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MBAR78
AWS lambda, step function, cloud watch | PPTX
AWS 간단 리뷰2
김한성
목차
•Lambda
•Step Function
•CloudWatch
•다음 시간
•RDS
•Dynamo
•Elasticache
Lambda
Lambda
•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 주요 기능
• AWS Service 를 연결해주는 역할(서비스 확장)
• 스케줄링, 이벤트 처리
• 모니터링, 백엔드 서버(API)
• CI/CD(자동 배포)
Lambda - 간단한 예제
Lambda - 간단한 예제2
Lambda - 생성
• 사용자 지정 Runtime을 사용해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버전을 사용할 수 있음
→ Support 지원이 어려울 수 있음
Lambda - 지원하는 플랫폼
• 기본적으로 Python, Node.js 사용 추천
• 사용하지 말아야할 것 – Java, C#
• 추천 – Python, Node.js
• 생명체빼고 다 만든다는 갓Python
Lambda - 구조
AWS가 최적화할 수 있는 부분과
직접 최적화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함
Lambda - Container
문제는 Container 재사용이
보장되지 않음
(재사용, 추가, IDLE...)
ex) 발생하는 문제점
환경변수나
Code가 변경됐을 때
적용시점이나 적용된
Container를 알 수 없음
Lambda – Java
• 평균/지속적인 속도는 Java가 좋음
• 하지만 상대는 Serverless
Lambda – Cold Start
Lambda – Cold Start(Detail)
Lambda – Cold Start
Lambda – Cold Start
• 언어/메모리마다
다른 Cold Start Time
이것이 돈의 맛
• 가격/성능을 고려했을때
1024MB가 적절함
1,792MB = vCPU 1개
Lambda – Cold Start 최적화
• https://theburningmonk.com/2017/06/aws-lambda-compare-coldstart-time-with-different-languages-memory-and-code-sizes/
• Code(Package)의 크기가 Cold Start Time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물론 너무 큰 건 좀...)
Lambda – Cold Start 최적화
• Cold Start가 없게
모두 Warm 상태로
만든다
• https://github.com/FidelLimited/serverless
-plugin-warmup
• AWS SDK 활용
(기본 내장)
Lambda - 가성비
• Lambda
• 비용 – 0.1초에 $0.000001667
= 1시간에 $0.06
= 1달(750시간)에 $45
• 성능 – vCPU 1개, 1024MB(1GiB)
• EC2 t2.small
• 비용 - 시간당 0.0288달러 = 1달에 $21
• 성능 – vCPU 1개, 2GiB
Lambda
• 스케줄링, 배치처리
• Resource가 예상이 안되는 작업
• ex) 이미지 처리, 인코딩/디코딩 등등
• 다른 Serverless Service와 연동해서 사용
• ex)
Lambda – S3
Lambda – SNS – Lambda
CloudWatch – SNS- Lambda
Lambda - Trigger
Lambda - Trigger
• 잘쓰면 매우 좋은 기능
• 잘쓰기 어려운 기능
MSA 간접 체험
Lambda – Trigger 방식
Lambda - 한계
• 동시 실행 = 1000(리전당)
• 제한 시간 = 900s
• request payload
• 동기 = 6MB
• 비동기 = 256KB
• 배포 패키기
• 콘솔 = 3MB
• 직접 업로드 = 50MB
• 계층 포함 = 250MB
(최대 5개 계층)
• /tmp 스토리지 = 512MB
Lambda - 한계
• ENI(Elastic Network Interface) 용량
= 동시실행 x (? GB / 3 GB)
• ENI수 = IP주소(서브넷)
• IP는 늘 부족...
