손 충 당 ® 4,000 수수료수ø 18,000 o 5,000 23,00
(4) Í º 품 비 45,000 Í º 품 45,000 ¯ í 250,000 250,000
(5) ¼ ¬ 상 ­ 비 50,000 ¼ ¬ 상 ­ 누 계 액 50,000 Í º 품 비 30,000 j 12,000
18,000
(6) ÷ × 비 용 5,000 미 É ¯ ÷ × 5,000 ü 험 료 12,000 12,000
(7) 선 ¯ ü 험 료 12,000 ü 험 료 12,000 Ç 차 료 24,000 n 8,000 16,000
(8) Ç 대 료 60,000 선 수 Ç 대 료 60,000 ÷ × 비 용 18,000 m 6,000 24,000
2,970,000 2,970,000
3. 1)
단기매매증권평¬÷ø d 30,000 30,00
No 차변과목 ®액 대변과목 ®액 상품매출원¬ e220,000 220,000

285
| Part 03 | 결산 및 재무제표

대 손상­비 f 4,600 4,600 비유동×산þ계 450,000


대 손충당® f 4,000 4,000 ×산þ계 1,570,400 부Ì와 ×본þ계 1,570,400
í 비교통비 g 60,000 60,000
잡 손 실 i 6,000 6,000
Í º 품 j 12,000 12,000
¼ ¬상­비 kl 70,000 70,000
미 ɯ÷× m 6,000 6,000
선 ¯Ç차료 n 8,000 8,000 1. g 2. d 3. d 4. f 5. g 6. f 7. g
미 수수수료 o 5,000 5,000 8. d 9. g 10. g
선 수Ç대료 p 8,000 8,000
당 기순÷ø 300,400 300,400
þ 계 499,600 499,600 981,000 981,002,335,000 2,335,000

손ø계산서
Chapter 14
무½상사 20×1.1.1 ~ 20×1.12.31 (단위:원)
1. 상품매출액 900,000
2. 상품매출원¬
기초상품재고액
당기상품매È액 300,000 1.
기말상품재고액 (80,000) (220,000) 재무상태표
3. 매출총÷ø 680,000 ½마상사 20×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원)
4. 판매비와관리비 자산 ®액 부채⦁자본 ®액
¯í 250,000 유동×산 부Ì
Ç차료 16,000
ü험료 12,000 현®및현®성×산 330,000 매ÈÌ무 600,000
¼¬상­비 70,000
매출Ì권 700,000 단기차È® 400,000
대손상­비 4,600
단기매매증권 450,000 유동부Ìþ계 1,000,000
ͺ품비 18,000
상품 800,000 ×본
í비교통비 60,000 (430,600)
유동×산þ계 2,280,000 ×본® 2,130,000
5. ÇÅ외수ø
비유동×산 ×본þ계 2,130,000
Ç대료 28,000
투×부동산 150,000
수수료수ø 23,000
토É 200,000
단기매매증권평¬÷
30,000 81,000 건물 800,000
ø
6. ÇÅ외비용 ¼¬상­누계액 (400,000) 400,000
÷×비용 24,000
개À비 100,000
잡손실 6,000 (30,000)
7. 당기순÷ø 300,400 비유동×산þ계 850,000

재무상태표 ×산총계 3,130,000 부Ì와 ×본총계 3,130,000


무½상사 20×1.12.31 현재 단위:원
자산 ®액 부채⦁자본 ®액 손ø계산서
유동×산 부Ì 20×1년 1월 1일부터
현®및현®성×산 120,000 매ÈÌ무 256,000 ½마상사 20×1년 12월 31일까É (단위:원)
매출Ì권 730,000 선수수ø 8,000 과 목 ® 액
대손충당® 14,600 715,400 미ɯ비용 6,000 매출액 6,000,000
단기매매증권 180,000 부Ìþ계 270,000 매출원¬
선¯비용 8,000 ×본 기초상품재고액 200,000
미수수ø 5,000 ×본® 1,300,400 당기상품매È액 3,500,000
ͺ품 12,000 ×본þ계 1,300,400 기말상품재고액 (300,000) (3,400,000)
상품 80,000 매출총÷ø 2,600,000
유동×산þ계 1,120,400 판매비와관리비
건물 1,000,000 ¯í 350,000
¼¬상­누계액 (650,000) 350,000 ý리후생비 120,000
비품 200,000 ¼¬상­비 100,000
¼¬상­누계액 (100,000) 100,000 광고선전비 80,000

286
연습문제 답안

ͺ품비 60,000 (710,000)


ÇÅ÷ø 1,890,000
ÇÅ외수ø
÷×수ø 60,000
수수료수ø 50,000
유형×산처분÷ø 20,000 130,000
ÇÅ외비용
÷×비용 70,000
기부® 100,000 (170,000)
법인세비용차¼전순÷ø 1,850,000
법인세비용 (450,000)
당기순÷ø 1,400,000

1. g 2. e 3. e 4. f 5. e 6. d 7. d
8. d 9. e 10. f 11. e 12. e 13. e
14. d 15. e 16. e

287
È× | 함 강 국

• 일본 î립 新潟大學 경제Þ 박사
• 에너É관리공단(현 한î에너É공단) 근무
• 현재, 부천대Þ교 비Ý사무행정과 교수
한î종þ경제연í원 연í위원

[È서 및 논문]
•>경Ç의 ÷õ?(한올, 2019)
•>경Ç의 ÷õ?(경Ç과Þ계, 2015)
•>현대 경ÇÞ원론?(명경사, 2012)(공È)
•>그린생산을 위한 물질흐름 원¬Þ계?(강원대Þ교, 2012)(공È)
•<기Å결þÞ계기준의 î제É 수렴에 관한 연í
: IASB·일본·한î의 비교검토를 중심으ü=
(新潟大學 대Þ원 박사Þ위논문, 2003) 외 다수

전자책
발행일 : 2020년 7월 5일
정 가 : 17,800원
isbn : 979-11-5685-950-5 (95320)

기초 회계원리
2020년 3월 5일 초판1쇄 인쇄
2020년 3월 10일 초판1쇄 À행
저 × ý강î
펴 낸 이 Ç순재

펴 낸 곳 (주)한올출판사
등 록 제11-403호
주 소 Ý울Þ 마포í º래내ü 83 (성산동 한올빌딩 3층)
전 화 (02)376-4298(대표)
팩 스 (02)302-8073
홈페이지 www.hanol.co.kr
e-메 일 hanol@hanol.co.kr
I S B N 979-11-5685-876-8

▪ 이 책의 내용은 저Ø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 잘못 만들어진 책은 본사나 구입하신 서점에서 바꾸어 드립니다.
▪ 저×와의 협의 하에 인지가 생략되었습니다.
▪ 책값은 뒷 표지에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