(여러 가용 영역을 써야함)
• IP가 없으면 EC2 오류 유형의 호출 오류 증가
• ENI 생성도 제한
https://docs.aws.amazon.com/ko_kr/lambda/latest/dg/vpc.html
• 동시성 조절(동시성 한도 도달)
• 이벤트(동기/비동기)
• 스트림 & poll(Kenesis)
• !스트림 & pool(SQS)
Lambda – Best Practice
• 높은 자원 활용률 + 낮은 비용
• 다양한 Workload
Lambda – Best Practice 2
• https://youtu.be/0PRjqEQ2J
3g?t=1406
• https://docs.aws.amazon.co
m/ko_kr/lambda/latest/dg/vp
c.html
Lambda – Best Practice 3
• 공통 코드 = /opt
• 임시 파일 = /tmp
• Cold Start 상관X
• Deploy 상관O
•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for-aws-lambda-use-any-programming-
language-and-share-common-components/
Lambda - Deploy
• 기본 AWS SAM CLI 사용
https://docs.aws.amazon.com/ko_kr/lambda/latest/dg/lambda-python-how-to-create-deployment-package.html
빠르지만 번거로움
• Serverless framework 사용
https://serverless.com/framework/docs/providers/aws/guide/deploying/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cmd 한번으로 deploy 가능
• 주로 쓰는 Library는 계층(Layer) 사용
• Code Commit/Build/Deploy/Pipeline를 통해
간단하게 자동 배포 구성 가능
Lambda – AWS Toolkit
• AWS Plugin – Jetbrain, Eclipse, VS code 지원
• 런타임에 즉시 배포 가능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생성
• 로컬에서 코드 실행/디버깅 가능
• 로컬/원격으로 Lambda 함수 호출 가능
(remote debug 지원X)
• local docker container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사양 PC필요 + 윈도우 금지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aws-toolkits-for-pycharm-intellij-preview-and-visual-studio-code-preview/
Lambda – 코드 재사용
• 이미 있는 함수를 재사용하고 싶다?
-> Invoke
Lambda - Invoke
• RequestResponse (default) – 동기 처리, Connection이 유지
• Event – 비동기 처리. connection 없이 event push 후 종료
• DryRun – 유저나 Role의 권한이나 parameter 값만 확인
• 한두개만 쓸거라면 invoke 추천
-> Step이나 조건이 많다면 Step Function을 사용!
Step Function
Step Function
• 시각적 워크플로우를 사용해
분산 애플리케이션 및 마이크로서비스의 구성 요소를
손쉽게 조정하도록 해주는 웹 서비스
Lambda Invoke vs Step function
• Invoke
= stateless
• step function
= stateful
Step Function
• 대표사례 - 코카콜라 구입
• 결제 처리
-> 자판기 동작
-> 음료수가 나올 90초 대기
-> 잔액 확인
-> 모바일 지갑 잔액 업데이트
Step Function - Stateful
• 다양한 상태값
• Task : 작업 수행
• Choice : 실행 브랜치 선택
• Fail/Succeed : 실패/성공
• Pass : 단순 전달, 일부 수정 후 전단
• Wait : 실행 지연
• Parallel : 브랜치 병렬 실행
Step Function
• 예제 상태 시스템 코드
https://docs.aws.amazon.com/ko_kr/step-
functions/latest/dg/sample-project-
transfer-data-sqs.html
Step Function
• 가격 정책
https://aws.amazon.com/ko/step-functions/pricing/
상태 전환 1000번당 $0.0271
• 유사 서버
• 잘 안쓰는 서비스
CloudWatch
CloudWatch
• Amazon Web Services(AWS) 리소스와
AWS에서 실시간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
• CloudWatch를 사용하여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변수인 지표를 수집하고 추적
CloudWatch 기능
• 로그(Log)
• 지표(Metric)
• 대시보드(Dashboard)
• 경보(Alarm)
• 이벤트(Event)
CloudWatch – 로그 그룹
• 단순 Log뿐 아니라
스트림 작업도 가능
CloudWatch – 로그 그룹
• 단순 Log뿐 아니라
특정 로그의 필터에 대한
스트림 작업도 가능
CloudWatch - 로그
• Kinesis Firehose 로그
CloudWatch – 로그 필터
• TEXT, JSON 필터(검색)
가능
• Log 쓰는법만 따로 Docs가
있을정도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
onCloudWatch/latest/logs/WhatIsCloudW
atchLogs.html
CloudWatch – 지표1
• Dynamo DB 사용량(AWS 실습)
CloudWatch – 지표2
• AWS 교육 이후, 일부 지우지 않은 서비스에 대한 비용 발생
CloudWatch – 로그 & 지표
Datalab-DDBtoKinesis 로그에서
history_seq = “14”인 케이스만 지표로 생성
지표로 할당한 이후부터
발생한 로그에 대해서 생성됨
CloudWatch - 대시보드
• 지표의 모음(그룹)
• 이쁘게 만들어서 모니터
한쪽에 띄워둡니다
(듀얼모니터의 필요성)
• 평소랑 다른 모양이라면
일단 한번 쳐다봅시다
CloudWatch - 경보
• 대시보드를 볼 시간이 없다
• 빠른 장애 대응을 원한다
• 장애 대응에 대한 업무 자동화
CloudWatch
Alarm(경보) 사용
CloudWatch – 경보 예시
• AWS 요금이 발생할 때 경보 알림을 보냄
• 6시간 내에 측정된 요금이 0 이상이면 경보!
CloudWatch – 경보 예시
• 파란색 = 측정된 값
• 빨간색 = 임계값
CloudWatch – 경보 예시
• 데이터 포인트 수를 조절해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경보
무시 가능
ex) 10번 중 5번 발생 -> 경보
CloudWatch – 경보 예시
• 요금이 부과되면 SNS Topic
(NotifyMe)에 Push하고
해당 SNS Topic은
구독자인 이메일에게 내용 발송
• 응용하면 SNS에서 이메일 대신
Lambda를 호출해서
이메일, SMS, Slack 등등으로도
알림이 가능함!
CloudWatch – 경보 예시
• SNS말고도 Auto Scaling,
EC2 작업도 가능함
• ex)
• CPU가 70%가 넘어가면 instance 추가
• instance 가 멈추면 자동 재시작
CloudWatch – 이벤트
• 리소스의 변경 사항을 설명하는
시스템 이벤트의 스트림을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
• 쉽게 말해서 Lambda Trigger
• 1개 이벤트에 대상은 최대 5개
• 이또한 따로 Docs가 존재함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Watch/latest/events/WhatIsCloudWatchEvents.html
CloudWatch – 이벤트
• Amazon EC2 인스턴스
• AWS Lambda 함수
• Amazon Kinesis Data Streams의 스트림
• Amazon Kinesis Data Firehose의 전송 스트림
• Amazon CloudWatch Logs의 로그 그룹
• Amazon ECS 작업
• 시스템 관리자 실행 명령
• 시스템 관리자 자동화
• AWS Batch 작업
• Step Functions 상태 시스템
• CodeBuild 프로젝트
• Amazon Inspector 평가 템플릿
• Amazon SNS 주제
• Amazon SQS 대기열
• EC2 CreateSnapshot,
RebootInstances, StopInstances,
TerminateInstances API call.
• 다른 AWS 계정의 기본 이벤트 버스
• CodePipeline의 파이프라인
CloudWatch – 이벤트 규칙
• Cron : cron(0 12 * * ? *) – 매일 UTC 12시에 이벤트 발생
• Rule : rate(1 minute) – 1분마다 이벤트 발생
• 주로 Batch, Schedule할 때 사용
CloudWatch – 이벤트 버스(패턴)
• 지원되는게 너무 많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
mazonCloudWatch/latest/events/Even
tTypes.html
• 다른 계정에서
전송/수신하도록 설정 가능
https://docs.aws.amazon.com/ko_kr
/AmazonCloudWatch/latest/events/
CloudWatchEvents-
CrossAccountEventDelivery.htm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version": "0",
"id": "3e3c153a-8339-4e30-8c35-687ebef853fe",
"detail-type": "EC2 Instance Launch Successful",
"source": "aws.autoscaling",
"account": "123456789012",
"time": "2015-11-11T21:31:47Z",
"region": "us-east-1",
"resources": [
],
"detail": {
"eventVersion": "",
"responseElements": null
}
} cs

AWS lambda, step function, cloud watch

  • 1.
  • 2.
  • 3.
  • 4.
    Lambda •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 주요 기능 • AWS Service 를 연결해주는 역할(서비스 확장) • 스케줄링, 이벤트 처리 • 모니터링, 백엔드 서버(API) • CI/CD(자동 배포)
  • 5.
  • 6.
  • 7.
    Lambda - 생성 •사용자 지정 Runtime을 사용해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버전을 사용할 수 있음 → Support 지원이 어려울 수 있음
  • 8.
    Lambda - 지원하는플랫폼 • 기본적으로 Python, Node.js 사용 추천 • 사용하지 말아야할 것 – Java, C# • 추천 – Python, Node.js • 생명체빼고 다 만든다는 갓Python
  • 9.
    Lambda - 구조 AWS가최적화할 수 있는 부분과 직접 최적화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함
  • 10.
    Lambda - Container 문제는Container 재사용이 보장되지 않음 (재사용, 추가, IDLE...) ex) 발생하는 문제점 환경변수나 Code가 변경됐을 때 적용시점이나 적용된 Container를 알 수 없음
  • 11.
    Lambda – Java •평균/지속적인 속도는 Java가 좋음 • 하지만 상대는 Serverless
  • 12.
  • 13.
    Lambda – ColdStart(Detail)
  • 14.
  • 15.
    Lambda – ColdStart • 언어/메모리마다 다른 Cold Start Time 이것이 돈의 맛 • 가격/성능을 고려했을때 1024MB가 적절함 1,792MB = vCPU 1개
  • 16.
    Lambda – ColdStart 최적화 • https://theburningmonk.com/2017/06/aws-lambda-compare-coldstart-time-with-different-languages-memory-and-code-sizes/ • Code(Package)의 크기가 Cold Start Time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물론 너무 큰 건 좀...)
  • 17.
    Lambda – ColdStart 최적화 • Cold Start가 없게 모두 Warm 상태로 만든다 • https://github.com/FidelLimited/serverless -plugin-warmup • AWS SDK 활용 (기본 내장)
  • 18.
    Lambda - 가성비 •Lambda • 비용 – 0.1초에 $0.000001667 = 1시간에 $0.06 = 1달(750시간)에 $45 • 성능 – vCPU 1개, 1024MB(1GiB) • EC2 t2.small • 비용 - 시간당 0.0288달러 = 1달에 $21 • 성능 – vCPU 1개, 2GiB
  • 19.
    Lambda • 스케줄링, 배치처리 •Resource가 예상이 안되는 작업 • ex) 이미지 처리, 인코딩/디코딩 등등 • 다른 Serverless Service와 연동해서 사용 • ex) Lambda – S3 Lambda – SNS – Lambda CloudWatch – SNS- Lambda
  • 20.
  • 21.
    Lambda - Trigger •잘쓰면 매우 좋은 기능 • 잘쓰기 어려운 기능 MSA 간접 체험
  • 22.
  • 23.
    Lambda - 한계 •동시 실행 = 1000(리전당) • 제한 시간 = 900s • request payload • 동기 = 6MB • 비동기 = 256KB • 배포 패키기 • 콘솔 = 3MB • 직접 업로드 = 50MB • 계층 포함 = 250MB (최대 5개 계층) • /tmp 스토리지 = 512MB
  • 24.
    Lambda - 한계 •ENI(Elastic Network Interface) 용량 = 동시실행 x (? GB / 3 GB) • ENI수 = IP주소(서브넷) • IP는 늘 부족... (여러 가용 영역을 써야함) • IP가 없으면 EC2 오류 유형의 호출 오류 증가 • ENI 생성도 제한 https://docs.aws.amazon.com/ko_kr/lambda/latest/dg/vpc.html • 동시성 조절(동시성 한도 도달) • 이벤트(동기/비동기) • 스트림 & poll(Kenesis) • !스트림 & pool(SQS)
  • 25.
    Lambda – BestPractice • 높은 자원 활용률 + 낮은 비용 • 다양한 Workload
  • 26.
    Lambda – BestPractice 2 • https://youtu.be/0PRjqEQ2J 3g?t=1406 • https://docs.aws.amazon.co m/ko_kr/lambda/latest/dg/vp c.html
  • 27.
    Lambda – BestPractice 3 • 공통 코드 = /opt • 임시 파일 = /tmp • Cold Start 상관X • Deploy 상관O •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for-aws-lambda-use-any-programming- language-and-share-common-components/
  • 28.
    Lambda - Deploy •기본 AWS SAM CLI 사용 https://docs.aws.amazon.com/ko_kr/lambda/latest/dg/lambda-python-how-to-create-deployment-package.html 빠르지만 번거로움 • Serverless framework 사용 https://serverless.com/framework/docs/providers/aws/guide/deploying/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cmd 한번으로 deploy 가능 • 주로 쓰는 Library는 계층(Layer) 사용 • Code Commit/Build/Deploy/Pipeline를 통해 간단하게 자동 배포 구성 가능
  • 29.
    Lambda – AWSToolkit • AWS Plugin – Jetbrain, Eclipse, VS code 지원 • 런타임에 즉시 배포 가능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생성 • 로컬에서 코드 실행/디버깅 가능 • 로컬/원격으로 Lambda 함수 호출 가능 (remote debug 지원X) • local docker container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사양 PC필요 + 윈도우 금지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aws-toolkits-for-pycharm-intellij-preview-and-visual-studio-code-preview/
  • 30.
    Lambda – 코드재사용 • 이미 있는 함수를 재사용하고 싶다? -> Invoke
  • 31.
    Lambda - Invoke •RequestResponse (default) – 동기 처리, Connection이 유지 • Event – 비동기 처리. connection 없이 event push 후 종료 • DryRun – 유저나 Role의 권한이나 parameter 값만 확인 • 한두개만 쓸거라면 invoke 추천 -> Step이나 조건이 많다면 Step Function을 사용!
  • 32.
  • 33.
    Step Function • 시각적워크플로우를 사용해 분산 애플리케이션 및 마이크로서비스의 구성 요소를 손쉽게 조정하도록 해주는 웹 서비스
  • 34.
    Lambda Invoke vsStep function • Invoke = stateless • step function = stateful
  • 35.
    Step Function • 대표사례- 코카콜라 구입 • 결제 처리 -> 자판기 동작 -> 음료수가 나올 90초 대기 -> 잔액 확인 -> 모바일 지갑 잔액 업데이트
  • 36.
    Step Function -Stateful • 다양한 상태값 • Task : 작업 수행 • Choice : 실행 브랜치 선택 • Fail/Succeed : 실패/성공 • Pass : 단순 전달, 일부 수정 후 전단 • Wait : 실행 지연 • Parallel : 브랜치 병렬 실행
  • 37.
    Step Function • 예제상태 시스템 코드 https://docs.aws.amazon.com/ko_kr/step- functions/latest/dg/sample-project- transfer-data-sqs.html
  • 38.
    Step Function • 가격정책 https://aws.amazon.com/ko/step-functions/pricing/ 상태 전환 1000번당 $0.0271 • 유사 서버 • 잘 안쓰는 서비스
  • 39.
  • 40.
    CloudWatch • Amazon WebServices(AWS) 리소스와 AWS에서 실시간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 • CloudWatch를 사용하여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변수인 지표를 수집하고 추적
  • 41.
    CloudWatch 기능 • 로그(Log) •지표(Metric) • 대시보드(Dashboard) • 경보(Alarm) • 이벤트(Event)
  • 42.
    CloudWatch – 로그그룹 • 단순 Log뿐 아니라 스트림 작업도 가능
  • 43.
    CloudWatch – 로그그룹 • 단순 Log뿐 아니라 특정 로그의 필터에 대한 스트림 작업도 가능
  • 44.
    CloudWatch - 로그 •Kinesis Firehose 로그
  • 45.
    CloudWatch – 로그필터 • TEXT, JSON 필터(검색) 가능 • Log 쓰는법만 따로 Docs가 있을정도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 onCloudWatch/latest/logs/WhatIsCloudW atchLogs.html
  • 46.
    CloudWatch – 지표1 •Dynamo DB 사용량(AWS 실습)
  • 47.
    CloudWatch – 지표2 •AWS 교육 이후, 일부 지우지 않은 서비스에 대한 비용 발생
  • 48.
    CloudWatch – 로그& 지표 Datalab-DDBtoKinesis 로그에서 history_seq = “14”인 케이스만 지표로 생성 지표로 할당한 이후부터 발생한 로그에 대해서 생성됨
  • 49.
    CloudWatch - 대시보드 •지표의 모음(그룹) • 이쁘게 만들어서 모니터 한쪽에 띄워둡니다 (듀얼모니터의 필요성) • 평소랑 다른 모양이라면 일단 한번 쳐다봅시다
  • 50.
    CloudWatch - 경보 •대시보드를 볼 시간이 없다 • 빠른 장애 대응을 원한다 • 장애 대응에 대한 업무 자동화 CloudWatch Alarm(경보) 사용
  • 51.
    CloudWatch – 경보예시 • AWS 요금이 발생할 때 경보 알림을 보냄 • 6시간 내에 측정된 요금이 0 이상이면 경보!
  • 52.
    CloudWatch – 경보예시 • 파란색 = 측정된 값 • 빨간색 = 임계값
  • 53.
    CloudWatch – 경보예시 • 데이터 포인트 수를 조절해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경보 무시 가능 ex) 10번 중 5번 발생 -> 경보
  • 54.
    CloudWatch – 경보예시 • 요금이 부과되면 SNS Topic (NotifyMe)에 Push하고 해당 SNS Topic은 구독자인 이메일에게 내용 발송 • 응용하면 SNS에서 이메일 대신 Lambda를 호출해서 이메일, SMS, Slack 등등으로도 알림이 가능함!
  • 55.
    CloudWatch – 경보예시 • SNS말고도 Auto Scaling, EC2 작업도 가능함 • ex) • CPU가 70%가 넘어가면 instance 추가 • instance 가 멈추면 자동 재시작
  • 56.
    CloudWatch – 이벤트 •리소스의 변경 사항을 설명하는 시스템 이벤트의 스트림을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 • 쉽게 말해서 Lambda Trigger • 1개 이벤트에 대상은 최대 5개 • 이또한 따로 Docs가 존재함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Watch/latest/events/WhatIsCloudWatchEvents.html
  • 57.
    CloudWatch – 이벤트 •Amazon EC2 인스턴스 • AWS Lambda 함수 • Amazon Kinesis Data Streams의 스트림 • Amazon Kinesis Data Firehose의 전송 스트림 • Amazon CloudWatch Logs의 로그 그룹 • Amazon ECS 작업 • 시스템 관리자 실행 명령 • 시스템 관리자 자동화 • AWS Batch 작업 • Step Functions 상태 시스템 • CodeBuild 프로젝트 • Amazon Inspector 평가 템플릿 • Amazon SNS 주제 • Amazon SQS 대기열 • EC2 CreateSnapshot, RebootInstances, StopInstances, TerminateInstances API call. • 다른 AWS 계정의 기본 이벤트 버스 • CodePipeline의 파이프라인
  • 58.
    CloudWatch – 이벤트규칙 • Cron : cron(0 12 * * ? *) – 매일 UTC 12시에 이벤트 발생 • Rule : rate(1 minute) – 1분마다 이벤트 발생 • 주로 Batch, Schedule할 때 사용
  • 59.
    CloudWatch – 이벤트버스(패턴) • 지원되는게 너무 많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 mazonCloudWatch/latest/events/Even tTypes.html • 다른 계정에서 전송/수신하도록 설정 가능 https://docs.aws.amazon.com/ko_kr /AmazonCloudWatch/latest/events/ CloudWatchEvents- CrossAccountEventDelivery.htm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version": "0", "id": "3e3c153a-8339-4e30-8c35-687ebef853fe", "detail-type": "EC2 Instance Launch Successful", "source": "aws.autoscaling", "account": "123456789012", "time": "2015-11-11T21:31:47Z", "region": "us-east-1", "resources": [ ], "detail": { "eventVersion": "", "responseElements": null } } cs